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어 교육에서 이야기의 활용 연구 ―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교재의 ‘이야기 읽기’ 차시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Use of Sto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Focusing on the Unit ‘Reading of Story’ in the 『Standard Korea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20.03
45P 미리보기
한국어 교육에서 이야기의 활용 연구 ―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교재의 ‘이야기 읽기’ 차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론집 / 81권 / 445 ~ 489페이지
    · 저자명 : 홍인영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에서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교재의 이야기 활용 양상을 살핌으로써 이야기 제재의 한국어 교육적 의미를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이야기 활용의 교육적 의의를 검토하고, 한국어 교육과정의 이야기 관련 내용을 성취기준, 언어재료, 교수·학습방법 및 유의사항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교재의 분석은 세 가지로 나누어서 학습목표 및 학습내용, 담화 유형, 학습활동의 범주를 기준으로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목표 및 내용의 진술 방법은 이야기를 주된 대상으로 하는 교육상황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단원의 학습목표와 해당 단원의 ‘이야기 읽기’ 차시 간의 연관성은 대체로 높은 편이나 모든 단원에서의 이야기 활용 방침은 자칫 도식적인 교재 구성으로 인해 교육적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조정이 필요하다. 두 번째 범주인 담화 유형에서는 동화, 경험서사, 만화, 기타 유형의 텍스트가 수록된 것을 확인하였고,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친근감을 통해 한국어 학습으로 이끈다는 점에서는 바람직하나 이야기의 주제가일방향적인 교훈 일변도로 되어 있는 것은 지양하고 동시대 학습자의 다양한가치관과 정서를 고려하는 텍스트 선정으로 나아가야 함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활동 범주에서는 대분류 기준 10개 및 소분류 기준 15개를 선정하여 각각의 빈도를 확인하고 각 학습활동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교재의 학습활동 실행에서는 무엇보다 개별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진단과 그에 따른 교사의 지원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는 『표준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현재시점에서 이야기 제재에 대한 논의가 부족함을 지적하고 이를 보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며, 범위를 넓혀 학습 한국어 교육에서 교과별로 이야기를 활용하는 양상의 분석, 한국어 교육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야기 활용 교육의 효용성을 검토하는 실행 연구 등을 후속 과제로 남겨둔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significance of story as educational material in Korean education by examining how the textbook 『Standard Korea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this e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using story in language learning was first reviewed, and the story-related content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were examined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s, language material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other considerations. The textbook analysis was then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nd was conducted based on the following: learning objectives, learning contents, discourse type, and category of learning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ethod comprising a statement of the learning objective and the contents is suitable for an educational context that is primarily focused on the use of story. In addition, there was generally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ing objective and the story that were read in each unit; however, the rules according to which the stories were used across all units may require adjustment, as they may reduce educational efficiency owing to their constrained composition. In the second category, the discourse type, it was confirmed that fairy tales, experiential narratives, cartoons, and other types of text were included. Stories in this category are desirable, as they induce learners’ interest and lead to learning Korean through familiarity.
    However, it is advisable to avoid using a story that focuses on specific morals and texts should instead be selected that consider the various values and emotions of contemporary learners. Finally, in the category of learning activities, 10 of the large classification criteria and 15 of the small classification criteria were selected to validate their frequency and review the suitability of each learning activity. Above all, it is important to diagnose the Korean proficiency of individual learners and provide support for teachers accordingly.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highlights the lack of discussion on the use of story as educational material and thus fills the existing gap in the literature by actively conducting a study through which the textbook『Standard Korea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analyzed. In the future, I will expand on the scope of this study to analyze specific aspects related to the use of sto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roken down by subject, and will also conduct action research studies to review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that use story to teach the Korean langu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론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