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사엽(金思燁)의 민요 조사와 연구에 대하여 (Gim Sa-yeop's folk song collection and research)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6.12
31P 미리보기
김사엽(金思燁)의 민요 조사와 연구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77호 / 1 ~ 31페이지
    · 저자명 : 구인모

    초록

    이 논문은 그동안 일반에 알려지지 않았던 김사엽이 경성제국대학 재학 당시의 민요조사(1935~1936)의 결과 보고서를 중심으로 민요조사의 실상을 재구하는 한편, 식민지 시기 민요 관련 논설과 해방 이후 국문학사 관련 저술들을 통해 민요연구의 관점․방법․이념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김사엽의 민요조사와 민요연구를 통해 그의 구비문학 연구의 의의를 재검토 하고자 한다. 이 가운데 이 논문은 김사엽의 민요조사가 사실은 경성제국대학 조선어조선문학전공 교수 다카하시 도루(高橋亨)의 조선인 민족성론, 조선 구비문학에 대한 입장과 방법론을 따르고 있음을 규명했다. 특히 김사엽이 영남지역, 부녀자들의 민요를 조선민요의 전형으로 삼는 가운데 드러나는 원시주의, 문화본질주의가 사실은 다카하시 도루로부터 비롯한 제국 일본의 오리엔탈리즘의 영향임을 입증했다. 또한 김사엽의 식민지시기 민요연구가 민요를 기원으로 한 조선문학의 통시적 서술, 조선인의 민족성 규명을 염두에 둔 것이었으며, 그것이 해방 이후 국문학사 서술 과정에서도 구체적으로 실현되는 양상을 조망했다. 그 가운데 김사엽이 식민지시기에는 민요를 초역사적인 장르․갈래이자 국민문학의 기원으로 정의했음에도 불구하고, 해방 후 문학사 서술 과정에서는 조선시대 후기의 전형적인 장르․갈래로 배치한 것, 영남지역의 민요에 나타난 특징을 경우에 따라서는 초역사적인 국민성으로서 정의하거나 조선 후기의 특징으로 서술하는 가운데 드러나는 모순을 주목했다. 그리고 그것이 국민문학 혹은 국문학의 역사를 오로지 초역사적인 민족의 특이성, 국민성을 규명하는 학문으로 상정한 데에서 이미 예고되어 있었으며, 근본적으로는 식민주의의 잔영임을 규명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reality of folk song investigations based on Gim Sa-yeop (1912~1992)’s report, which is yet unknown to the public, of his folk song investigations (1935~1936) while he attended Keijō Imperial University.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Gim's folk song investigations actually followed the positions and methodologies of Professor Takahashi Tōru, who specialized in Joseon language and literature at Keijō Imperial University, on the ethnicity of Joseon people and the Joseon oral literature. While investigating them under Japanese rule, Gim kept in mind the diachronic description of Joseon literature and the identification of Joseon people's ethnicity with the origin of folk songs. This study considers the ways this approach was implemented in the description process of the Korean literary history after the liberation in concrete ways. It highlights the fact that Gim expressed a contradiction, as he defined folk songs as a meta-historical genre and as the origin of the national literature during the Japanese rule, yet placed them under the typical genre of the latter half of Joseon in his description of literary history after the liberation. This was foreshadowed when Gim introduced the history of the national literature, or Korean literature, as the science of investigating the peculiar and national nature of meta-historical people, thus fundamentally reflecting traces of coloni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