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기지역 조선시대 후기 주거[民家]의 조성방식과 상부시설 검토 —‘呂’자형, ‘日’자형을 중심으로 (Examination of the Architectural Construction Method and Superstructure of Late Joseon Dynasty Dwellings (Private Houses) in the Gyeonggi Region : with focus on ‘呂’-shaped and ‘日’-shaped house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23.06
30P 미리보기
경기지역 조선시대 후기 주거[民家]의 조성방식과 상부시설 검토 —‘呂’자형, ‘日’자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고학보 / 2023권 / 2호 / 407 ~ 436페이지
    · 저자명 : 김용호

    초록

    현재까지 조선시대 주거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전기에만 한정되어 있고, 형식을 분류하거나 성격을 추론하는정도였다. 이러한 이유는 지금껏 조선시대 후기 취락 발굴 예를 찾아보기 힘들었고 그만큼 관심도 적은 탓이클 것이다. 최근 들어 경기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후기 취락 유적의 사례가 축적되기 시작하면서 주거지에 대해 어느 정도 구체적 검토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 글은 보고된 조선시대 후기 주거의 조성방식과 벽체 및 상부구조에 관한 특징을 살펴보고, 고고학적흔적과 함께 민속학적 자료를 발췌하여 수혈식+움집구조라는 확증편향에서 벗어나 새로운 가능성도 함께 열어 두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연구자들과 조사자들이 이전까지 조선시대 전기와 후기 주거지 모두 맹목적으로 수혈식+움집이라 수용했던 구조에 관해 강한 의구심이 드는 몇 가지 문제점을 살펴보고 또 다른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먼저, 조선시대 후기 주거의 저장매납시설과 야외취사시설을 통해 당시 구지표면을 복원하여 수혈식보다는 지상식 또는 반지상식으로 조성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동일형식의 중복관계를 분석하여설득력을 높이고자 하였다.
    벽체와 상부구조에 있어서는 일부 유적에서 확인된 주거 내 기초시설을 통하여 흙담 또는 토석담의 벽체시설과 보와 도리, 서까래를 얹은 상부구조의 건축기술을 제시하였는데, 벽체시설까지 잔존한 전국의 조선시대 후기 유적의 사례를 통해 본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출토유물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상부시설을 온전하게갖춘 목조구조나 가구 및 장식품에 적합한 철제 문고리, 경첩, 자물쇠, 청동열쇠 등이 보고되어 이와 같은 가능성을 한층 높였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조선시대 후기와 근대의 민속학적 사례와 사진 자료를 비교하여 당시 혹은 그 이전의 유사한축조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는데, 조선시대 후기 주거의 조성방식과 벽체 및 상부시설이라 추론하는 데부족함이 없었다.

    영어초록

    Studies on Joseon Dynasty dwellings thus far have been mostly limited to its early period, and consist of mere inferences in terms of type classification and the identification of characteristics. The cause of such limitations can be found in the lack of settlement excavations dating to the Joseon Dynasty. However, late Joseon Dynasty settlement excavations has recently increased in the southern Gyeonggi region, which allows for detailed examinations of late Joseon Dynasty dwellings.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several issues regarding the architectural methods of construction, wall structures, and the superstructures of dwellings. By considering archaeologic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folk data, this study attempts to escape from the preconception of late Joseon Dynasty dwellings as only having pit-type + dugout structures, leaving the door open for new possibilities. Therefore, regarding the late Joseon Dynasty dwelling structures that were blindly accepted as having pit-type + dugout structures, several issues that led to strong doubts were examined in detail.
    First, by restoring the old ground surface through data related to storage pits and outdoor cooking facilities of late Joseon Dynasty dwellings, it was determined that the possibility of above-ground or in-ground constructions was relatively high. An attempt to strengthen the persuasive power of this suggestion was made by analyzing the overlapping relationships of the same types of dwellings.
    Regarding the wall structure and superstructure, the basic facilities of dwellings confirmed at certain ancient sites were referenced to form an understanding of wall structure facilities, such as mud or soil-stone walls, and the possibility that walled houses were constructed using beams, girders and rafters was suggested. An attempt to prove such a theory was made by utilizing the cases of late Joseon Dynasty sites featuring the remains of wall structure faciliti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excavated artifacts revealed the presence of items such as iron doorknobs, hinges, locks and bronze keys that are associated with wooden structures with proper superstructures, furniture, and ornaments. These findings greatly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that such wooden structures with proper superstructures may have existed.
    Lastly, this study attempted to look into similar construction methods of the time by extracting folk cases and photographic data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modern era, and they were all sufficiently useful in allowing inferences on the architectural methods, wall structures and superstructures of late Joseon Dynasty dwellings to take pl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