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동과 창작언어로부터 본 김사량 문학의 생성: 일본과 중국으로의 이동 경험을 중심으로 (The Becoming of Kim Saryang’s Literature: Focusing on his experiences in Japan and Beijing)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20.04
31P 미리보기
이동과 창작언어로부터 본 김사량 문학의 생성: 일본과 중국으로의 이동 경험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보학보 / 24호 / 113 ~ 143페이지
    · 저자명 : 다카하시 아즈사

    초록

    본격적으로 일본 문예지에 작품을 발표하기 전에 일본과 중국(북경)으로 ‘이동’한 경험을 가진 김사량(1914~1950?)은 이후 ‘이동’의 경험을 이중언어 수필로 발표하였다. 김사량이 일본으로 ‘이동’했던 시기는 그가 일본어 창작을 시작하기 직전이었고, 그가 중국(북경)으로 ‘이동’했던 시기는 그가 본격적으로 일본 문예지에 작품을 발표하기 직전이었다. 이 점에서 김사량의 일본 및 중국으로의 ‘이동’은 그의 창작과 상당한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그동안 연구자들은 그의 ‘이동’에 충분히 주목하지 않았다. ‘이동’ 경험을 다룬 김사량의 수필은 그의 전기적 사실을 정리할 때 함께 언급될 뿐, 그 수필을 그의 작품과 함께 검토한 경우는 지금까지 거의 없었다.
    본고는 김사량의 일본과 중국으로의 ‘이동’ 경험이 그의 문학 생성(生成)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일본으로 ‘이동’한 김사량은 문예동인지 『제방(堤防)』과 『문예수도(文藝首都)』에 참가하는데, 이때 그는 자신의 경험과 네트워크를 확장하여 식민지 출신 작가들과 교류하고 제국의 ‘국민’에서 배제된 조선인 이주 노동자의 삶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또한 중국으로 ‘이동’한 결과 김사량은 북경 ‘만유’를 다룬 조선어 수필 「북경왕래(北京往來)」(『박문』, 1939.8)와 일본어 수필 「에나멜 구두의 포로(エナメル靴の捕虜)」(『문예수도』, 1939.9)를 남겼다. 김사량은 중국으로 이동 중에 제국 일본의 시선으로 중국의 현실을 이해하지 않았다. 그는 일본의 침공 하에 있는 북경에서 중국의 고유문화가 남아 있음을 발견하며 나아가 중국인이 ‘게릴라전’의 형태로 제국 일본에 ‘저항’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는 북경에 살고 있는 조선인이 제국 ‘국민’의 입장에서 조선인이 “방약무인”한 태도를 취하는 것을 비판적으로 제시하면서, 사실 조선인들은 중국인의 “포로”라고 인식하였다. 김사량의 시선은 중국인의 저항에 식민지 작가로서 공감한 것이었다.
    김사량은 두 번의 ‘이동’ 경험을 통해 제국 일본의 국민 안에서 조선인의 유동적이고 불안정한 위치를 확인하였다. 그는 일본 ‘이동’의 경험을 통해 ‘국민’에서 배제된 존재들과 조우하며, 또한 중국 ‘이동’의 경험을 통해 북경에서 저항하는 중국인들의 ‘게릴라전’을 목격하며 식민지 조선인의 ‘국민’으로서 정체성을 재고하였다. 이후 김사량은 자신의 작품에서 제국 일본의 ‘국민’으로서의 정체성과 어긋나는 식민지 조선인의 정체성에 대한 탐색을 이어간다.

    영어초록

    Kim Saryang (1914-1950?) had experiences of “moving” to Japan and China (Beijing) before publishing works in Japanese literary magazines. He also wrote about these travel experiences in his essays, expressing how such “movement” was key to his experience as an author. Kim Saryang “moved” to Japan just before he started to write novels in Japanese, and he “moved” to China (Beijing) just before he published his works in Japanese literary magazines. Kim’s experiences of “moving” to Japan and China may be significantly related to his creative works. However, researchers have not paid enough attention to his movement across the Japanese empire. His essays directly addressing his experiences in Japan and China are generally only mentioned as a part of his biographical summary, and only a handful of studies has reviewed these essays along with his fictional works.
    This paper considers how Kim’s experience of “moving” to Japan and China influenced his literary creation. After he moved to Japan, he participated in literary coterie magazines Teibo and Bungei shuto, which also brought him to interact with Japanese and colonial writers. Through participating in these magazines as a coterie member, he became interested in the lives of Korean migrant laborers. On the other hand, Kim Saryang published essays which deal with his tours (manyu) in China;“Beijing Street” (Pangmun, August 1939), written in Korean, and “The Prisoner with the Enamel Shoes” (Bungei shuto, September 1939), written in Japanese. Both essays focus on his realization of the remaining indigenous cultures in Beijing under Japanese invasion, and further discovery that the Chinese are “resisting” imperial Japan in the form of a “guerilla war.” Particularly, through his Japanese essay, Kim describes Koreans living in Beijing taking a culturally superior attitude toward the Chinese, whereas Kim’s critique of the situation demarks Koreans as “captives” of China. It shows that Kim Saryang criticizes the superior attitude of Japanese and Koreans who advanced to Beijing along with the expansion of Imperial Japan, using their status as “nationals” of Imperial Japan to belittle the Chinese.
    As a result, Kim Saryang’s “moving” experiences reveal Korean peoples’ fluidity and unstable subjects as a “nation” within Imperial Japan. It can be said that his works released throughout the colonial period depict various subjects who deviate from the “national subject” (kungmin), who are likely influenced by his “moving” experiences in Japan and China and encounters with people excluded from the “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보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