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연 문학의 화법 교육적 배치를 위하여 (For the replacement of Public Performance Literature in the Territory of Teaching Speaking)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08.06
26P 미리보기
공연 문학의 화법 교육적 배치를 위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교육 / 126호 / 31 ~ 56페이지
    · 저자명 : 류수열

    초록

    이 글은 화법을 비롯한 의사소통 능력이 단순히 기계적인 훈련을 통해 도달할 수 있는 기능일 수 없다는 상식을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고 있다. 이 상식이 부정될 수 없다면 문학, 그 중에서도 공연 문학이 화법 교육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감을 가지고 그 구도를 구상해 본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주목해 본 것은, 말하기에서 음성과 동반되는 여러 가지 요소들에 주목했다. 화법 교육에서 표정이나 신체의 움직임이 음성 자체에 비해 부가적인 요소로 간주되고 있는 경향을 ‘음성 중심주의’로 보고, 이러한 편향을 바로잡을 수 있는 근거를 공연 문학의 실상에서부터 찾아보았다. 일상적인 말하기에서는 음성 언어를 보완하는 수준을 넘어 대체하는 경우나, 동작이 선행되고 음성 언어가 보조적으로 수반되는 경우도 많다는 점을 중시한 것이다.
    또한 화법 교육의 목표나 내용에 관한 진술이 언어의 도구성에 경도되어 한국어라는 개별 언어의 특수성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고 보아, 이에 대한 대안으로 공연 문학의 언어로부터 문화론적 관점을 확충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더불어 화법 교육에서 요구되는 세부적인 수행 원리를 제공해 주는 원천으로서 공연 문학에 주목할 필요성도 함께 제기했다.
    또 다른 층위에서는 인간의 언어생활이 연극적 메커니즘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회학적 관점에 기초하여, 화법 교육의 학습자들이 자신들의 언어생활을 메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근거를 공연 문학의 언어에서 발견할 수 있어야 한다는 당위적 명제도 제기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based on the commonsense that communicative competence is not able to be achieved through mechanical exercise. When this commonsense couldn't be denied, I expect that public performance literature can take more important role in teaching speaking. Public performance literature is defined as the literature realized only by public performance.
    The first thing I attended on the different factors accompanied with speech act. I defined the tendency that nonverbal language is regarded as secondary factors as 'sound-centrism'. There is so many case in ordinary life that verbal language is replaced or supplemented by nonverbal language. I found out the foundation which can set right this tendency to sound-centrism.
    And I evaluated that the statements about the goals or contents of teaching speaking are slanted towards language as tool and lack the consideration for Korean as individual language. In this case, the language of public performance literature would be nice source which can provide the abundant cultural base to teaching speaking. In addition, I argued that it is necessary to attend to the language of public performance literature as the source which can provide abundantly the concrete principle of speech performance.
    Furthermore on the base of social science, I proposed the proposition which the learners can recognize that ordinary language activity is realized in the dramatic mechanism by finding out clues from the language of public performance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