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새로운 가사 작품 <반포가>에 대하여 (A New Work of Gasa, )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9.06
26P 미리보기
새로운 가사 작품 &lt;반포가&gt;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융합 / 41권 / 3호 / 617 ~ 642페이지
    · 저자명 : 강지혜, 박재연

    초록

    <반포가>는 시집가는 딸에게 행실을 가르치는 계녀가류 규방가사이다. <반포가>에는 친정어머니가 시집가는 딸에게 여성이 지켜야할 행실 규범과 덕목을 전달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화자인 친정어머니는 시집가는 딸과의 이별을 아쉬워하면서 결혼 후 안주인으로서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표기법과 내용을 살펴봤을 때, <반포가>는 갑오경장 이전에 지어진 것으로 추측된다. 아래아(ㆍ), 복자음, 복모음이 사용되었고, 내용 또한 유교적 성격이 강하다. 형식 또한 4․4조가 두드러지고 조어가 다듬어진 모습이 나타난다.
    서사에서는 시집가는 딸과의 이별을 아쉬워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시집가는 딸을 보내는 친정어머니의 마음과 여성의 역할을 잘 수행하기를 당부하고 있다. 본사에서는 안주인의 역할과 집안 내력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선행과 악행으로 이름난 여인들을 열거하며 여성의 역할과 조심해야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결사에서는 삼종칠거의 행실규범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반포가>를 통해 당대 봉건사회 안에서 여성에게 요구되는 바를 구체적 으로 살필 수 있다. 당시 여성은 남성 중심의 사회구조 아래 전통적 규범을 따라야만 했다. 자식을 잘 키우고, 남편을 잘 섬기는 일, 여성의 정절 등 봉건적 사상이 잘 나타난다. 결국 화자는 <반포가>를 통해 시집가는 딸에게 행실규범과 여성의 역할을 전달하고, 이를 잘 수행하여 가문의 체면과 명예를 유지하여 키워준 부모에게 효도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나타내고 있다.

    영어초록

    “Banpo‐ga” is a Gyenyeo‐ga type (prescriptive gasa) of Gyubang‐ gasa that teaches pre-married daughters proper conduct. “Banpo‐ga” daughter in the form of the norms and virtues that women should observe. The speaker, the mother, is reluctant to separate from her unmarried daughter and emphasizes her role as a hostess after marriage.
    Looking at the notations and the contents, it could be assumed that “Banpo‐ga” was written before the Political Reform in 1894. Arae (below)_Ah (ㆍ), consonant clusters, and diphthongs were used, and the contents are also characterized to be Confucian. The format also shows that 4‐4 sets stand out, and there appears to be a trimmed word formation.
    In the introduction, there is content that shows regret at the separation from her unmarried daughter. This contains the thoughts of the mother, who is sending information to the unmarried daughter and requests that her daughter perform the role of a woman. The discussion explains the role of the hostess and the family history. It also enumerates women who are named for good and evil, and emphasizes the role of women and the need to be careful. In the conclusion, the behavior norms of “three obedience and seven divorce causes” are specified in detail.
    Thus, through “Banpo‐ga,” we can examine specifically what was required of women in the feudal society of the time. At that time, women had to follow traditional norms under a male‐centered social structure. Feudal ideologies such as raising children well, serving their husbands well, and the fidelity of women are evident. Eventually, the speaker communicates the role of women and their conduct to her unmarried daughter through “Banpo‐ga,” so that her daughter can learn well and keep the honor of the family, showing the desire that her daughter should practice filial piety to the parents who raised 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융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3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