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광고언어의 동음이표기(同音異表記)에 대하여 (A Study on the Homophones in the Advertising Written Languag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2.09
26P 미리보기
광고언어의 동음이표기(同音異表記)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73권 / 61 ~ 86페이지
    · 저자명 : 김정태

    초록

    본고의 대상은 광고언어 중에서 광고문자언어를 동음(同音)의 다른 문자로 표기한 것이다. 이러한 동음이표기의 원리는 생산자의 광고내용(상품, 프로그램 등)과 의미적으로 연계된 문자언어로 표기하여 그 의도를 극대화한 것이었다. 이와 같은 동음이표기는 최근 광고의 한 경향을 이루고 있는 형태이다. 이를테면, 생산자가 수용자의 관심을 끌어 구매를 유인하거나 참여를 독려하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았다. 이를 광고의 기능에 기대어 전자를 경제적 기능, 후자를 사회적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보았는데, 특히 동음이표기 형태 광고에서는 드물게 양 기능을 복합적으로 담당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에 본고는 광고언어의 동음이표기 형태가 어떠한 특징을 보이고 있는가를 고찰하였다. 즉 생산자의 의도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언어적 기법을 강구하였는바, ‘고유어→한자, 고유어→로마자, 고유어→한글, 한자어→한글, 한자어→한자, 한자어→로마자, 영어→한글, 영어→한자, 영어→로마자, 혼합형’ 등으로 유형화하여 분석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광고문자언어 동음이표기는 전통적인 음차 표기 형식과 크게 다르지 않다.
    둘째, 광고문자언어 동음이표기는 생산자의 의도성이 짙다. 그 의도는 일반적으로 수용자의 관심을 끌어 구매력을 높이거나 참여를 독려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생산자의 의도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매체 형태도 다양하였다. 즉 간판, 현수막, 판촉물, 상품명 등에 이른다.
    셋째, 동음이표기의 유형 중에서 고유어를 동음의 한자나 로마자로 표기한 경우가 적극적이다. 광고언어의 대부분이 우리말인 점에서 예측되는 특징이기도 하다.
    넷째, 광고언어가 일반적으로 경제적, 사회적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볼 때, 동음이표기의 광고에서는 경제적 기능을 도모한 것이 더 생산적이었다.
    다섯째, 동음이표기는 2000년대 초반 광고언어의 한 경향을 이루는데, 대체로 비문법적이고 비규범적이다. 문법을 파괴함으로써 수용자의 관심을 끈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광고언어도 중요한 언어자원이다. 우리의 학문의 경향이 이론 중심이어서 광고언어와 같은 것을 도외시했던 것이 현실이다. 그렇지만 우리의 생활 속에 언어가 있고, 간판이나 현수막과 같은 실생활 속의 형태도 언어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라면 이와 같은 광고언어도 중요한 것이다.

    영어초록

    The homophones in the advertising written language were a subject of this study. The intent of advertisement can be maximized by using the homophones semantically related with the contents (products, programs, and so on) of advertisement. Using homophones in advertisement is now a trend. In other words, this kind of advertising technique appeared in order to induce the viewers of advertisement to purchase a product or participate in a program. The former is an economic function of advertisement, and the latter is a social function of advertisement. Especially, the advertisement using homophones uncommonly performs the two functions.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ed a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mophones in the advertising written language by categorizing the homophones into ‘native words->Sino-Korean words, native words->Roman characters, native words->Hanguel, Sino-Korean words ->Hanguel, Sino-Korean words->Chinese characters, English->Hanguel, English->Chinese characters, English->Roman characters, and mixed pattern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way of using homophones in advertisement was not much different with that of using Eumcha.
    Second, the homophones in advertisement are clearly made by producers in order to induce viewers to purchase or participate.
    Third,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products, various techniques are used. Therefore, there are lots of patterns.
    Forth, most of the homophones are the cases of changing native words into Chinese characters or Roman characters. This is understandable because most of the advertising written languages are Korean.
    Fifth, the homophones are more productive when they are used to promote an economic function, thinking of an economic function and a social function of the advertisement.
    Sixth, various media are used in order to accomplish the intent of producers: signboards, banners, pamphlets, and product names.
    Seventh, the homophone is a trend of the advertisement of the early 2000s.
    Eighth, the homophones are generally used as nongrammatical. Breaking the rules of grammar makes people get interested.
    The advertising written language is also an important language resource. It is true that the advertising written language was not studied much because theories were the main subject of our study. However, the advertising written language is critical because the language exists in our daily life, and things like signboards and banners are made of langua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