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철자형 주거문화권 철기 생산의 특징 - 북방 초원 지역 철·철기 생산유적과 비교 (Characteristics of Ironware Production in the ‘呂·凸’-Shaped Residential Culture - A Comparative Study on Iron and Ironware Products in the Steppe -)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22.05
43P 미리보기
여·철자형 주거문화권 철기 생산의 특징 - 북방 초원 지역 철·철기 생산유적과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51호 / 497 ~ 539페이지
    · 저자명 : 심재연

    초록

    여·철자형 주거문화권에서는 철기를 제작·수리하는 단야 유구가확인된다. 철기의 금속공학적 분석 결과, 괴련철을 원료로 정련 단야, 단련 단야 공정을 통하여 단조철기를 제작한 것을 확인하였다. 철기 제작에 필요한원료는 변진 지역에서 반입된 것으로 보았지만 판상·봉상철정의 동반 사례는 적다. 따라서 여·철자형 주거문화권에서는 판상·봉상철정이 유통되지 않고 제련로에서 생산된괴련철이 유통된 것으로 보인다.
    이 괴련철 생산 체계는 초원 지역을 거쳐 한반도에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남·북 분단체제로 인한 공백 지대가 있어 고고학적 증거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동요하(東 遼河) 최상류 장산(長山)유적에서 동반된 철 소재(铁条), 중원 선철계 철기와 괴련철계철기가 동시에 확인되는 집안 산성하고분군을 보면, 여·철자형 주거문화권에서도 초원지역을 경유한 괴련철계 철 생산 체계가 존재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여·철자형 주거문화권에서는 철 생산유적이 확인되지 않는 이유는 카티릭 5(Katylyg 5)유적 예를 보면, 여·철자형 주거문화권은 조사가 마을 유적을 중심으로 조사가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릉지대 말단부, 주거지역에서 일정 거리를 둔 지역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면 철 생산유적이 확인될 가능성이 크다.
    여·철자형 주거문화권의 철 생산은 일상용 철기 제작에 필요한 원료의 수급 체제일것으로 판단되며, 기원후 3세기경부터 자체 철 생산 보다는 외부에서 생산된 괴련철의반입을 통한 정련과 단야 공정을 거쳐 철기 제작이 진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In the ‘呂·凸’-shaped residential culture, smelting furnaces for producing iron have not been identified, but remains of ironware production or repairing iron tools have been identified in villages. In addition, through metallurgical analysis of iron materials recovered from the remains or derivatives of this iron production (eg, iron pieces, forged pieces, granular materials, etc.), iron pieces, and blast pipe pieces, the forged iron is finally forged through the refining and forging steps. It was confirmed that iron was produced.
    Although it was conventionally discussed that the raw materials required for iron making were brought in from the Byeonjin(弁辰) area, there are few cases of flat-type iron or rod-type iron ingort appearing in the Yeongnam region in the ‘呂·凸’-shaped residential culture. Therefore, it is highly probable that it was distributed as iron ingots produced in the smelting furnace, rather than being distributed in the form of plate-shaped iron tablets or rod-shaped iron tablets in the female-spirit type residential culture.
    It is highly likely that this production system for Bloomery iron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via the grassland area, but there is a limit to presenting archaeological evidence in the division system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However, looking at the coexistence of both Bloomery iron and Cast iron in Chinese ruins, I think it is valid that there existed a production system of iron and steel based in the grassland area in the ‘呂·凸’-shaped residential culture.
    The reason why iron-producing relics are not confirmed in the ‘呂·凸’-shaped residential culture is that, in the example of the Katylyg 5 site,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centered on the village ruins in the ‘呂·凸’-shaped residential culture. Therefor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iron production remains will be confirmed when the investigation is conducted on the extremity of the hilly area and the area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residential area.
    Iron production in the ‘呂·凸’-shaped residential culture area is judged to be a supply-demand system necessary for daily iron production, considering the aspects of iron tools confirmed centered on village ruins. It is believed that the process was carried out through the refining and blacksmith(鍛冶) process through the importation of ferrous ir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