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셜 이노베이션 관점의 업사이클링 디자인 시민교육 프로그램 연구-해외 비영리기관 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Upcycling Design Citizen Education Program as Social Innovation -In the Cases of Non-Profit Organization's Programs of Overseas-)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18.02
14P 미리보기
소셜 이노베이션 관점의 업사이클링 디자인 시민교육 프로그램 연구-해외 비영리기관 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3권 / 1호 / 43 ~ 56페이지
    · 저자명 : 안성희, 신윤재

    초록

    (연구 배경 및 목적) 4차 산업혁명으로 불리는 기술혁명은, 그동안 미루어 두었던 사회문제들과 가속화되고 있는 환경적 위협과 맞물려 사회와 산업의 총체적 전환기를 조성하고 있다. 이제 모든 사람이 디자인을 하는 시대의 문턱에 와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시점에 다다랐다. 또한 흔히 공간을 제일 먼저 생각하게 되는 디자인 교육 역시 공간보다는 콘텐츠 중심적인 새로운 대안에 대한 수요가 생겨나고 있다. 지나간 20세기의 산업의 분류에 맞추어져 있던 디자인과 디자인 교육의 분류체계는 이제 새롭게 통합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인 양상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업사이클링 디자인(Upcycling Design)을 단순히 환경적인 차원이나 전문 디자이너의 차원이 아닌 시민 모두를 위한 디자인교육이라는 사회적인 관점을 담아서 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여 최근 대두되고 있는 업사이클링 디자인을 사회문제 해결에 니즈를 둔 소셜 이노베이션 관점의 시민교육 콘텐츠로 보고, 창의적 시민교육의 대안으로서 업사이클링 디자인의 새로운 가치를 연구를 통해 자리매김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의 가설은, 환경적 가치에서만 다루어졌던 업사이클링 디자인이 그 특성 상 최근 디자인에 있어 요구되고 있는 사회적인 기여, 공동 제작 등의 소셜 이노베이션적 요소들을 디자이너(교육자)를 비롯한 피교육자인 참여자 모두에게 경험하게 하는 흥미로운 대안적 디자인 조형 교육 프로그램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연구 방법론은 사례연구를 통한 정성연구 방법론이다. 본 논문은 가설을 기반으로 문헌연구를 진행하고 해외 비영리 기관의 업사이클링 디자인 사례연구와 분석을 통해 소셜 이노베이션 시민교육 프로그램의 특징요소들을 추출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로서 사례를 통해 소셜 이노베이션 관점의 시민교육 콘텐츠로서의 특징을 분석하고, ‘업사이클링 디자인 소셜 이노베이션 시민교육 프로그램 요소’를 4가지로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반영한 ‘업사이클링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특성 맵’과 ‘소셜 이노베이션 관점 업사이클링 시민교육 프로그램의 특성 모형’을 개발하였다. (결론) 이를 통하여 본 연구는 업사이클링 디자인 개념의 이론적․실제적 영역의 확장에 대한 유효한 기초연구를 제공할 것이다. 동시에 작금의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소셜 이노베이션 관점 디자인 교육의 실천적 대안을 마련하는데 방향성을 제공하고 향후 대안적 공공 교육기관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기획에 필요한 거버넌스 콘텐츠 디자인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Various social problems, environmental threats, and an accelerating technological revolution have emerged in the 21st century. An upcycling design is rapidly emerging in response to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demand for sustainable life resulting from changes in society and industry. We are at the threshold of the age of design, thanks to a networked society connected by Internet broadband. Design educators—often the first to think about space—are also creating a demand for new content-oriented alternatives .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wave of change, the fields of design and design education have become tailored to a new integrated system, which represents a transformation from the early industrial format of the 20th century. This paper begins from the viewpoint that upcycling design is an innovation, not just as an environmental dimension or a professional designer’s dimen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revise the value of upcycling design according to creative educational contents for citizens reflecting current trends—in other words, as a “social innovation.” (Research Method) The hypothesis of the study is that upcycling design has the potential to provide the content for an interesting alternative design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oblem solving, social innovations (contributions), co-designs, and collaboration among participants and designers (educators). The methodology of this paper is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case studies and analyses. Based on the hypothesis, cases of overseas upcycling design education programs were surveyed, and relevant characteristics were extracted and verified. (Results) As a result, this paper identifies the four characteristic elements of social innovation for a citizen education program (based on a case study). This paper presents a “characteristic map of the contents of the upcycling design education program” and a “characteristic model of the citizen education program.” (Conclusions) In summary, this paper provides the groundwork for a basic study on the expansion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domains of upcycling design concepts. It also gives direction for the practical alternative of design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innovation reflecting the needs of the times.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the design of a suitable content governance system that is necessary for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and planning of alternative public education institutions and cultural spa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