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金昌業・李器之의 중국 문인교유 양상과 특징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 of Chinese Literati Friendships Kim chang-up and Lee gi-ji)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19.06
34P 미리보기
金昌業・李器之의 중국 문인교유 양상과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106호 / 253 ~ 286페이지
    · 저자명 : 신익철

    초록

    이 글은 金昌業의 『燕行日記』와 李器之의 『一庵燕記』를 대상으로 18세기 전반 한중 문인의 교유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두 사람의 연행록은 이 시기의 연행록 중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중국 문인과의 교유 기사 또한 상당히 풍부한 편이어서, 18세기 전반 한중 문인의 교유의 양상을 고찰함에 있어 적절한 텍스트로 생각된다.
    김창업이 교류한 중국 문인으로는 馬維屛・李元英・趙華・楊澄 등이 있다. 馬維屛은 화훼에 관심이 많던 김창업에게 水仙花를 선물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김창업은 북경 시장에서 수선화를 구입하여 귀국하였다. 이는 조선 후기 조선 땅에 들어온 최초의 것으로 여겨지며, 이후 수선화는 선비들의 각별한 애호를 받아 수선화를 노래한 시가 성행하게 된다. 李元英・趙華・楊澄과 김창업은 시문으로 교류하였는데, 이 중 양징과 가장 깊이 있게 사귀었다. 양징은 자신의 문집을 김창업에게 보내 서문을 부탁하였으며, 김창업은 형제들의 시를 모은 『金氏聯芳集』의 평과 서문을 요청하였다. 이를 통해 김창업 형제의 시가 중국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이기지가 교류한 중국 문인으로는 陳法・趙華・楊澄 등이 있다. 陳法은 북경으로 가면서 지나는 노정마다 사귈만한 중국 문인을 수소문하여 얻은 새로운 인물이고, 조화와 양징은 김창업을 통해 이미 알고 있었던 인물들이다. 이기지는 진법과 다양한 주제로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누었으며, 이를 통해 간행된 지 얼마 안 된 『杜詩詳註』를 구입할 수 있었다. 아울러 진법에게 『挹翠軒集』을 보내주며 詩學에 대해 깊이 있는 토론을 나누었다. 이기지는 양징에게 『本草綱目』에 실린 도상을 채색 세밀화로 그릴 만한 화가를 추천받고자 노력하였다. 이기지가 『본초강목』의 채색 세밀화를 그려가고자 애쓴 것은 각종 동식물을 사실적이며 다각적으로 세밀하게 묘사하고 장기와 골절까지 그려놓은 서양화집의 영향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이기지가 사물을 자세히 관찰하여 그 이치를 철저하게 탐구하는 서양의 학문 자세를 긍정적으로 수용하였음을 말해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based on Yeonhangilgi(燕行日記) and Ilamyeongi(一庵燕記) of Kim chang-up(金昌業) and Lee gi-ji(李器之), which looked at the aspects of the correspond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literati in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The chronicle of the two is the most outstanding of the series of the period, and the articles of their association with Chinese literati are also quite abundant, which is thought to be the appropriate text in examining the aspects of the Korean-Chinese literary circle in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Among the Chinese literati who Kim Chang-up interacted are Lee Won Yeong(李元英), Jo Hwa(趙華), Yang Jing(楊澄) and Ma Yu Beong(馬維屛). Kim Chang-up, who was very interested in flowers, was given a gift, and Kim Chang-up bought daffodils(水仙花) at the Beijing market and returned home. This is believed to be the first time to enter the daffodi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after that, the daffodils will be given special favor by scholars and the poetry of singing daffodils will prevail. Lee Won Yeong(李元英), Jo Hwa(趙華), Yang Jing(楊澄) and Kim Chang-up exchanged poems, and Kim Chang-up had the most in-depth relationship with Yang Jing. Yang Jing sent his collection of works to Kim Chang-up to ask for a preface, and Kim Chang-up asked for the review and preface of Kimssiyeonbangjip(金氏聯芳集) that is a collection of poems by his brothers. This made the poetry of the Kim Chang-up brothers widely known in China.
    Among the Chinese literati, Lee gi-ji exchanged are Jin Bub(陳法), Jo Hwa(趙華), Yang Jing(楊澄). Lee Ki-ji made a new friend with Jin Bub on the way to Beijing, while Jo Hwa and Yang Jing are figures he had already known through Kim Chang-up. Lee Ki-ji had in-depth conversations about the truth and various topics with Jin Bub that enabled him to purchase a new edition of Dusisangju(杜詩詳註) published shortly. He also sent a Epchiheonjip(挹翠軒集) to Jin Bub and had a deep discussion about the poetics(詩學). Lee Kee-ji tried to get Yang Jing's recommendation for an artist who could paint the drawings in Bonchogangmok(本草綱目). Lee Ki-ji's efforts to draw detailed painting appear could be due to the influence of Western paintings depicting various animals and plants in realistic and diverse detail, as well as organs and fractures. This indicates that Lee Ki-ji positively embraced the Western academic attitude of observing things closely and thorough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