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쿵푸팬더>, <업>, <겨울왕국> 캐릭터의정신역동적 성장 구조 - 욕망 왜곡의 변인으로서 방어기제를 중심으로 - (Structure of Psychodynamic Growth in Characters Found in , , and - Focusing on defense mechanism as a variable of distorted desire -)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15.11
26P 미리보기
&lt;쿵푸팬더&gt;, &lt;업&gt;, &lt;겨울왕국&gt; 캐릭터의정신역동적 성장 구조 - 욕망 왜곡의 변인으로서 방어기제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예술과미디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과 미디어 / 14권 / 4호 / 145 ~ 170페이지
    · 저자명 : 양세혁

    초록

    본 연구는 중심캐릭터의 내적 갈등을 통한 성장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쇄적인 심리 변화의 인과관계를 정신역동적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정신역동은 무의식적 동기나 의도에 의한 역학적인 투쟁을 의미한다. 이러한 내적 갈등으로부터 자아를 보호하기 위하여 무의식적 상호작용에 의해 타협의 과정을 거치는데, 이때 작용하는 것이 ‘자아방어기제’이다. 이것의 원시적 속성은 두려움을 야기하는 현실의 문제를 왜곡함으로써 회피하거나 적응하려하는 자기기만적 대처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방어기제가 캐릭터의 근원적 욕망을 왜곡시키는 변인으로 작용하며, 캐릭터의 ‘성장’ 여부를 결정하는 정신역동 과정의 핵심이라는데 주목했다. 연구의 진행은 먼저, 자아정체감 회복의 전형적 성장담을 보여주는 애니메이션 세 작품을 선택했다. 성장과 성장 실패의 대조로써 논리를 검증할 수 있도록 ‘주동’, ‘반동’ 캐릭터를 각각 하나 씩 선택했다. 마지막으로, 방어기제 유형의 특성을 분석의 기준으로 활용했다. 이를 통해, 캐릭터의 정신역동은 ① 내재된 결핍에 의해 두려움이 발생하고, ② 방어기제의 작용에 의해 욕망이 왜곡되며, ③ 두려움의 극복을 통해 왜곡되었던 욕망이 회복되는 과정을 거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종합하여, 정신역동적 성장의 구조란 원시적이고 미숙한 방어기제로부터 성숙한 사용으로의 전환을 통해, 스스로의 결핍을 직시하고 포용함으로써 자신의 근원적 욕망과 연결시키려는 노력의 과정이라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끝으로,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내면적 변인을 분석하려는 시도의 난점은 캐릭터는 실체적 인간을 온전히 포괄할 수 없다는 점과, 작품 속 대사와 연기라는 정보의 한계였다. 이에, 관련된 타 학문과의 교류와 협업을 통해 보완할 수 있기를 제안하며 연구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ality of successive psychological changes occurring in the process of growth through the internal conflicts of main characters in the aspects of psychodynamics. Psychodynamics refers to dynamic struggle resulted from unconscious motivation or intention. To protect oneself from that internal conflict, one goes through the process of negotiation through unconscious interaction, and what works at this time is ‘self-defense mechanism’. The primitive attribute of this is self-deceptive coping to avoid problems in reality causing fear by distorting it or adjust oneself to it.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defense mechanism works as a variable to distort the character’s ultimate desire and is the core process of psychodynamics to determine the character’s ‘growth’. For the research, first, this author selected three animation works containing the typical stories of growth to recover self-identity. To verify the logic with contrast between growth and growth failure, this researcher chose one ‘leading’ and one ‘reactionary’ character. Lastly, the characteristics of defense mechanism types were used as the criteria of analysis. Through this, it has been found that in the characters’ psychodynamics, ① fear arises due to their internalized deficit, ② their desire gets distorted by the functions of defense mechanism, and ③ their distorted desire gets to be recovered through overcoming fear. To sum up, this researcher has concluded that the structure of psychodynamic growth is the process of endeavoring to convert primitive and immature defense mechanism into mature one to look squarely at and embrace their own deficits and link it with their own ultimate desire.
    Lastly, it was hard to analyze the internal variables of those animation characters because the characters could not manifest substantial humans holistically and all the information collected was lines in the works and their acting. Therefore, this author intends to end this research suggesting you to complement it afterwards through exchange and cooperation with other related scien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과 미디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