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청준에 대한 한 가지 독법-고향 상실에 대하여- (One way to Read about Yi Chung-jun -About the Loss of one's Hometown-)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24.09
27P 미리보기
이청준에 대한 한 가지 독법-고향 상실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어문연구 / 80호 / 199 ~ 225페이지
    · 저자명 : 김효은

    초록

    이 글은 이청준 문학이 도달한 윤리적 가치의 세계가 그 구성적 예외의 지점인 복수심을 핵심 동인으로 하였듯이, 고향 또한 이청준의 소중한 문학적 원천으로 확립되는 그 시작점에 어떤 외재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이를 고향의 오랜 수식어인 상실(잃음)에서 찾고자 하였다.
    이청준의 <게 자루 일화>는 도회로의 입사와 고향에의 상실이라는 거대한 변곡점에 걸쳐 있는바, 이 일화에 담긴 추방의식은 선행 연구들로 하여금 고향을 ‘상실됨’ 또는 ‘잃어버림’ 등의 술어로 의미화하게 하였다. 그러나 대상과 그것의 의미는 어떤 우연을 계기로 마침내 그것을 떠올리는 주체의 인식 행위를 통해 생겨나는 것임을 상기했을 때, 이청준에게 있어 그동안의 고향은 사실상 무(無) 혹은 어떤 흔적에 지나지 않았다고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회라는 새로운 상징적 공간의 출현은 공백과도 같았던 고향이라는 기표를 ‘가난과 부끄러움의 얼굴’로 마주하게 하거니와, 이렇게 볼 때 고향은 도회와 맞닥뜨림으로써 그 의미를 상실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게 자루 일화>에서와 같은 상실의 포즈 속에서 그 존재가 구체화 되는 역설적 대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맥락과는 반대로 도회의 출현과 함께 이청준이 상실한 것으로 여기고 있었던 것은 무엇인가. 이는 결여(lack)와 상실(loss)을 명확하게 구분한 지젝의 논의를 참고할 수 있는바, 이제껏 잃어버린 것으로 간주해 온 서정적 세계로서의 고향은 본래부터 하나의 구체적 상(像)으로 존재해 왔던 것이 아니라 도회에 들어섬과 동시에 겪은 최초의 비참과 수모가 문자 그대로 그것을 발명해 낸 것이라는 점에서, 이청준의 잃어버린 고향이란 일종의 환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렇듯 없음(無)을 상실했다는 이 상실에의 착각이 불러온 것이 다름 아닌 이청준의 문학이라는 점은 이 착각을 그 자체로 생산적인 것일 뿐만 아니라 글쓰기에서 문학으로의 성취를 가능하게 한 긍정적 조건으로 평가하게 한다.

    영어초록

    Just as the world of ethical values reached by Yi Chung-jun literature was a key driver of revenge, the point of its compositional exception, this article tried to find it in loss, a long-standing modifier of his hometown, as his hometown is also established as a valuable literary source.
    Yi Chung-jun's <A crab bag anecdote> spans the huge inflection point of joining city and loss to his hometown, and the expulsion consciousness contained in this anecdote led previous studies to make hometowns meaningful as predicates such as "lost". However, it should be said that for Yi Chung-jun, his hometown had been virtually a trace, reminding him that the object and its meaning were finally created through the act of recognizing the subject who recalled it by some chance. In this situation, the emergence of a new symbolic space called city faces the sign of a hometown that was like a void with a "face of poverty and shame", and in this way, the hometown does not lose its meaning by confronting city, but rather can be seen as a paradoxical object in which its existence is embodied in the pose of loss like <A crab bag anecdote>.
    Then, in contrast to this context, what was Yi Chung-jun's consideration of loss with the emergence of the city? This can be referred to the discussion of Slavoj Žižek, who clearly distinguished between ‘lack’ and ‘loss’. This is a illusion in that the hometown as a lyrical world that has been regarded as lost has not originally existed as a specific image, but that the first misery and humiliation experienced at the same time as the emergence of the city literally invented it. But the fact that Yi Chung-jun's literature was brought about by the mistake of loss makes this mistake not only productive in itself, but also a positive condition that made achievement from writing to literature possib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