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범패(梵唄)라는 용어의 해석에 대하여 (About Interpretation of BUMPAE(梵唄;universal paean the Korean Buddhist chant))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20.12
28P 미리보기
범패(梵唄)라는 용어의 해석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44호 / 57 ~ 84페이지
    · 저자명 : 이병진

    초록

    범패(梵唄)는 불교의 의식음악이자 수행으로 불교가 있는 나라에는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종교현상이다. 범패의 한자 표현은 범패(梵唄)인데 이는 중국과 한국이 동일하다. 범패는 불교의 발생지인 인도에서 전해진 것으로 그 어원은 고대 힌두교 의식의 찬가를 뜻하는 pāṭha이며 현행 용어 범패(梵唄)도 범어식으로 보면 brahma와 pāṭha의 조합이다. 범패는 초기불교 교단에서 pāṭha(唄의 원어)로 불리던 것이 중국으로 전해져서 포개(蒲介;púgà), 파사(婆沙;póshà) 또는 패익(唄匿;bàinì) 등으로 번역되었고 범(梵)자가 결합하여 오늘날 사용하는 용어 범패(梵唄;fànbài)로 전해졌는데 본 논문의 주제는 그 용어의 해석 방향에 대한 고찰이다. 오늘날 한국불교에서는 범음․범패 및 어산․작법이라는 두 가지 형태의 용어가 사용되는데 전자는 다국적 범패를 수용한 의미를 가지고 후자는 중국 전승의 범패라는 역사적 의미가 강조되는 용어이다. 그 중의 범음(梵音)은 불음(佛音)이라는 의미를 가지는데 이는 범패를 통해 전승된 수행적인 의미가 강조되는 용어이며 범패는 의례에 소요되는 다양한 문화적 요소를 포괄한다. 뿐만 아니라 범패는 전독(轉讀), 패찬(唄讚), 가영(歌詠), 어산범패(魚山梵唄), 인도(引導)소리 등 법회의 목적과 행법에 따라 다양한 용어로 파생되었지만 이러한 용어들의 관리와 활용은 교단에 소속한 종교인들의 의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 대중에게 소개되는 용어는 최소한으로 족할 것이지만 그 용어해석은 사물의 본질에 상응하는 적절함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왜냐하면 범패는 불교의 종교의례를 상징하는 중요한 용어이므로 그 의미의 전달은 민중의 불교에 대한 인식과 수용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BUMPAE(梵唄) is ritual music also self-reflection of Buddhism which are the phenomenon on every where if there are belief Buddhism. The expression of chinese character is Bumpae, those are same both of China and Republic of Korea. this like Bumpae was transmitted from India which is the place of origin of Buddhism, also that word is occurred on ancient hindu culture. The etymology of Bumpae is pāṭha meaned Veda chant of ancient hindu, interpret of word for present Bumpae are combination with brāhma' and ‘pāṭha’. However, also this etymology could not over to one meaning what is origin of shape only, according of that the position which are grown Buddhism as philosophy the one and only. The origin of Bumpae that just have been called as pāṭha in early Buddhim organization, called again as 蒲介(púgà), 婆沙(póshà) or 唄匿(bàinì) on the way of transliteration while following The silk road to China, was became the Bumpae(梵唄) word of present finally. Nowaday there are used the twice of couple words Bumeum(梵音)⋅Bumpae(梵唄) as meaning of acception for histories of multinational Bumpae and also Eosan(魚山)⋅Jakbeob(作法) as word which is belief as it is transmission from China only.
    The Bumeum has meaning that it's original sound of Buddha on the word of Bumeum⋅Bumpae, this is emphasize meaning of meditation in Bumpae. These meaning of BUMEUM(梵音;the universal sound) may had been transmission by JAMO(字母;Mother Character) in India, China and Korea also in Jittisory in Korea. We are able to know that These Bumeum are belief as it's a method to attain Buddhahood by best belief and methodology by trainees belong Mahayana Buddhism because that title has such meaning those are Buddha's voice and sermon. Particularly, these trend is very appeared deeply through sutras. The BUMPAE include like pray to Buddha, chanting sutra, play instruments, dancing, offering, Bumpae which attend to Korean YEONGSAN(靈山;spiritual mountain) ritual ceremony In the system of BUMEUM⋅BUMPAE(梵唄;universal paean). there are one kind of commonalities, it is element of praising when watch in position of Bumpae even those diverse practice are practiced by diverse type and methodology. Because the premised thing when join every practice are three devotions, and four pledges. If there aren't wish to praising, not can do to become a believer and vow. therefore, the suitable meaning of BUMPAE which is common title for BUMEM⋅BUMPAE there may as well going to be served to express like ‘The sound of praising Buddha.’ There are originated various style and mean of Bumpae but it is responsibility of experts to control for various words. Besides, it would be sufficient for the word to recommend for public as minimum word of numeral also the content should be suitable. because it would be foundation of increase for Buddhism culture also nostalgia of popular for suitable expression of word about Bumpae which are ritual ceremony and self-reflection of Buddhism. Therefor, I consider that the glossary of Bumpae should be stay not like “it is the sound from temple when have ritual ceremony” but it's advisable as the glossary “the sound for praise Buddha” or “the music for praise Buddh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