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후기연극의 서사 구조에 나타난 여성 주체성의 재구성 연구 - 이브 엔슬러의 〈버자이너 모놀로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constitution of Female Subjectivity in the Narrative Structure of Postdramatic Theatre - Focusing on Eve Ensler’s 〈The Vagina Monologues〉 -)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25.05
19P 미리보기
후기연극의 서사 구조에 나타난 여성 주체성의 재구성 연구 - 이브 엔슬러의 〈버자이너 모놀로그〉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기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연기예술연구 / 38권 / 2호 / 201 ~ 219페이지
    · 저자명 : 장첨지

    초록

    본 연구는 이브 엔슬러(Eve Ensler)의 희곡 <버자이너 모놀로그>(The Vagina Monologues)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작품이 지닌 후연극적 서사 구조가 여성 주체성 구성에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규명했다. 기존 연구들이 사회적 영향이나 공연 실천에 초점을 맞춘 반면, 본고는 텍스트 내부의 구조적 전략에 주목하여, 탈중심성, 다성성, 상호텍스트성 등의 요소가 어떻게 전통적인 선형 서사를 해체하고, 여성의 다원적 경험을 수용할 수 있는 개방적 표현 공간을 창출하는지를 고찰했다. 이 작품은 단편화된 다중 독백 형식을 통해 단일 시각을 해체하고, 상이한 젠더 경험들을 병치함으로써 여성 주체성이 자율적으로 서사화될 수 있는 구조적 조건을 마련했다. 이러한 서사는 관객에게 정서적 공감뿐 아니라 인지적 전환의 계기를 제공하며, 개인의 젠더 정체성과 사회적 위치를 재고하게 한다. 서로 다른 목소리들이 병존하는 서사 구조는 관객이 기존의 성별 규범을 거리 두고 비판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유도했다. 이 과정에서 텍스트는 더 이상 닫힌 예술 작품이 아닌,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적 경험을 공적 담론으로 이행시키는 서사적 장치로 작동했다. 특히 이 작품이 ‘V-Day’ 운동으로 확장되며 세계적으로 재현된 사례는 특정한 중심 서사 없이도 다양한 여성 경험이 서로 교차, 재맥락화되며 사회적 실천으로 발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버자이너 모놀로그>의 서사 구조는 단순한 형식적 실험이 아니라, 텍스트의 구성에서 관객의 수용을 거쳐 사회적 파급에 이르는 다층적 과정을 통해 여성 주체성을 재현하고, 개별 경험과 집단 실천을 연결하는 연극의 수행적, 전략적 가능성을 드러냈다. 이에 본 연구는 <버자이너 모놀로그>가 탈중심화된 서사 구조를 통해 전통 연극의 표현 패러다임을 어떻게 전복하며, 여성 주체의 가시성을 어떤 방식으로 구축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와 같은 서사 구조가 공적 영역으로 확장되는 과정에서 여성 주체성의 사회적 표현을 어떻게 매개하는지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postdramatic narrative structure of The Vagina Monologues, a play by Eve Ensler, functions in the construction of female subjectivity. While previous research has primarily focused on the work’s social impact or its performance practices, this paper centers on the internal structural strategies of the text itself, examining how elements such as decentering, polyphony, and intertextuality dismantle the conventional linear narrative and create an open expressive space that embraces pluralistic female experiences. Through its fragmented format composed of multiple monologues, the play dismantles a singular perspective and juxtaposes diverse gendered experiences, thereby establishing structural conditions under which female subjectivity can be autonomously narrativized. This narrative not only evokes emotional empathy in the audience but also prompts cognitive shifts, encouraging a reconsideration of one’s gender identity and social position. The coexistence of divergent voices within the narrative structure enables the audience to critically distance themselves from normative gender ideologies. In this process, the text no longer functions as a closed artistic artifact, but rather as a narrative apparatus that transforms personal experiences into public discourse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Notably, the global dissemination of this work through the “V-Day” movement demonstrates that diverse female experiences can intersect, be recontextualized, and evolve into social action even without a central narrative. In conclusion,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Vagina Monologues is not a mere formal experiment; rather, through its multilayered trajectory—from textual composition to audience reception and social dissemination—it reveals the performative and strategic potential of theatre to represent female subjectivity and to connect individual experiences with collective practic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Bergeiner Monologue" subverts the expression paradigm of traditional plays through a decentralized narrative structure and builds the visibility of female subjects. Further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such a narrative structure mediates the social expression of female subjectivity in the process of expanding into the public doma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