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역』겸괘에 대한 고찰 : 중(中)개념과 연관하여 (A Study on Gyeomgwae(謙卦) of The Book of Change(周易) -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Si-jung(時中))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22.12
22P 미리보기
『주역』겸괘에 대한 고찰 : 중(中)개념과 연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人文學硏究 / 38권 / 267 ~ 288페이지
    · 저자명 : 이난희

    초록

    현행 국어사전에서 겸손은 ‘남을 높이고 자기를 낮추는 태도가 있음’이라고 정의하였고, 순자 「宥坐」편에서 공자는 처세의 방법으로 겸손을 이야기하였다.
    주역 에서 지산겸괘(䷎)도 겸손을 이야기하는데, 논자는 지산겸괘의 ‘겸’자(謙字)가 현대어의 겸손과 같은 의미인지를 살펴보았다. 겸괘 「단전」에서 천도, 지도, 인도는 가득 찬것을 싫어하고 겸손한 것을 좋아한다고 하였고, 「대상전」에서는 겸괘의 상을 본받아 군자가 ‘부다익과 칭물평시(裒多益寡, 稱物平施)’라고 하였다. 이것은 모두 지나치거나 모자람이 없는 적절함, 즉 저울질을 통하여 중(中)을 유지하려는 모습을 의미하는 것으로 ‘겸’자를 시중의 다른 이름으로 읽을 수 있다.
    하괘인 간괘는 안으로는 욕심을 그치게 하고 자신을 수양하여 중화를 얻고 밖으로는시중의 도를 구현하는 효들로 구성되어 길(吉)하고, 상괘인 곤괘는 내유외강의 강과 유가균형을 이룬 상태로 시중의 도를 구현하는 괘이므로 이롭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 또 겸괘에 흉구회린이 없다는 것이 지산겸괘의 특징이면서 겸자가 시중으로 해석될 수 있는 근거이기도 하다. 겸괘를 중(中)개념과 연관하여 살펴볼 때 ‘겸’자(謙字)는 현대어의 ‘겸손하다’ 와는 의미가 다르며, 공자가 말한 부귀를 지키는 처세의 방법과도 다른 겸손인 ‘시중’이라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the current Korean dictionary, humility is defined as having an attitude that exalts others and humbles oneself. Gyeomgwae (謙卦) of The book of change (周易) also talks about humility.
    I would like to examine whether the word ‘gyeom’ (謙字) has the same meaning as humility in modern language. In Danjeon (彖傳) of Gyeomgwae, it is said that the mind of heaven, earth, and also humanity (天道, 地道, 人道) dislike the state of fullness and prefer modesty. In Dasangjeon (大象傳), the gentleman (君子) accomplishes taking away from many and adding to scarcity as he tries to weigh all things and distribute them evenly (裒多益寡, 稱物平施), by imitating the image of Gyeomgwae with a mountain in the ground. This all means appropriateness without being excessive or lacking, that is, trying to maintain the balance through weighing. The special characteristic of Jisan-Gyeomgwae (地山謙卦) is that there are no senses of good luck, bad luck, regret, or adversity (吉凶悔吝) in this Gwae. And it is also the basis for the interpretation of gyoem (謙), as the appropriateness to the times (時中). If you consider, gyoemgwae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Jung (中) , the word ‘Gyeom (謙)’ has a different meaning from the modern word ‘humi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人文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