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10년대 천안 지역 <조선지지자료>의 지명에 대하여 (A Study on Cheonan Toponym of 'Joseonjijijaryo'(朝鮮地誌資料))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24.09
32P 미리보기
1910년대 천안 지역 &lt;조선지지자료&gt;의 지명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121권 / 5 ~ 36페이지
    · 저자명 : 김정태

    초록

    본고는 1910년대 고유의 전래지명을 간직하고 있는 천안 지역 『조선지지지료』의 지명어들을 1차적인 고찰 대상으로 삼았다. 이른 시기의 한글표기지명이라는 점에서 일찍이 주목받아 온 지명 언어의 자료이다. 2차적으로 『한국지명총람』과의 관련성에서 천안 지역 지명어의 특징을 고찰하여 목적 달성을 도모하였다.
    이에 대한 고찰은, 첫째, 본고의 대상인 천안 지역의 『지지』들의 군(郡), 면(面) 및 동리명 체제가 1914년 행정구역의 통폐합(관보 제567호) 이전의 체제인 점을 통해, 천안 지역 『지지』들은 적어도 필사 시기가 1914년 이전이었을 것을 추정하였다.
    둘째, 『지지』의 표기 특징은 당시의 표기 규범이라 할 수 있는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1912)과의 관련성에서, ᄋᆞ( /ㆍ/) 및 합용병서, 두음 ㄹ의 표기를 살펴 보았다. 이는 『지지』의 표기 방법을 확인하는 동시에 표기에 가려진 지명 언어의 근원적인 형태를 추정하기 위함이었다.
    셋째, 『총람』과의 관련성에서 천안 지역 『지지』에 실려 있는 지명들의 음운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모음 변이와 관련하여 ‘모음상승, 이중모음의 단모음화’가 대표적이었고, 자음 변이와 관련하여서는 ‘조음위치동화, 구개음화, 유음의 비음화’ 등이 대표적이었다. 여기에는 천안 지역의 방언적 특징을 반영하고 있었다. 이 외에도 ‘이’모음 역행동화, ‘외>에>이’의 변이 등도 소수 발견되었다. 반면 일상어에서와 달리 ‘어~우, 애~이’등처럼 지명에서 확인할 수 있는 특이한 변이도 있었다. 이들은 자연음군을 이루지 않는 경우였다.
    마지막으로 표기와 음운 변이에 있어 『지지』별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일부 글씨체를 기준으로는 동일인에 의한 필사 가능성을 잠정 예측하였으나, 더 많은 부분에서 차이가 있어 『지지』별 필사자가 상이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primarily investigates the place names of Jiji (Geographical Documents of Joseon) in the Cheonan region that retain their unique traditional toponyms from the 1910s. The documents have long been noted for their early use of Hangeul toponyms (Eeonmun section). The paper also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Cheonan area toponyms in relation to Chongnam, aiming to achieve its objectives.
    The study suggests several points of interest. First, from the fact that the administrative divisions of counties (Gun), townships (Myeon), and villages existed before integration in 1914 (Government Gazette No. 567), it can be inferred that Jiji of the Cheonan area existed at least prior to 1914.
    Second, it investigates the orthographic features of Jijis, particularly in relation to the orthographic norms of the time such as the Bothonghakgyoyong eonmucheoljabeop (1912), examining the use of 'ᄋᆞ' (/ㆍ/) and compound characters, as well as initial [r]. This was intended to verify the orthographic representation of Jiji, and at the same time, approximate the original forms of the toponyms obscured through their representation.
    Third, it explores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toponyms in the Cheonan area Jiji in relation to Chongnam. The study identifies vowel rising and monophthongization of diphthongs as prominent features related to vowel variation, and place assimilation, palatalization, and l-nasalization of consonants as significant features related to consonant variation, reflecting dialectical characteristics of the Cheonan region. Also observed were [i] vowel umlaut and '[oe]>[e]>[i]' shifts. Unique variations in toponyms, distinct from everyday language, such as '[eo]~[u], [ae]~' can be seen. These do not form natural classes.
    Lastly, the study confirms variability among Jiji in orthographic and phonological variations. Based on the handwriting, it is tentatively predicted that the transcription was performed by the same individual, but this remains a task that requires more careful consid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