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순환적 매개 언어로서 동적 타이포그래피의 구술적 의미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al Signification of Dynamic Typography as a Circulative Mediating Language)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09.05
10P 미리보기
순환적 매개 언어로서 동적 타이포그래피의 구술적 의미작용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포럼 / 23호 / 193 ~ 202페이지
    · 저자명 : 김상욱

    초록

    포스트모더니즘과 다원주의를 거친 20세기의 시각문화에 있어 사회문화적으로 가장 큰 반향을 일으킨 이론의 중심에는 기의(記意)로부터 기표(記標)의 분리를 통해 의미의 해석을 다양화하는 수용자참여이론이 있다. 타이포그래피의 변화역시 다양한 해석을 가능케 하는 수용자참여이론에서 그 근원을 찾을 수 있다. 문자문화에 근거한 모더니즘 타이포그래피의 궁극적인 목표는 원본의 의미에 충실하며 정적이며 정보전달에 충실한 텍스트의 운용을 통해 가독성과 조형성을 구현한 시각정보의 전달이었다. 이에 반해 디지털미디어시대의.동적타이포그래피(dynamic typography)는 문자문화이전의 구술문화의 표현력과 공감각적인 소통의 특성을 내재시키며 문자문화를 통해 확립된 정보구성의 논리성과 객관성을 동시에 표현한다. 이러한 매체의 순환적 현상을 월터 옹(Walter J. Ong)은 2차 구술문화라고 지칭했으며 맥루언(Marshall McLuhan)은 전자시대의 특징적 변화라고 보았다. 포스트모던의 사회․예술적 경향의 영향을 받으며 시각적 표현력이 증대된 이미지적 타이포그래피(type as an image)와 매체의 확장과 순환적 결합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범위의 다양성으로 인해 등장한 동적타이포그래피는 시공간이라는 확대된 배경을 매개로 감성적 의미작용과 그에 따른 의미전달의 주체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매체의 순환적 확장의 결과인 동적타이포그래피의 의미전달체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월터 옹의 2차 구술문화이론을 통해 정리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론의 구체적 발현인 영화타이틀시퀀스를 분석함으로써 동적타이포그래피를 동시대적 발현으로 바라보고자 한다. 중심명제로는 기술 중심적 관점에서 벗어나 동적타이포그래피가 2차 구술문화의 매체적 선순환에 의한 새로운 ‘매개 언어’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Visual culture in the 20th century has experienced postmodernism and pluralism. During this period the user-participation theory which diversified the significance of the text by separating signifiant from signifié had strong influence over sociocultural field. The trace of major changes in typography could be found in this theory. The goal of modernism typography rooted in literate culture was to deliver the visual information to users retaining good readability and formative features without distortion of original meaning. On the other hand, dynamic typography in digital-media era shows logicality and objectivity of the information established through literate culture inheriting synthetic communication features and expression of primary oral culture. Walter J. Ong called this circular phenomenon of media 2nd oral culture and Marshall McLuhan regarded this as distinctive changes in electronics culture. Influenced from imagery typography reinforced with postmodern social and artistic expression and coupled with expansion and circulation of media having broad scope of communication, dynamic typography is emerging as a main body to broaden the horizons of communication vehicle of time-space and emotional sphere. This study has focused on giving concrete shape to theoretical background of dynamic typography as an outcome of circular expansion media using Walter J. Ong's 2nd oral culture theory. And also analysis of movie title sequences would define dynamic typography as a contemporary revelation of typographic expansion. Key proposition lies on proving that dynamic typography is 'a new mediating language' as a media-circulation of 2nd oral culture without technology-centered vie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포럼”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