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징어 게임>의 흥행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전복된 놀이성과 언캐니 표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ox Office Factor Analysis of Squid Game: Focusing on Subverted Playfulness and Uncanny Expressions)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23.02
19P 미리보기
&lt;오징어 게임&gt;의 흥행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전복된 놀이성과 언캐니 표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 수록지 정보 : 글로벌문화콘텐츠 / 54호 / 93 ~ 111페이지
    · 저자명 : 김희경

    초록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매우 성공한 K-드라마다. 이 드라마의 성공 이유는 보편적이면서 재미있는 시나리오, 개성있는 멀티캐스팅과 연기, 매회 차마다 긴장감이 넘치는 갈등구조, 미션수행형 게임 방식 등 다양하지만 이 논문에서는 이 콘텐츠의 흥행 요인을 전복된 놀이성과 언캐니 표현의 2가지로 구분하여 <오징어 게임>을 분석하였다. 먼저 놀이성에 관하여는 요한 호이징하, 한스 게오르크 가다머와 로제 까이와의 놀이이론을 적용하여 <오징어 게임>에서 그것이 어떻게 전복되어 무목적성의 놀이를 목적성 있는 놀이로 변화시켰는지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오징어 게임>에서의 전복된 놀이성은 첫째, 놀이의 특성을 위반한 놀이, 둘째, 왜곡된 놀이 공간, 셋째, 단순한 놀이와 복잡한 인간 본성, 넷째, 소외시키고 당하는 놀이, 다섯째, 시청자가 체험자가 되는 놀이라는 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어서 <오징어 게임>에서 나타난 수많은 조형적 이미지, 공간, 장치, 색, 놀이방식을 통해 어떻게 언캐니를 표현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먼저, 공간 기능의 변화로 인한 낯설음, 둘째, 언캐니 밸리(Uncanny Valley)한 자동인형, 셋째, 전도(顚倒)된 공간에서의 위험한 뽑기, 넷째, 일링크스와 어두운 심연의 공포, 다섯째, 잔인한 퍼노스(Pernos)의 공간, 여섯째, 선긋기가 주는 위계적 불편함, 마지막으로 색의 전복과 만화적 공간 등이 <오징어 게임>에서의 언캐니 표현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흥행 요인 분석이 향후 K-드라마의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영어초록

    The Netflix drama <Squid Game> is a very successful K-drama both at home and abroad. The reasons for the success of this drama are diverse, such as universal and interesting scenarios, unique multi-casting and acting, tension-filled conflict structure in each episode, and mission-based game method. <Squid Game> was analyzed by dividing into two types. First, with respect to playfulness, the play theories of Johan Huizinga, Hans-Georg Gadamer, and Roger Caillois were applied to figure out how it was subverted in <Squid Game> and changed purposeless play into purposeful pla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ubverted playfulness in <Squid Game> is first, play that violates the characteristics of play, second, distorted play space, third, simple play and complex human nature, fourth, play that is alienated and suffered, and fifth, the experience of the viewer. I was able to derive the characteristic of a play that becomes a self. Next, I looked at how the uncanny was expressed through numerous formative images, spaces, devices, colors, and play methods that appeared in <Squid Game>. As a result, first, unfamiliarity due to changes in spatial function, second, an automaton in the Uncanny Valley, third, dangerous drawing in an inverted space, fourth, fear of elinx and dark abyss, fifth, The cruel space of Pernos, the sixth, the hierarchical discomfort of line drawing, and finally, the overturning of color and the animated space were found to be uncanny expressions in <Squid Game>. It is hoped that this analysis of box office factors will help the development of K-drama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