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는 접어인가-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조사와 어미의 범주- (Are Josa and endings of Korean clitics?-on the category of Josa and endings of Korean in a typological perspective-)

6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22.03
64P 미리보기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는 접어인가-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조사와 어미의 범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학회
    · 수록지 정보 : 國語學 / 101호 / 319 ~ 382페이지
    · 저자명 : 최형용

    초록

    그동안 한국어의 조사나 어미에 대해서는 이를 접어로 간주할 수 있다는 견해가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다양한 견해들의 가장 큰 문제는 서로 양립할 수 없는 부분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가 유형론적인 측면에서 접어로 간주될 수 있는지 접어의 특성, 접어의 유형, 접어의 판별 기준으로 나누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먼저 그동안 유형론적 논의에서 제시된 접어의 특성들은 접어가 매우 넓은 스펙트럼을 가진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들 특성 가운데는 한국어의 조사나 어미와 공유하는 것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만큼 적용될 수 없는 특성도 적지 않게 존재한다. 다음으로 접어의 유형을 ‘분포’에 초점을 두어 살펴본 Zwicky(1977)의 논의는 대당하는 자립 단어를 가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를 ‘단순 접어’는 물론 ‘특별 접어’로 분류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남는 경우의 수는 ‘의존 단어’뿐인데 이 역시 나중에 ‘특별 접어’로 편입된 사정을 염두에 둔다면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에 적용될 여지를 찾는 것은 어려워 보인다. Klavans(1982, 1985)의 접어 유형은 ‘위치’에 중점을 둔 것이므로 결과적인 유형으로는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를 포괄할 수 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접어로 ‘판정’된 이후에나 가능한 일이다. 마지막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접어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제시된 것은, 접사와 접어를 구별하기 위한 Zwicky & Pullum(1983), 접어와 첨사를 구별하기 위한 Zwicky(1985)이다. Vance(1993)에서는 특히 한국어의 조사에 대당될 수 있는 일본어의 첨사에 이를 적용해 본 것인데 그 결과 일본어의 첨사는 접사로 분석될 수 없으며 접어로도 보기 어렵다고 결론지었다.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에 Zwicky & Pullum(1983), Zwicky(1985)의 판정 기준을 적용해 본 결과도 이와 크게 다르다고 보기 어렵다. 이는 결국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를 ‘범주’로서는 접어로 간주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하기에 충분하다. 이제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를 범주로서 처리할 수 있는 마지막 가능성은 통사 요소라는 측면을 중시하여 단어의 하나로 간주하는 것이다. 이는 곧 한국어에는 선행 요소에 의존하면서 그 자체로 통사적인 측면에서 단어의 자격을 가지는 조사와 어미라는 품사가 존재한다는 것을 말해 준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오히려 한국어의 조사와 어미는 접사와 단어 사이에서 범주상의 문제를 제기하는 요소가 아니라 한국어의 유형론적 특수성을 보여 주는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ere have been opinions that josa and endings of Korean are clitics in whole or in part. However, these opinions have a critical flaw in that they are incompatiable with each oth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lore whether josa and endings of Korean are clitics or not in a typological perspective. First of all, owing to the wide spectrum, the properties of clitics which have suggested so far, cannot help much with the definition of clitic itself. As a result, there are a lot of properties which don´t apply to josa and endings of Korean. In the second place, the things with respect to the types of clitics based on Zwicky(1977) which classified the clitic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showed that josa and endings of Korean cannot be not only simple clitics but also special clitics in that they don´t have corresponding free words. The last remaining possibility is to treat josa and endings of Korean as bound words in Zwicky(1977), but keeping the bound words being incorporated into special clitics later in mind, it is hard to say that this treat is valid. Meanwhile, in the clitic types of Klavans(1982, 1985) which are focused on the position in the sentence mainly, it is possible to treat josa and endings of Korean as a kind of clitics. However, it is needed to be aware of that this treat is possible only after judging josa and endings of Korean as clitics. Finally, to judge the status of josa and endings of Korean directly, it is needed to consider the criteria for clitics. The criteria for clitics in Zwicky & Pullum(1983) have a purpose for distinguishing affixes with clitics and the criteria for clitics in Zwicky(1985) have a purpose for distinguishing clitics with particles. In Vance(1993), through applying the criteria for clitics of Zwicky & Pullum(1983) and Zwicky(1985) to Japanese particles which correspond to Korean Josa by and large, it is concluded that they cannot be treated as clitics as well as affixes. The results of applying the criteria for clitics of Zwicky & Pullum(1983) and Zwicky(1985) to josa and endings of Korean are not different from Vance(1993). The above discussions can be summed up that although there are properties sharing with clitics, josa and endings of Korean cannot be considered as a clitics with respect to the category itself. The remaining final possibility to treat josa and endings of Korean is to regard them as a kind of ‘word’.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re exist classes of bound words as parts of speech having the status of syntactic elements. From this point of view, it can be also concluded that Josa and endings of Korean are elements showing the typological specificity of Kore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國語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