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명어의 탈락과 축약 현상에 대하여 (On the Deletion and Coalescence of Place Nam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08.12
26P 미리보기
지명어의 탈락과 축약 현상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58권 / 51 ~ 76페이지
    · 저자명 : 김정태

    초록

    본고는 지명에 대한 음운론적 고찰이다. 즉 탈락과 축약 현상의 특징과 그 원인을 구명코자 한 논의였다. 요약하여 결론으로 삼고자 한다.
    첫째, 전부지명소에서의 탈락 현상은 ‘ㄹ’탈락이 적극적이다. ‘진골[골], 가는골[골], 소정이[들]’ 등은 ‘길+ㄴ+골, 가늘+ㄴ+골, 솔+정이’ 등처럼, 설단음(coronal) 앞에서 ‘ㄹ’ 탈락을 겪은 것들이다. 그러나 음절의 길이에는 변동이 없다. 이러한 탈락은 통시적인 현상으로서 일상어에서도 발견된다. 또한 ‘나무>남, 두꺼비>두껍, 뜸부기>뜸북, 너머>넘’ 등 말모음 탈락과 이차 지명 형성에서의 ‘바위>바’ ‘대문안>대문’ 등의 음절 및 형태소의 탈락도 전부지명소에서 발견된다. 이는 지명어만의 특징이 되는데, 호칭 및 지칭상의 길이 제약에 따른 지명어의 속성에서 기인한 것이다.
    둘째, 전부지명소에서의 축약은 ‘우+어>워’에서 나타난다. ‘부엉>붱, (구석>)구억>궉’ 등이 적극적이다. 방언적인 특성과 아울러 해당 지역 지명의 특징이 함께 고려되어야 할 축약 현상들이다.
    셋째, 후부지명소에서는 탈락 현상만 나타난다. 한정된 후부지명소에서 축약의 조건을 갖춘 지명소가 없기 때문이다. 탈락 현상도 제한적이다. 즉 지명의 갈래로서 ‘마을, 고을, 바위, 고개’와 후부지명소 무표지ø형에서 나타난다. 먼저 ‘마을’은 ‘말’의 실현이 적극적이며, 전국적이다. 지역적 방언의 영향으로 경북지역에서는 ‘말’에서의 ‘ㄹ’탈락형인 ‘마’가 충북 일원(영동 및 옥천 등)에까지 확대되어 실현되고 있으며, 경상도 해안 지역에서는 ‘ㆍ’의 변화에 의한 ‘몰>모’가 나타나고 있다. 특이 지명소로 ‘맛’이 경상 지역에서 발견된다. 그리고 ‘고을’은 ‘골’로의 동음 탈락형이 지배적이다.
    또한 ‘바위’는 충남에서 ‘바위>배’가 특징적이며, ‘바위’의 경북 방언형인 ‘바우>바’가 일례 나타나고 있다. 이 형태는 충남 금산 지역에서도 일례가 발견되었다. 경남 방언형인 ‘방우’에서 말음절 탈락형인 ‘방’이 후부지명소에서 나타난다. 모두 지명어에서의 특이한 형태들이다.
    아울러 경남에서는 ‘고개’에서 말모음 탈락형인 ‘곡’과 말음절 탈락형인 ‘(고>)꼬’도 나타나고 있다. ‘장사눈물-바위[바위]>장사눈물-ø[바위]’ 등과 같은 후부지명소의 탈락은 전국적이며, 적극적인 탈락이었다.
    결국 이와 같은 탈락과 축약은 방언과의 관련성뿐만 아니라 지명어 자체의 특징이 되는데, 호칭 및 지칭상의 길이 제약에 따른 지명어의 속성에서 기인한 것들이다.
    마지막으로 지명어에서의 음운현상에는 두 가지 과제가 남아 있다. 하나는 탈락과 축약 외에 다른 음운현상에서의 특징을 분석해 내는 일이고, 또 다른 하나는 전국적인 지명을 대상으로 전국적인 방언과의 관련성에서 그 특징을 천착하는 일이다. 후일의 과제로 남긴다.

    영어초록

    Studying place names are as important as studying dialects as language materials because they are matched common rules and changes of local languages or dialects. So far, as for place names, the studies of phonology, morphology, coinage, lexicon, etymology have been made as well as abundant research on them in terms of borrowing words and language policy.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phonological approach on place names specifically on deletion and coalescence. Generally, deletion and coalescence of place names are matched with every day words. For example, place names such as ‘진-골(ʧin-kol)[valley], 가는-골(kan∔n-kol)[valley], 소-정이(so-ʧəŋi)[field]’ delete "ㄹ(l)" in front of coronal such as ‘길-(kil-)+ㄴ(n)+골(kol), 가늘-(kan∔l-)+ㄴ(n)+골(kol), 솔(sol)+정이(ʧəŋi).’ These deletions are found in every day words as diachronic phenomena. The partial coalescence of place names show the same changes. ‘붱-바우(pwəŋ -pau)[rock], 붱이-굴(pwəŋi-kul)[cave]’ are form of coalescence from ‘부엉이(puəŋi)>붱이(pwəŋi)’ (by semivowel).
    However, place names have their own specific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every day words in terms of deletion and coalescence. First, ‘엄남-골(əmnam-kol)[village], 팽남-샴(phɛŋnam-syam)[spring], 해넘-재(hɛnəm-ʧɛ) [hill]’ show the same deletion form as ‘나무(namu)>남(nam), 너머(nəmə)>넘(nəm)’. Second, word ‘마을(ma∔l>말(mal)’ is discovered in place names nationwide. Although it is restricted in location, ‘마을(ma∔l)>말(mal)>마(ma)’ is discovered such as ‘골-마(kol-ma)[village], 안-마(an-ma)[village], 큰-마(kh∔n-ma)[village].’ Third, there is a place name such as ‘바위(paü)(rock, 岩)>바(pa), 바위(paü)>배(pɛ),’ ‘물탕-바위(multhaŋ-paü)>물탕-바(multhaŋ-pa) [rock], 줄-바위골(ʧul-paükol)>줄-박골(ʧul-pakkol[valley], 갓-바위(kat-paü)> 갓-바(kat -pa)[rock].’ These deletions are not discovered in every day words. They are shown only on place names.
    Also, there is a coalescence that is shown only in place name such as ‘궝-말(<궉-말)(kwəŋ-mal)[village], 궉-들(kwək-t∔l)[village], 궉-태(kwək-thɛ) [valley].' As seen in ‘구억-말(kuək-mal)[village], and 구억-들(kuək-t∔l)[village]’ they are developed forms of ‘구석(kusək)’ from ‘구석>구억>궉(kusək>kuək>kwək).’ That is, these words are special place names that are inferred from ‘ㅅ(s)’ phonological history.
    As seen above, place names show special deletion and coalescence because of local specificity that limits the length of place names and tit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