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윤지당의 자기 정체성 구성에 대하여 (On the Construction of self identities of Yim Yunji- da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9.08
23P 미리보기
임윤지당의 자기 정체성 구성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20권 / 2호 / 27 ~ 49페이지
    · 저자명 : 구민정

    초록

    임윤지당은 유교 사회인 조선에서 여성의 자아정체성과 젠더 권력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인물이다. 윤지당은 남성들에 의해 ‘여중군자’라는 칭호를 받았다. 그러나 그 스스로는 ‘학자’이자 ‘성인’이 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상반된 정체성 규정 속에서 이루어지는 현실적 타협을 통해 각자들의 복잡한 생존 전략이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윤지당은 여성 문인으로 알려지기 시작했지만, 점차 유교 사상과 역사연구자들의 관심을 받아왔다. 그러나 시대적 맥락을 고려한다면, 그녀의 지적 성취가 당시의 남성 주류 사회에서 인정을 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윤지당의 지적 수준과 주장은 보수적인 당시 주류 사상을 반복하는 수준이었다고 할 수 있다.
    <유고>를 통해 알 수 있는 윤지당의 성취는 당대 여성들에게는 높은 수준의 학문이 허용되지 않았던 상황에서 이루어진 수고의 결과였다. 실천적으로나 이론적으로 윤지당은 학자로 불리울 만하다. 지속적인 독서와 저술로 이기론에 입각한 당대 주류 유교 이론을 익히고, 이를 바탕으로 일상에서 실천했다. 이로써 가족 남성들을 중심으로 당대 주류 남성들로부터 ‘여중군자’로 인정받았고, 그 결과 <유고>가 편집, 출판되었다.
    윤지당은 여성 성인에 대해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였다. <유고>에 있는 두 편의 여성 인물전(傳)을 통해 페미니즘의 원형을 찾아볼 수 있다. 나아가, 윤지당은 안자와 같은 ‘학자성인’이 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윤지당은 조선 후기 여성이 도달할 수 있었던 성인의 경지를 확장 시켰다. 이로써 윤지당은 스스로 자신의 정체성을 구성할 수 있었다.
    조선에서 여성의 활동의 결과인 유고가 남성의 인식을 통해 거르지 않고 보존될 수는 없었다. 그 당시 남성들은 윤지당의 주장을 그들의 기준에 맞춰 정당화하고자 했다. <유고>의 보존은 젠더의 권력관계의 결과였다. 그 안에서 우리는 남성의 의도와 윤지당이 말하고자 했던 것을 동시에 볼 수 있다. 남성들은 윤지당의 사후, 자신들의 지위를 확보하는데 윤지당이 남긴 업적을 이용하고자 했다.
    남겨진 윤지당의 사상은 후대의 여성들에게 새로운 여성상을 구성할 수 있는 토대가 되었다. 윤지당은 보편적 이론을 이해하고, 그것을 토대로 자신의 현실적 상황을 파악했다. 나아가, 독자적인 정체성을 구성하고 그에 맞게 생애를 살아냈다.

    영어초록

    Yim Yunji- dang was a person who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dentity of women and the power relationship of gender in Confucian Joseon society. In the 18th century, Yim Yunji-dangwho lived in the Joseon Dynasty, was given a title of ‘the Gentleman of women(여중군자)’ by men. But this woman who was recognized by men wanted to be 'scholar-sage' actually. Who is she? ‘the Gentleman of women(여중군자)’ or ‘scholar-sage’? The realistic compromise and the construction of self-identity show women's complex survival strategies.
    Yunji-dang was regarded as a female literate. The peculiarity of his writings has been emphasized, and the value of the doctrine has been of interest to the researchers of Confucianism and history. On the other hand, as her intellectual achievement was confirmed, it turned out not to be match with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time. Yunji-dang's doctrine was too conservative to define as a pioneer of the times, but it seems to be some critical consciousness about gender unequality. We can find the feminist consciousness, even though the earliest type it was, on her two ‘Biographies’ about women.
    The accomplishment of Yunji-dang, which can be confirmed through "Yugo", was obviously done with a hard carry under conditions not allowed to women. Practically and theoretically, Yunji-dang deserves to be called a scholar. As a scholar, she kept on reading and writing. And based on the mainstream Confucianism the ideology, practiced it in daily life. Yunji-dang presented a new interpretation of the sage for women. As a result, she was recognized as a "the Gentleman of women(여중군자)" by male mainstream men, and "Yugo" was edited and published.
    However, the identity of YunJi-dang was not hold there. YunJi-dang presented a new interpretation of female adults. And to be an "scholar-sage" like Anzai. Yun ji-dang expanded the case of a sage who a woman could reach in late Joseon. By this, YunJi-dang was able to construct his own identity.
    However, in the Joseon, the results of women's activities could not have been left without the filtering of men's recognition. The men of that time wanted to manipulate the YunJi-dang’s doctrine to meet their standards. The preservation of Yunji-dang was the result of power relationship of gender. On what Yunji-dang wanted to tell, we can find the sprout of feminist consciousness and the examplar of constructions of self - identity for our contemporary.
    The ideas of Yun Ji-dang left behi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ng a new female image for later generations. Yoon Ji-yong understood the theory and grasped his real situation. Based on it, she made up her own identity. Yun Ji-yang was a scholar who aimed for universality based on his specific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