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창암 박만환의 『여사서』 언해본의 특징과 의의 (A Study on Changam Park Man-hwan's Interpretation of 『Yeosaseo』)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23.12
28P 미리보기
창암 박만환의 『여사서』 언해본의 특징과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젠더와 사회   / 1권 / 34호 / 105 ~ 132페이지
    · 저자명 : 김기림

    초록

    본 논문은 개화기 때 창암 박만환이 중국의 여성 교훈서인 『여사서』를 언해한 『여사서』 언해본을 대상으로 언해 양상과 그 의의를 고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여사서』는 중국 청나라 때 왕상이 편집하고 주석을 달아 놓은 여성 대상 교훈서이다. 1907년에 박만환이 영주정사에서 언해하여 간행했다. 본 논문은 박만환의 『여사서』언해를 대상으로 하여 언해본 간행 과정, 언해양 상 및 그 특성을 고찰했다. 또한 당시 여성 교훈서 맥락 속에서 차지하는 의미도 살폈다. 박만환은 1907년에 『여사서』를 언해하여 전우에게 검증을 받았고, 송병순이 쓴 서문과 전우가 쓴 발문을 넣어 『여사서』를 간행했다. 체제를 보면 한문 본문과 언해를 분리하여 배치하여 중국판 『여사서』의 한문 본문과 주석을 그대로 싣고, 본문 또는 주석을 언해한 내용을 붙였다. 이는 영조 때 언해한 『여사서』에 한자의 음을 표기해주었던 방식과 다르다. 주석에 대해서는 주로 여성들의 모범적인 행적을 서술한 사례를 중심으로 했고, 여성의 행적과 관계없는 주석은 생략하고 언해하지 않았다. 특히 여성에 대한 교훈적인 내용, 여성이 지켜야 할 행동 규범 등의 내용이 많은 『여계』『내훈』『여논어』의 주석은 전혀 언해하지 않았다. 반면 『여범첩록』은 여성들의 모범 적 행실을 주석에 자세하게 설명했는데, 박만환은 이를 충실하게 언해했다. 이처럼 박만환은 여성들의 모범 사례 중심으로 『여사서』를 언해하여 여성들이 모범으로 삼아 실제 실천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자 했다. 개화기에는 여성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여성 대상 교훈서들이 많이 제작되었다. 박만환의 『여사서』언해도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였던 것이다. 또한 여성도 국가 구성원으로서 규정되면서 국가 및 임금에 대한 여성들의 충의적(忠義的) 인식이나 태도가 중시되 었다. 여성 교훈서에서도 이를 강조하는 추세였는데, 박만환도 『여사서』를 언해하면서 주석 내용 가운데 의나 예를 잘 지켰던 여성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언해를 했다. 박만환의 『여사서』 언해는 사회적으로 여성 교훈서 필요성에 부응하면서 여성들의 의식 확장을 해보고자 했던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atterns and significance of the interpretation of 『Yeosaseo』, a Chinese teaching book for women, written by Changam Park Man-hwan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Yusisaseo』 is a book of instruction for women edited and annotated by Wang Sang during the Qing Dynasty in China. In 1907, Park Man-hwan translated and published it at Yeongjujeongsa. This paper studied the translation of Park Man-hwan's 『Yeosaseo』 and examined the publication process, the interpretation pattern, and its characteristics. We also looked at the meaning within the context of women's instruction books at the time. In 1907, Park Man-hwan interpreted 『Yeosaseo』 and received verification from Jeun woo. He published it with Yeosaseo with a preface written by Song Byeong-soon and an afterword written by Jeun woo. If you look at the system, the original Chinese text and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language are placed separately. This method is different from the one that was translated into Korean during the Yeongjo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nd wrote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And Park Man-hwan selected only the exemplary deeds of women from the contents of the commentary and translated them into Korean. In particular, the annotations of 『Yeogye』『Naehun』『Yeo Analects』, which contain a lot of didactic content about women and behavioral norms that women should follow, were not explained at all. On the other hand, 『Yeobeomcheoprok』 explained the exemplary behavior of women in detail in the annotations, and Park Man-hwan faithfully explained this. In this way, Park Man-hwan tried to interpret 『Yeosaseo』 focusing on the exemplary examples of women and encourage women to use it as an example and put it into practice.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the need for women's education was emphasized, and many textbooks teaching women were produced, and Park Man-hwan's interpretation of 『Yeosaseo』 was in line with this trend. In addition, women's loyalty and attitude toward the state and wages were emphasized as they recognized women as members of the state, and this trend is reflected in the women's guidebook, and Park Man-hwan's interpretation of the 『Yeosaseo』 focused on responding to social demands and expanding women's conscious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젠더와 사회  ”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