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하 조선, 만주의 제당업 정책과 설탕유통 (The Effect of the Japanese Empire's Colonial Policy on Sugar in the Korean and Manchurian Markets)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11.03
45P 미리보기
일제하 조선, 만주의 제당업 정책과 설탕유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53호 / 329 ~ 373페이지
    · 저자명 : 이은희

    초록

    기존 연구들은 일본과 대만 위주로 제당업을 다루었기 때문에 일제가 식민지 전역에 정책적으로 제당업을 이식했다는 점을 간과했다. 일본제국 식민지 제당업정책은 본국의 무역정책, 식민지 여건, 각 총독부 성향에 따라서 결정되었다. 대만은 일본 내수용, 조선은 수출용, 만주는 자급자족형으로 편제되었다.
    20세기 초 일본은 설탕수입량이 급증하면서 무역적자가 늘어났다. 무역수지를 개선하고자 일본정부는 대만 甘蔗당업을 장려하여 일본 시장에 설탕을 공급하게 했다. 일본은 1차 세계대전 중 기술력이 발전하자 중국시장 수출을 목적으로 조선과 만주에 제당회사를 세워 설탕원료를 공급하도록 했다. 조선총독부는 대일본제당 조선지점과 결탁해 사탕무를 원료로 하는 甛菜당업을 적극적으로 후원했으나 농민재배 유인책부족과 열등한 기술력 때문에 실패했다. 조선은 원료를 수입하여 가공하는 정제당 산업으로 전환하고 수출에 주력했다. 대일본제당 조선지점은 총독부의 후원을 받아 본국 기업보다 더 많은 혜택을 누리며 만주 시장을 공략했다. 만주의 제당업은 시기에 따라 성격이 변했다. 만주는 1935년까지 가격이 경쟁에 의하여 결정되는 시장체제가 존속되었다. 국가보호정책이 부재한 만주에서는 수입상품이 현지 사탕무로 생산한 제품보다 가격, 품질 면에서 훨씬 우월했다. 만주에서 영국계 홍콩제품이 초기에 우세했으나 대공황기부터 일본 및 조선 제품으로 대체되었다. 양국 간의 설탕가격 차이로 인해 국경도시 安東과 신의주 사이에 밀수가 성행했다. 만주국이 1930년대 후반부터 ‘자급자족’을 명분으로 내세운 보호주의 국가통제정책을 추진하면서 양국 간의 설탕무역은 급속히 줄어들었다.
    이 연구는 제국 식민지 제당업이 일본에 종속되어 각자의 부속 역할을 담당하는 위계구조로 정착되면서 식민지 제반 조건에 의해 제각기 특성을 보이는 현상을 밝혔다.

    영어초록

    Previous studies on the sugar industry during the period of the Japanese Empire have mainly concentrated on Japan and Taiwan. Therefore, the fact that the Japanese empire politically developed the sugar industries throughout the colonial territories has largely been overlooked. Japanese trade policy, the conditions of the colonies, and the political intents of local authorities in the colonies were key factors in determining colonial policies for the sugar industries. The Japanese Empire assigned the role of a supplier to the Japanese domestic market to Taiwan, the function of an exporter to Korea, and the task of a local market supplier to Manchuria.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Japan suffered from trade deficits due to the rapid increase of sugar imports. The Japanese government promoted the Taiwanese cane sugar industry to solve this problem. Owing to the advancement of sugar-processing technology during World WarⅠ, Japan established a sugar company in Korea and another company in Manchuria in order to boost the export of sugar to the Chinese market.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ctively supported a beet sugar manufacturing busines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Dainihonseido Company, but failed primarily because of farmers' unwillingness and inferior technology. The branch, instead, switched its business to refining sugar for export. The branch enjoyed extra support from the Government General in Korea, which Japanese companies did not anticipate, and successfully broke into the Manchurian market.
    The industrial policy for the Manchurian market was not stable over time. Since Manchuria adopted the free market system until 1935, imported sugar products possessing superior quality at a lower price outperformed local products. Hongkong sugar, run by English capital, maintained a dominant position at the beginning, but lost its dominance to Japanese and Korean sugar later in the Manchurian market. A gap between the sugar prices of Manchuria and Korea caused a lot of smuggling between the border cities of Dantong and Sinuiju. From the late 1930s when Manchuria started to push the protective trade policy, the sugar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significantly decreased.
    This study found that the colonial sugar industries obtained their own traits due to various conditions of the colonies while becoming subordinate to the Japanese sugar industry as components of the hierarchical system of the Empi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