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나얼(奈乙, 蘿井)’ 祭天 유적에 나타난 ‘얼(井)’ 사상 (The Idea of ‘Eol井’ in ‘Naeol(Naeul奈乙, Najung蘿井)’ Relics for Heaven Rituals祭天 of Silla Dynasty)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13.08
50P 미리보기
신라 ‘나얼(奈乙, 蘿井)’ 祭天 유적에 나타난 ‘얼(井)’ 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仙道文化 / 15권 / 39 ~ 88페이지
    · 저자명 : 정경희

    초록

    본고는 신라의 시조왕 박혁거세의 탄강처이자 신라의 국가신궁터로 널리 알려진신라 최고의 소도 ‘나얼’ 제천 유적에 담긴 선도사상 및 선도수행적 의미를 고찰한 글이다.
    선도 기학의 핵심 이론인 ‘一⋅三論(一⋅三⋅九論)’에 의하면 모든 존재의 본질이자우주의 근원적인 생명에너지로서 북두칠성 근방의 하늘에서 시작된‘一氣(天⋅地⋅人, 얼⋅울⋅알, 한얼⋅한울⋅한알 三 氣)’의 우리말은 ‘얼’,또 우리말 ‘얼’의 한자식 표기인 ‘井’字는 ‘일기(삼기), 얼’의 현상(물질) 세계에 대한창조성과 주도성을 표현한 象形의 개념으로 풀이된다.
    나얼은 이름에서부터 ‘얼(井)’사상을 반영하였을 뿐아니라 시설물들 또한 한결같이‘얼(井)’사상에 의하였다. 제1차 시설물인 천주류, 또 이를 계승한 제2차 시설물인원형 신궁의 심주, 또 제3차 시설인 팔각형 신궁의 심주는 ‘일기(삼기), 얼’과의 소통을상징하는 바, ‘일기(삼기), 얼’의 상징물이었다. 또한 제3차 팔각형 신궁은 ‘井’字 형태의표상물이었다. 종래 팔각건물지는 대체로 불교 관련 시설로 이해 되어왔으나 본고에서는그 제작 이론으로 ‘얼(井)’사상을, 역사적 연원으로 倍達古國 홍산문화의 祭天儀器나신성 표상물을 제시하였다.
    ‘얼(井)’사상에서는 ‘일기(삼기), 얼’의 작용에 의해 생겨난 사람들은 내면에 ‘일기(삼기),얼’을 온축하고 있기에 하늘의 ‘얼’과 사람속의 ‘얼’이 합일되는 천인합일(신인합일)의과정을 통해 ‘얼의 각성(성통) →얼의 대사회적 실천(공완) → 얼의 회귀(조천)’으로나아가게 된다고 본다.
    이처럼 ‘얼(井)’사상에는 선도 수행론의 요체인 ‘성통→공완→조천’사상이 담겨있으니‘나얼’ 이름 또한 ‘나온(깨어난) 얼’의 의미, 곧 수행적 의미로 바라보게 된다.
    이처럼 나얼소도는 천인합일(신인합일)의 제천 수행처였기에 이곳에 시설된 천주류나신궁은 천인합일(신인합일)을 상징한 구조물로서 사람들의 제천수행을 돕고매개하는 역할을 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on the Sundo仙道 thought in the relics of ‘Naeol’, the highest Sodo(蘇塗, the sacred place of Korean Sundo) of Silla noted for the first king Park-Hyeok-Keose朴赫居世’s birthplace and the national shrine site for Heaven天. In the theory of One-Three一⋅三論 or the theory of One-Three-Nine 一⋅三⋅九論, the core onthology of Korean Sundo,One Ki氣(Chun天⋅ Ji地⋅In人, Eol⋅Ul⋅Al, Haneol⋅Hanul⋅Hanal Three Ki三氣) is the substance of all being and the cosmic life particle that is originated from Heaven nearby the Big Dipper and the Korean language of it is ‘Eol’.
    Also ‘井’, the Chinese character marking of ‘Eol’ is the pictograph to express the creativity of ‘Eol’.
    Not only the name of ‘Naeol’ keeps the idea of Eol but also the facilities of it was constructed by the idea of Eol. The column to Heaven天柱in the first facilities about B.C. 2C, the central column心柱 of the round shape shrine for Heaven in the second facilities during the reign of King Soji炤知 in A.D. 5C and the central column of the octagonal shrine for Heaven in the third facilities during the reign of King Munmu文武 in A.D. 7C all symbolize a sympathy with ‘One Ki(Three Ki) or Eol’ from Heaven.
    Besides the octagonal shrine for Heaven in the third facilities symbolizes the ‘井’ character. Generally the octagon is considered Buddhist facilities,but the present writer indicates the idea of Eol as the constructing theory and the ceremonial instrument for Heaven rituals祭天 of Hungshan Culture紅山文化in Baedalkook倍達國 period as the historical origin.
    According to the idea of Eol, one has ‘One Ki(Three Ki) or Eol’ in one’s body.
    So one advances ‘Sungtong(性通, Eol’s awakening)→Kongwan(功完, Eol’s practice after awakening)→Jochun(朝天, Eol’s revolution to the origin) through the process of the union of Heaven’s Eol and human Eol(天人合一 or 신인합일) gradually.
    Because the core theory of Sundo discipline, ‘Sungtong→Kongwan→Jochun’ is kept in the idea of Eol like this, the name of ‘Naeol’ can be understood as ‘Eol’s awakening’. Also we get to understand that the facilities of ‘Naeol’ sodo function to intermediate one’s discipline as the symbol of the union of Heaven’s Eol and human Eol.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仙道文化”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