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退溪 李滉의 인문적 聖學과 旅軒 張顯光의 자연적 聖學 -도설자료로 본 旅軒의 退溪 聖學觀 수용 및 변용- (The Humanistic Sage Learning of Toegye Yi Hwang and the Naturalistic Sage Learning of Yeoheon Jang Hyeongwang -Yeohon's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Toegye’s View on Sage Learning-)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24.07
34P 미리보기
退溪 李滉의 인문적 聖學과 旅軒 張顯光의 자연적 聖學 -도설자료로 본 旅軒의 退溪 聖學觀 수용 및 변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번역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 / 67권 / 27 ~ 60페이지
    · 저자명 : 이원준

    초록

    본 연구는 退溪 李滉(1501∼1570)의 『聖學十圖』와 旅軒 張顯光(1554∼1637)의 『易學圖說』 卷6 「類究」편 「敎學」장을 통해 두 학자의 성학관을 비교한 것이다.
    旅軒의 「敎學」은 다른 우주만물과 마찬가지로 ‘학문’ 또한 역의 순환구조 하에 놓여 있음을 밝히기 위해 20개의 圖式을 수록한 것으로, 旅軒은 이를 저술하는 과정에서 『聖學十圖』에 수록된 네 가지 圖式인 「小學圖」와 「大學圖」, 「敬齋箴圖」와 「夙興夜寐箴圖」를 인용하였다. 네 圖式은 『聖學十圖』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 관건이 되는 圖式들로, 이로 인해 旅軒의 「敎學」은 退溪의 『聖學十圖』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退溪와 旅軒의 도설 자료는 모두 인간이 학문을 통해 본연의 도덕성을 깨닫는 방법을 명시한 저작으로 보는 것이 가능해졌다.
    退溪의 『聖學十圖』는 ‘본원-교육-실현-실천’의 선형적 구성을 취하고 있으며, 여기에 수록된 열 개의 圖式을 일관하는 가치는 인간의 내면적 수양을 중시하는 ‘敬’이다. 반면, 旅軒의 「敎學」은 ‘본원-교육-실천-실현-본원’으로 가장 마지막 圖式과 가장 처음의 圖式의 성격이 일치하는 원형적 구성을 취하고 있으며, 이는 자연적 순환을 상징하는 ‘易’의 원리를 보여준다. 『聖學十圖』의 선형성은 退溪의 聖學이 인간의 본성 회복에 중점을 둔 ‘인문적 聖學’에 가까움을 보여준다면, 「敎學」의 원형성은 旅軒의 聖學이 학문 또한 ‘易’의 순환구조 하에 놓여있음을 증명한 ‘자연적 聖學’에 가까움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views on “sage learning” expounded by Toegye Yi Hwang (1501-1570) in Seonghaksipdo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and by Yeoheon Jang Hyungwang in the Kyohak chapter from the sixth volume of Yeokhakdoseol (The Collective Diagrams on the Book of Changes).
    Yeoheon's Kyohak contains 20 diagrams, illustrating that Confucian learning, like all other elements of the universe, is governed by the cyclical structure of the yi (易, in The Book of Changes). In crafting this chapter, Yeoheon referenced four diagrams from Toegye's Seonghaksipdo, including Sohakdo (The Diagram of the Elementary Learning), Daehakdo (The Diagram of the Great Learning), Gyeongjaejamdo (The Diagram of the Admonition for Mindfulness Studio), and Sukheungyamejamdo (The Diagram of the Admonition on Rising Early and Retiring Late). These four diagrams are crucial for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Seonghaksipdo, leading to a structural similarity between Yeoheon's Kyohak and Toegye's work. Consequently, the diagrammatic writings of both Toegye and Yeoheon can be seen as works that specify methods by which humans realize their inherent morality through Confucian learning.
    Toegye's Seonghaksipdo adopts a linear structure of “origin-education- realization-practice,” unified by the value of reverence (敬, gyeong), which emphasizes inner moral cultivation. In contrast, Yeoheon's Kyohak follows a cyclical structure of “origin-education-practice-realization-origin,” where the character of the last and first diagrams aligns, symbolizing the principle of change (易, yi) and natural cycles. The linearity in Seonghaksipdo reflects Toegye's focus on humanistic sacred learning aimed at restoring human nature, while the cyclicality in Yeoheon's Kyohak suggests that learning itself is embedded within the cyclical structure of the yi, indicating a naturalistic approach to sage learn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