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내외 공간 업사이클링 사례 분석을 통한 디자인 특성과 재생 가치 연구 (A study on design characteristics and regeneration value through analysis of Korea and oversea space upcycling case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22.08
12P 미리보기
국내외 공간 업사이클링 사례 분석을 통한 디자인 특성과 재생 가치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7권 / 5호 / 371 ~ 382페이지
    · 저자명 : 이영주, 이재규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환경에 대한 인식 확대에 따라 기업들의 환경에 대한 활동들이 소비자들의 친환경 소비를 견인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재활용에 아이디어 및 디자인을 더 해 가치를 높이는 업사이클링을 생산하는 기업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며, 제품, 가구, 패션, 공간 등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다. 공간 업사이클링은 활용성이 낮아진 건축물이나 공간에 대하여 정체성은 유지하면서 새로운 기능과 용도의 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장기간 방치된 산업 시설을 박물관이나 문화시설 등으로 활용한 사례가 성공을 거두면서 건축 분야의 새로운 경향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외의 업사이클링의 적용사례 분석을 통한 공간디자인에서의 업사이클링의 성숙도를 살펴보고, 국내 대표적인 공공 공간 업사이클링과 비교하여 공간 업사이클링에서의 가치 측면과 디자인 특성 요소에서의 차이점에 찾고자 하였다. 나아가 국내 공간 업사이클링의 적용 실태를 분석하여 성공 요소들과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공간 업사이클링이 발달한 유럽과 미국, 중국 등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에 대하여 가치 분석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분석은 먼저 계량 정보 분석으로 기존 연구자들의 논문을 토대로 가치에 대하여 정의하고, 특성을 나열하고 주요 디자인 요소들에 대하여 전문가 조사를 진행하여 국내 공간 업사이클링과의 비교로 다른 요소들과 특성, 반영할 부분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나아가 국내외 대표사례들에 대하여 성공 요인도 분석하여 경쟁력 있는 업사이클링을 위한 공통적인 요소들을 찾았다. 대상물에 대한 분석 시기로는 해외 사례들은 산업구조의 변화 등으로 장기간 방치된 산업 시설의 활용방안 모색과 환경보호 이슈로 공간 업사이클링이 활성화되기 시작한 1990년대 이후로 하였고, 국내는 2000년대 후반에 시작된 공공시설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해외 유명 공간 업사이클링에 대한 사례 분석으로 살펴본 성공 요소들은 시민들이 공감하는 디자인 요소와 건물의 역사성을 이어가는 스토리텔링, 지속적이고 주변으로 확대할 수 있는 컨텐츠의 개발이 중요한 성공 요소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요소는 국내 사례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해외의 경우 컨셉 설계에서 완성까지의 전 단계에 다양한 시민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업사이클링을 개별적인 하나의 공간이 아닌 지역사회 전체 공간으로 확대하여 진행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우리도 도시 또는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공공시설에서 개별 상업시설로의 업사이클링을 확대 전개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결론) 우리나라의 공간 업사이클링도 전개 과정이나, 사업의 주체나 규모, 활용 방법이나 용도에 있어 점차 발전하고 있어 장래는 밝다고 생각한다. 성공적인 공간 업사이클링을 위해서는 정부의 지속적인 정책 지원과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는 지속적인 컨텐츠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공간디자인에 관한 관심과 창조적인 활동을 위한 노력이 꾸준히 지속된다면 우리의 공간 업사이클링도 세계적인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Consumer awareness about environmental protection is increasing nowadays, and suppliers are making efforts to manufacture eco-friendly products. Upcycling, which creates new products by adding value to discarded products, is being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goods, furniture, fashion, and space with various ideas and designs. Space upcycling is the process of reusing buildings or spaces that have been underutilized as areas with new functions and uses while maintaining their original appearance and identity.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Europe, many industrial facilities that have been neglected for a long time are being used as museums or cultural facilities. This study examines the maturity level of upcycling in spatial design through the analysis of overseas upcycling application cases and analyzes domestic upcycling cases to examine differences and major success factors. Furthermore, by analyzing the application status of domestic space upcycling,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that domestic upcycling should pursue in the future. (Method) Europe, the US, and China started upcycling early. Success factors, such as value analysis and characteristics of design, for upcycling of famous overseas spaces were found, and how they could be reflected in domestic space upcycling was reviewed. Additionally, success factors were assessed for representative cases to be successful in Korea, and it was clarified whether overseas and domestic have the same factors. The analysis period for overseas space upcycling was from the 1990s onward when foreign countries began looking for ways to utilize industrial facilities that had been neglected for a long time due to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In the case of Korea, the 2000s, when upcycling of public facilities began, was selected. (Results) As for the success factors examined through case analysis studies of domestic and oversea space upcycling, it was found that design that citizens sympathize with, storytelling in connection with the historicity of the building, and the development of continuous and expandable content are all important. With regard to other factors in the case of overseas, there was a tendency to expand to the entire space of the local community rather than to individual spaces to carry out upcycl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domestic upcycling to cities or local communities and to expand and develop upcycling from public facilities to individual commercial facilities. (Conclusions) Although domestic upcycling is less common than overseas upcycling, the difference is not large. It can be seen that patience, along with government policy support, active participation of citizens, and active businesses, is required for successful space upcycling. Further, it will be possible to have a competitive edge in space upcycling with interest and effort in the design fie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