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A Study on Organic Characteristics of Self-organized Spa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8.02
10P 미리보기
A Study on Organic Characteristics of Self-organized Space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3권 / 1호 / 11 ~ 20페이지
    · 저자명 : 한태권

    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Perspectives on space design are changing in the wake of the re-emergence of the complex system paradigm in the 21st century. If the motives of space design in the 20th century were mainly inspired by physics or machines; a space for organic shapes is now being created, using computers and inspired by biology, under the complex system paradigm. The need to consider th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nature inherent in the complex system paradigm, as well as the spatial application of such development characteristics has also been highlighted. More specifically, while a plethora of varied space design works emulating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sms based on the “self-organization” principle is appearing, the majority of such works are not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self-organization inherent in nature. Rather, these works imitate nature morphologically by simply adopting the principle of the creation process. However, the purpose of space as a living system—which is created through self-organization under the complex system paradigm—is to create an organic space akin to nature; that is, to create an open system through various space designs that places uncertainty under control, rather than simply imitating nature morphologically. As such,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if a self-organizing space can play the role of the open system required to control the unpredictable aspect of modern society. It did so by examining the potential of the space structure and analyzing the organic characteristics of space created through self-organization, a phenomenon inherent in nature. (Method) In Chapter 2,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an organism are interpreted from the systemic perspective, and its relational characteristics are derived from its interpretation. In Chapter 3,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self-organization are examined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homogenization of contemporary architectural space from the generative position. In Chapter 4, the organic characteristics of the actual self-organized space cases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organic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Chapter 2 and self-organizing types. The spatial potential of controlling unpredictable parts of modern society as a living system are also investigated. (Results) The results of analyzing organic characteristics through self-organizing types, can be categorized as follows: higher totality in self-aggregated organization, higher dynamic open structure in self-amplified organization, and higher nonlinear structure in the self-deformation organization. Overall, analysis revealed that the feedback structure had the largest proportion of organic characteristics in self organizing space. (Conclusions) This study found that self-organized space can form the total structure by non-linear interaction through dynamic openings; induce the feedback of human, space, and nature; as well as play a role as a living system in controlling the uncertainty of modern society through its organic characteris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