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언캐니 개념을 차용한 도예작가 연구 (Study on Ceramic Artists Borrowing the Uncanny Concep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18.05
18P 미리보기
언캐니 개념을 차용한 도예작가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도자학연구 / 15권 / 1호 / 107 ~ 124페이지
    · 저자명 : 이미종, 여화선, 김승욱

    초록

    본 연구에서는 현대 도예 작가 작품에서 등장하는 미학적 특성을 프로이트의 언캐니 이론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언캐니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서 설명되는데‘억압된 몸의 회귀’라고 할수 있다. 현대 기계문명의 발달에 의한 반작용의 두드러진 특성이기도 하다. 지그문크 프로이트는아름다움을 대체하는 미학적 요소로서 언캐니를 언급하였고 언캐니 개념은 끊임없는 도전과 다양한 실험으로 미학의 한계에 도전하는 현대 미술가들에게 매력적인 요소로 자리 잡게 된다. 기존미학의 개념이 숭고하고 아름다운 개념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상대적으로 공포감, 불안함, 기괴함등과 같은 언캐니 개념이 미학의 한 분야로 가치를 지니게 되면서 현대 도예가들 에게도 관심 있는 주제로 다루어졌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언캐니적 특성이 현대도자작품에 어떻게 표현되었는지에대한 것이었다. 이 연구를 위해 언캐니 개념을 차용한 대표적 작가 중 두 명의 국내작가와 두 명의 국외 작가를 선정하여 이들 네 작가의 작품을 통해 언캐니 미학이 현대 도예 작가들에게는 어떻게 나타났는지 공통적 특성과 차이점을 고찰하고자 했다. 황재원은 자화상 인형인 FFanG를 만들어 억압된 자아를 이중적으로 표현하였고, 차유종은 언캐니의 심리적 메카니즘인 트라우마를 차입하여 자신의 콤플렉스를 은유적인 표현과 양가적으로 접근하였다. 크리스티 브라운은 고고학적 유물의 회귀를 통해 사물에 생명을 불어넣는 것 같은 환상을 낯설게 표현하였다. 한편 세리게이 이수포프는 사람들의 삶과 그 다양성과 작가의 경험을 대립적인 표현으로 낯선 감정을 전달하였음을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appearing three modern ceramic artist's works were examined by based oon Freud's uncanny theory. The uncanny is described in Freud's psychoanalysis as the "regression of the repressed body." It is also a prominent feature of the reac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machine civilization. Freud refers to the uncanny as an aesthetic element that replaces beauty and the uncanny concept becomes an attractive element to contemporary artists challenging the limits of aesthetics through constant challenges and experiments.
    while the concept of the existing aesthetic focuses on the sublime and beautiful concept, the concept of the uncanny such as fear, anxiety, and bizarreness has become a filed of aesthetics and has reached a topic of interest to modern pottery artists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 how the uncanny's aesthetic feature were expressed in ceramic works. For this study, two domestic and two foreign artists among the representative artists who borrowed the concept of the Uncanny were selected and examined their common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in how uncanny aesthetics appeared to contemporary ceramic artists through their works of art. Hwang Jae-won made FFanG, a self-portrait doll to double express his oppressed self. And Cha You jong borrowed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the Uncanny, trauma, to approach his complex with metaphorical expression and ambivalence. Christi Brown expressed the illusion of unfamiliarity as if it were bringing life into things through the return of archaeological relics. On the other hand, Sergei Isupov was able to find out that he conveyed an unfamiliar feeling by contrasting the people's life, diversity, and the artist's exper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도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8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