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대 제철수공업의 운영형태와 철소 (Operation of the Iron-making Manufacture and the Cheolso in Goryo Dynast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21.06
28P 미리보기
고려시대 제철수공업의 운영형태와 철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세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중세고고학 / 9호 / 5 ~ 32페이지
    · 저자명 : 이정신

    초록

    철은 우리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자원이다. 철을 생산함으로서 농기구와 철제무기를 만들어 농업 생산량이 급격히 발전하고 외국이나 국내에서의 전쟁이나 정변에도 우세한 위치를 확보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 철 산업 운영은 고구려 보장왕 때에 서울에 쇳가루가 비처럼 떨어졌다고 하여 수도 주변에 많은 제철공장을 운영했음을 알 수 있다. 충북 진천군 석장리에서는 상자모양이나 원통형의 대형 제철로가 있는 4세기 백제의 제철유적이 발견되었으며, 신라는 鐵鍮典을 운영하였다는 기록이 보인다. 또한 신라는 경주 황성동에서 발굴된 제철유적을 통해 점차 제철수공업의 모습이 밝혀지고 있다. 발해의 경우, 지부 아래 융부가 있어 병기를 담당하였다고 한다.
    이로서 우리나라는 삼국시대부터 철 산업을 국가관리 대상으로 삼아 운영했음을 보여주는데 고려 또한 마찬가지였다. 고려왕조는 중앙에 군기감을 두어 전국적으로 공납해온 철을 가지고 무기를 생산하는, 국가차원의 제철산업공장이 운영되고 있었으며 지방 또한 주로 소에서 수취한 철로 무기를 생산하는 설비를 갖추고 있었다. 그러므로 철소는 고려사회에서 특산물을 생산하는 소 중 가장 중요한 곳이었다. 철소는 철을 채광할 뿐 아니라 제련하여 정철을 만들어 군기감 등 중앙관청과 지방관청에 공납하는 일 뿐 아니라 국가의 요구에 따라 무기도 제작했기 때문이었다. 이 중 고려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철 생산지는 충주 다인철소였다. 이곳은 철 채굴 뿐 아니라 제련, 그리고 무기를 만드는 일까지 행해졌음을 보여주는데 정부는 그 중요성을 감안하여 관원을 파견하여 철과 무기생산 등을 관리하였다.
    이같은 상황은 몽골과의 전쟁이후 소 제도가 무너지면서 철소도 함께 무너졌다. 그 구체적인 예가 몽골군을 방어하는데 공이 컸다는 이유로 다인철소를 익안현으로 승격시킨 점이다. 그러나 현으로 승격시켰음에도 감무나 현령을 파견하지 않고 계속 충주속현으로 둔 것은 충주목사의 관리 하에 철을 계속 생산하게 하려는 정부의 정책으로 보인다.
    철소의 해체는 국가의 주요 기간산업이 무너짐을 의미하지만 한편으로는 소의 장인들이 각지로 흩어져 수공업에 종사하게 됨으로서 민영수공업의 수준을 한단계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철소가 무너짐에 따라 조선시대에 들어가서는 농민에게 공철을 부과하는 염철법과 각 읍에 철장관을 파견하여 광산을 경영하는 철장제를 실시하였다.
    고려는 중앙은 군기감, 지방은 양계 주요지역과 양광도의 남경과 광주목, 충주, 청주, 경상도의 경주, 진주, 상주, 전라도는 전주, 나주, 서해도는 해주와 황주목 등이 주로 지역의 철공과 무기생산에 책임을 지고 관리했으리라 추정된다.
    이같이 고려시대는 군기시를 중심으로 필요한 무기를 생산하기는 했으나 소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데에 비해 조선왕조는 철산업의 운영이 중앙의 군기시에 주력하고 지방은 자율적으로 운영하게 함으로서 지방의 철 산업은 민간인 비율이 점차 높아져 가고 있었다.

    영어초록

    Iron was the most important mineral resources in human history. Iron increased agricultural production with farming tools and allowed rulers superior positions in wars or political conflicts. The iron-making has been a state business since the Era of Three Kingdoms. The iron-making existed as early as the King Bojangwang of Goguryo Kingdom as the history syas that the rain of iron powder poured over the capitol city. Iron-making in Baekje was proved by the large cylindrical or box-shape iron-making furnaces in Seokjangri in 3~4th century. Silla also operated Cheolyujeon and showed the early iron-making manufacture in the excavated site at Hwangseongdong, Gyeonju. Balhae had the Office of Yungbu under the Ministry of Jibu which produced iron weapons. Goryo managed its iron-industry as a state business. Goryo established the Gungigam and it operated iron-making factories to make iron weapons throughout the country using collected raw irons. At local level, many Cheolsos also collected raw iron and supplied them to the Gungigam, and more importantly they produced iron weapons by themselves. Recognizing their importance, the central government dispatched officials to supervise the Cheolsos. The most important Cheolso was Dainchelso in Chungju. The centralized system collapsed as the Cheolso system collapsed after the Mongol invasion. One of the examples is that the government promoted the status of the Daincheolso to a higher level district office, Ikanhyeon, as the Daincheolso greatly contributed to the defense against the Mongols, The central government did not dispatch a magistrate to the District Office of Ikanhyeon as it wanted to control the district continuously directly through Chungju Governor. The disintegration of Cheolsos means the collapse of a main state industry and scattering of the skilled workers to various fields of manufacturing throughout the country. But it contributed to improve the non-official iron manufactures. As the Cheolso system collapsed, Joseon dynasty introduced the Yeomcheolbup systems which gave burden of production of iron on peasants. It also established the Cheoljangje systems dispatching iron officials to each counties to operate the iron mines. In Goryo, Gungigam took charge of central operation of iron manufacture and the government depended heavily on many local Cheolsos which produced irons and iron weapons. On the other hand, Joseon dynasty focused on the central office, the Gungisi, to operate the iron manufacture at a national level, and let the local non-official manufacturers operate their own iron manufact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