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새로 발견된 목판본 "동경대전"에 관하여 (A Study of the Newly Discovered Wood-Block Printing, Dongkyung Daejeon (東經大全))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0.12
30P 미리보기
새로 발견된 목판본 "동경대전"에 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학학회
    · 수록지 정보 : 동학학보 / 20호 / 201 ~ 230페이지
    · 저자명 : 윤석산

    초록

    본 글은 ‘새로 발견된 목판본’이 최초의 목판본인 동경대전 경진판(1880년)임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밝히기 위하여 도원기서를 중요한 자료로 참고하였다. 또 ‘새로 발견된 목판본’과 계미중춘판(1883년 봄), 계미중하판(1883년 여름), 무자계춘판(1888년 봄) 등을 서로 비교, 고찰하였다.
    도원기서에서 경진판 동경대전에 관하여, ‘경전(經典)’이라고 하지 않고, ‘문집’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새로 발견된 목판본’은 그 체제가 ‘문집(文集)’의 형태를 띠고 있다.
    또한 계미중춘판 발문과 무자계춘판 발문에서 경진판의 모습을 찾을 수 있다. 계미중춘판과 무자계춘판의 발문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새로 발견된 목판본’에서는 많은 문장들이 빠져 있음을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논학문」을 「동학론」이라고 표기하고 있다.
    옛글은 띄어쓰기가 전혀 되어 있지를 않다. 띄어쓰기를 하는 경우는 존경을 나타내는 대상 앞에만 한 칸 띈다. 계미중춘판이나 계미중하판, 또는 무자계춘판은 ‘천주’나 ‘상제’, 수운 선생을 뜻하는 ‘선생’의 앞은 한 자씩 띄어 썼다. 그러나 ‘새로 발견된 목판본’은 ‘영(靈)’, ‘교(敎)’, ‘천령(天靈)’, ‘천도(天道)’, ‘강령(降靈)’, ‘왕(王)’, ‘선고(先考)’, ‘시(侍)’ 등의 앞에서도 띄어쓰기를 하고 있다.
    ‘새로 발견된 목판본’의 표지와 계미중춘판 표지는 같은 목판에 의하여 인쇄되었다. 따라서 이 두 판본은 상당히 비슷한 시기에 판각이 되고, 또 간행이 되었음을 알 수가 있다. 그러나 두 판본을 표지와 목차를 비교해 본 결과 ‘새로 발견된 목판본’의 표지가 원본이고, 계미중춘판의 표지가 ‘새로 발견된 목판본’의 표지 목판을 빌려서 사용했음을 알 수가 있다. 따라서 ‘새로 발견된 목판본’이 계미중춘판보다 먼저 간행이 된, 동경대전 목판본 중 가장 오래된 판본임이 증명이 된다.
    지금까지 제기한 여러 면들이 ‘새로 발견된 목판본’이 동학 최초의 목판본인 ‘경진판 동경대전임을 증명할 수 있는 증거들이 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 newly discovered wood-block printing process known as a Gyungjin-Printing (庚辰版) called Dongkyung Daejeon (東經大全). This is the first known example of Dongkyung Daejeon wood-block printing.For this purpose, I refer to Dowongiseo (道源記書) as a very important material. And I compared 'newly discovered wood-block' with Gyuemi Chungchoon printing(癸未仲春版), Gyuemi Chungha printing(癸未仲夏版), and Mooja Gyuechoon printing(戊子季春版).


    In the Doweongiseo, it says a collection of works, does not say a scripture about Gyungjin printing Donggyung Daejeon. The newly discovered wood-block printing has a system of a collection of a works.


    There are some aspects of Gyungjin-Printing in the introduction of Gyuemi Chungchoon printing and Mooja Gyuechoon printing. They say that there is some missing sentence in Gyungjin-Printing. So I checked for the new discovered wood-block printing. And I know that the newly new discovered wood-block printing has many missing sentences.


    There were no spaces between words in the old fashioned style Chinese character sentences, but there were spaces before a respected object. There are spaces before the word God and before the name of the founder of Donghak in the Gyuemi Chungchoon printing (癸未仲春版), Gyuemi Chungha printing(癸未仲夏版), and Mooja Gyuechoon printing (戊子季春版). There are also spaces before the names of the Spirit, the Teaching, the King, and Suun's father in the newly discovered wood-block printing.


    The front cover of the newly discovered wood-block printing and Gyuemi Chungchoon printing were printed with the same wood-block, therefore we know that the two books were printed in very closed term. And I can confirm that the front cover of new discovered wood-block printing was printed by original, because the chines characters of front cover are the same style as the table of contents in the newly discovered wood-block printing.
    These are the evidences to proof that the newly discovered wood-block printing is the Gyungjin-Printing (庚辰版) Dongkyung Daejeon (東經大全).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학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