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기 한국어교육에서의 한자·한자어 교육 사례 고찰: Chinese Characters For Beginners, Book One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Early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ing on Chinese Characters For Beginners, Book On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23.04
32P 미리보기
초기 한국어교육에서의 한자·한자어 교육 사례 고찰: Chinese Characters For Beginners, Book One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과 해석 / 39권 / 233 ~ 264페이지
    · 저자명 : 오보라

    초록

    본 논문은 Sauer가 1956년에 저술한 Chinese Characters for Beginners, Book One의 특징과 구성 내용, 교수 학습 전략 등을 살펴보았다. 이 책은 Sauer가 교장으로 재직한 Korean Language School에서 사용된 한자 교재로, 우리나라 최초의 한국어교육용 한자 교재라고 할 수 있다.
    Korean Language School은 선교사를 위한 한국어 교육기관으로, 총 3학기에 걸쳐 외국인 학습자에게 한자·한자어를 교육했다. KLS에서 사용한 교재 가운데 현재 남아 있는 것은 초급용 교재인 Chinese Characters for Beginners, Book One 뿐이다. 이 책은 7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102개의 한자를 수록하고 있다. Sauer는 일상생활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한자 위주로 기초 한자를 선정하되, ‘시간과 장소에 사용되는 한자’로 선정 기준을 정하고 주제·상황별로 한자·한자어를 범주화하여 단원을 나누었다. 이 책은 워크북의 성격을 겸하는 교재로서,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 내용을 복습하고 확장 학습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 교재에 보이는 교수 학습 방법은 다음의 두 가지 특징이 있다. 먼저 이 교재는 다양한 학습 자료를 활용한 학습 활동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Sauer는 한국 曆書, 철도 시간표, 초대장, 명함 등 선교사들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물건들을 학습 자료로 활용했다. 다음으로 이 교재는 한자의 조어력에 초점을 두어 한자를 선정하고 한자어를 교육했다는 특징이 있다. 기초 한자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한자어를 만드는 방법을 교재에 제시함으로써, 학습자가 이미 배운 한자를 토대로 한국어 어휘를 확장해 갈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 교재에 제시된 교수 학습 방법은 현대의 관점에서 보면 이론적 근거나 전문성이 부족하다고 여겨질 수 있다. 하지만 이 책은 敎材史 측면에서 볼 때, 초기 한국어교육에서의 한자·한자어 교육 실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아울러 이 교재가 한국어교육에서 최초로 한자·한자어 교수 학습 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이 교재에 보이는 학습 활동 중심 교육, 조어력에 초점을 맞춘 교육 등은 현재의 한국어 교육에서도 요구되는 사항이므로, 이 교재의 교수 학습 방법은 오늘날 한자·한자어 교재를 개발하는 데에도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영어초록

    This paper delves into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Chinese Characters for Beginners, Book One written by Sauer in 1956, as well as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on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employed in the Korean Language School (KLS) where Sauer served as the principal. Chinese Characters for Beginners, Book One is considered the first Chinese character textbook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was used in the KLS,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missionaries.
    The Korean Language School is an educational institution aimed at providing specialized language education to missionaries seeking to acquire proficiency in the Korean language. The institution offers a curriculum covering the Chinese characters and Sino-Korean vocabulary, which are taught to foreign learners over the course of three semesters. Among the textbooks utilized in KLS, Chinese Characters for Beginners, Book One is the sole remaining textbook today, designed specifically for beginners and comprising of 7 lessons with a total of 102 Chinese characters. Sauer selected basic Chinese characters based on their high frequency of use in daily life and categorized them into lessons based on topics and situations. This textbook also serves as a workbook, providing learners with opportunities to review and expand their learning themselves.
    Two main characteristic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presented in this textbook are identified. Firstly, this textbook is structured around learning activities that utilize diverse learning materials. Sauer utilized objects commonly encountered in the daily lives of missionaries, such as Korean guidebooks, railway timetables, calendar, invitations, and business cards, as learning materials. Secondly, this textbook helps the learners develope their ability to understand compound Chinese character. By presenting methods of combining different Chinese characters to create compound words, it facilitated that the learners expand their vocabulary based on the Chinese characters they had already learned.
    From a contemporary perspective,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presented in this textbook may be considered lacking in theoretical foundations or expertise. However, this book holds significance in terms of the history of teaching materials as it sheds light on the true picture of Chinese character and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in early Korean language education. Furthermore, the fact that this textbook was the first to pres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Chinese characters and Sino-Korean vocabula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deserves high recognition. The educational focus on learning activities and the emphasis on collocation, as seen in this textbook, are still relevant in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presented in this textbook offer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hinese character and Sino-Korean vocabulary textbooks to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