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여성 주체로서의 여학생과 독서체험 (The school girls as modern female subject and reading experienc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04.08
32P 미리보기
근대 여성 주체로서의 여학생과 독서체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13권 / 245 ~ 276페이지
    · 저자명 : 김옥란

    초록

    근대의 학교란 ‘읽고 쓰는 능력’,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근대적 지식을 습득하는 곳이고, 그러한 문자 교육이 결국 ‘모국어’를 기반으로 한 것, 근대적 민족 혹은 국가 개념을 기반으로 한 것이라는 점에서 근대 학교교육은 궁극적으로 ‘국민’을 길러내고 근대적 국가의 체제를 재생산해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바로 여기에서 식민지 시대 학교교육의 모순이 발생하는데, ‘모국어’를 ‘국어’로 학습할 수 없었던 식민지 상황, 게다가 여성교육의 경우 상대적으로 제도권 교육의 무관심으로 인해 기독교계 교육이 중심이 되면서 영어독본이 주된 학습내용이 되었던 아니러니칼한 상황은 식민지 시기 학교체험과 여성교육의 중층적 성격에 주의를 기울이게끔 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제도권 근대교육에 대한 여성들 스스로의 입장은 어떠했는가. 이를 1920년대 이후 새로운 사회적 존재로 부각된 여학생을 중심으로 살펴볼 수 있는데, 여학생들은 1920년대 이후 사회적 문화적 코드의 하나로 인식되었던 ‘신여성’의 중요한 한 축이었다. 그러나 1920~30년대 여학생들은 동시대에 광범위하게 형성되었던 신문 잡지 및 출판시장 등 대중문화의 향수층으로 주로 위치지워졌는데, 이 시기부터 이미 대중문화와 여성과의 친연성이 공식화되어 언표되었다. 예컨대 1920년대 여학생들의 연애소설 등에 대한 감상적 문예취향은 여성독자에 대한 계몽담론을 쉽게 용인해주는 근거가 되었다. 그러나 식민지 시기 여학생, 여성 지식인들은 근대 식민지 학교교육과 자신들의 모순적인 관계를 분명히 인식하고 있었고, 1920년대 중반 사회주의 사상의 영향에 따른 여성운동이 펼쳐지기도 했다. 이른바 사회주의 여성들이 그들이다. 이러한 여성 주체의 의식적인 활동의 장으로 특히 독서의 영역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독서의 행위는 제도권 교육과 함께 공존하면서 개인의 자율적 영역에 속하는 장이자 독서회의 경우에서처럼 제도권 교육의 영역을 넘어서 존재하는 집단적인 차원의 영역을 구성하기도 한다. 식민지 시기 교육받은 급진적인 여성들이 자유연애나 붉은 연애와 같이 파격적인 삶을 선택할 수 있었던 것도 바로 이러한 독서에 의한 학습과 의식화 과정을 거쳤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전문학교 이상 여학생들의 독서목록이나 독후감 등의 자료를 통해서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A modern school is a place where people is to get a modern knowledge with the ability of ‘reading and writing a letter’. Considering such an education is based on their mother tongue, fundamental notion of modern race or nation, the ultimate goal in a modern school is to raise good sense of people and to reproduce a modern system of a nation. At this point, the contradiction of school education in colonial-era was made. The colonial era school experience and the complex aspect of education for women were noteworthy because of the situation; the colonial circumstance of not being able to study mother tongue as national language and ironical situation of studying mainly the English text book since the major part of the education for women was christian-oriented. The stand point of the women for the modern national education system was studied by the school girls who became a social existence of the 1920s and were recognized a part of 'New Women'. But the school girls of 1920s to 1930s were positioned to the consumer of popular culture of news papers and publishing market which were spreaded widely at that time. From that time, already,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women and popular culture, such as romances, books of love letters and so on, was generally accepted. But school girls and intelligent women in colonial-era had recognized definitely the contradictory relations between themselves and the national education system and had leaded the movement of feminism based on socialism in the middle of 1920s. They were the so-called ‘socialist women’. The reading had a important role in the conscious activities of female subject and has been consist of the collective field which existed beyond the national education system, such as the reading club. The radical women educated in colonial-era had choose the irregular life like ‘love and marriage’, ‘socialist love’ due to the conscious process and study by the means of ‘reading’. It can be conformed concretely through the reading list and the book review of women whose educational background were more than college-grad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허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