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회상 영적실기(繪像 靈蹟實記)』에 대하여 (A Study of Hoesang Yeongjeoksilgi (繪像 靈蹟實記))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6.03
34P 미리보기
『회상 영적실기(繪像 靈蹟實記)』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학학회
    · 수록지 정보 : 동학학보 / 38호 / 117 ~ 150페이지
    · 저자명 : 박상란

    초록

    이 논문은 『회상 영적실기』 소재 영적담의 서사적 특징을 검토하고, 그 출간 배경에 대해 논한 것이다.
    우선 이들 영적담은 구호, 기이, 현몽, 상서 및 괴조, 예지, 강화 및 강령, 감응, 치병 등의 유형으로 갈리지만 모두 인간에 대한 한울의 작용 문제를 서사화한 것이다. 그리고 그 효과는 한울의 신성력을 통해 독자 대중의 신앙심을 촉발하는 것이다. 무엇보다 한울의 신성력이 교주의 능력을 통해 현시된다는 점에서 이들 영적담은 교주 영적담으로서의 특징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회상 영적실기』는 근대전환기 동학계 신종교들 간의 대립 및 경쟁 구도 속에서 ‘수운-해월’이라는 종통을 공고히 하려는 시천교총부의 의도에서 출간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영적담을 그림으로 표현하고, 이를 국문과 한문 서사로 보완한 것은 당시 다양한 수준의 독자들을 고려했다는 점에서 근대화 기획으로서 의미가 있다. 따라서 『회상 영적실기』는 시천교총부의 정통성 확립 및 근대화운동의 일환으로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I studied on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their background of appearance of the Miracle Stories(靈蹟談) in Hoesang Yeongjeoksilgi(繪像 靈蹟實記) in this essay.
    First, these the Miracle Stories can be divided into the types of Relief, Fantasticality, Appear in Dream, Auspicious Sign, Foreboding Sign, Precognition, Kanghwa(降話), Kangryungand(降靈), Psychomancy, Cure, etc., but are all the making narrative of the militation of Hanul[天主]. And these are well to provoke the piety of public readers through the sacred character of Hanul. Especially the stories are characterized as of the Miracle Stories of religious sect leader in that they reveal the sacred character of Hanul through the power of religious sect leader.
    Next, It can be said that the publication of Hoesang Yeongjeoksilgi was aimed at make securing the true lineage passed down from Suun(水雲) to Haewol(海月) under structure of the opposition and competition among the new religions derived from Donghak(東學). Additionally the main features of this book are to render the Miracle Stories in paintings and to supplement them by the narrations of the national writings and Chinese writings. This is significant as the planning of modernization in the sense that it considered of the varying levels of readers in those days. Therefore Hoesang Yeongjeoksilgi is significant as the securing of legitimacy and a part of of modernization in Sicheongyochongbu(侍天敎總部).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학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