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A Study on the Typology of Transformable Furniture in Micro-Apartment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23.12
14P 미리보기
A Study on the Typology of Transformable Furniture in Micro-Apartments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8권 / 8호 / 33 ~ 46페이지
    · 저자명 : Priscila Susana Zumarraga Suarez, 최정아

    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In response to the challenges posed by population growth, a new category of residential space, known as micro-apartments, has recently emerged. Efficient space utilization in these micro-housing environments has become a critical consideration. In recent times, transformable furniture has gained significance as an essential element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in these spaces and maximizing available space. However, research on transformable furniture is still limit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actical suggestions for the future use of transformable furniture in micro-apartments through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of transformable furniture within this context.
    (Method) To categorize adaptable furniture types in micro-apartments, our research initiated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definition of furniture, proceeded to a thorough historical review of transformable furniture, and explored classification mechanisms through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dditionally, a comprehensive case study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comprehend the utilization of transformable furniture, drawing from reputable publications of the last five years.
    Consequently, our research facilitated the classification of transformable furniture into vertical and horizontal transformations, aligning with prior studies that categorized spatial elements using these parameters. Further differentiation was achieved by examining specific mechanisms, notably, sliding and folding. Following this classification, an in-depth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the functional aspects related to human behavior both before and after furniture transformation. (Results) The analysis produced several noteworthy findings. Firstly, it became evident that the primary function of most transformable furniture is ease of storage when not in use. Secondly, horizontal transformable furniture aimed to extend the horizontal plane, facilitating various activities such as eating and working. Lastly, vertical transformable furniture was primarily designed to provide comfort for relaxation, ultimately enhancing the overall quality of life. These insights underscore the multifaceted role of transformable furniture in micro-apartments. (Conclusion) This study has revealed that transformable furniture is actively employed to maximize space efficiency in micro-apartments. Notably, transformable furniture in micro-apartments places significant emphasis on easy storage as an integral space-saving feature when not in use. Additionally, the expansion of horizontal plane utilization is crucial within micro-apartments to facilitate various human activities, including eating and working. Lastly, vertical transformable furniture, which undergoes a transition from hidden vertical spatial elements into horizontal plane furniture,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an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life by accommodating activities such as sleep and relaxation, which are fundamental to residential spaces. These discoveries emphasize the vital role of transformable furniture in augmenting the functionality and comfort of micro-apart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