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대 그리스어 ‘einai’에 해당하는 한국어는? -비정언적 존재 개념으로서의 ‘있음’과 ‘einai’ (What Would Be the Korean Word for the Greek ‘Einai’? -‘Itta’ and ‘Einai’ as Non-Categorical Concepts of Existence-)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12.09
39P 미리보기
고대 그리스어 ‘einai’에 해당하는 한국어는? -비정언적 존재 개념으로서의 ‘있음’과 ‘einai’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고전학연구 / 48호 / 77 ~ 115페이지
    · 저자명 : 강성훈

    초록

    본 논문은 그리스어 ‘einai’와 한국어 ‘있다’, 그리고 영어 ‘be’와 ‘exist’를 비교 검토한다. ‘exist’는 정언적 존재를 의미하는데 ‘있다’는 비정언적 존재를 의미하기에 두 개념은 정확히 일치하는 것이 아니지만, 둘의 차이가 상당히 미묘하기 때문에 한국인들은 ‘exist’에 대한 주장과 ‘있다’에 대한 주장을 혼동하기 쉽다. 반면, 현대 서구어에는 비정언적인 존재를 나타내는 표현이 없는데, ‘einai’는 ‘있다’와 같이 비정언적 존재를 나타내는 표현이기에 서구 학자들은 ‘einai’의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처소 문장에서 우리말은 ‘있다’를 사용하지만 영어는 ‘exist’를 사용할 수 없다. ‘있다’는 비정언적 존재 개념이어서 특정 장소에 국한한 존재 주장을 얼마든지 할 수 있지만, ‘존재(existence)’는 정언적 개념이기에 이렇게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영어는 이런 경우 장소적 계사 ‘is’를 사용하지만, 계사는 독립적 의미를 갖지 않고 단순히 주어와 술어를 연결해주는 허사이다. 어떤 것의 존재를 특정 장소에 국한해 주장할 때 영어는 ‘there is’를 사용할 수 있으나, 여러 가지를 고려해 볼 때 ‘there is’는 비정언적 존재를 주장하는 표현이라고 보기 어렵다. 영어에서 존재사 ‘there is’를 쓰는 경우와 장소적 계사 ‘is’를 쓰는 경우에 모두 우리말은 ‘있다’를 사용하는 것처럼, 고대 그리스어는 양자에 모두 ‘einai’를 사용한다. 또 영어에서는 ‘is’가 아니라 ‘have’를 사용하는 소유 구문에서 우리말은 ‘∼에게 있다’를 사용하듯이 그리스어는 ‘einai’를 사용한다. 명사류 서술문의 경우, 우리말의 ‘∼이다’가 ‘∼으로 있다’와 근본적으로 의미차이가 없고 양자 모두 정체성을 표현하는 것이라면, 처소와 소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 경우도 비정언적 존재의 의미가 표현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스어의 명사류 서술문에서도 ‘einai’가 단순히 주어와 술어를 연결시켜주는 계사의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정체성을 나타내는 비정언적 존재의 의미를 가진다는 것을 시사하는 사실들이 있다.
    이 모든 경우에서 ‘einai’와 ‘있다’는 거의 같은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보이지만, 형용사 서술문에서는 양자의 유비가 깨지며, 이것이 우리가 양자를 동일시할 수 없는 가장 중요한 이유가 된다. 그리스어는 형용사 서술문에 ‘einai’를 사용하지만, 우리말은 형용사가 동사와 비슷한 독립품사여서 ‘있다’나 ‘∼이다’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그리스어에서는 형용사가 일종의 명사 상당어이고 우리말에서는 이것이 일종의 동사 상당어라는 사실은 그리스 철학의 어떤 부분들을 이해하는 데 우리에게 심각한 방해요인이 된다. 하지만, 이 부분을 제외하고 보자면, ‘einai’를 ‘있다’와 같이 비정언적 존재 개념으로 파악함으로써 ‘einai’의 애매성과 관련한 해석의 문제들을 상당 부분 해소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compare the Greek word ‘einai’ and the Korean word ‘itta’ together with the English words ‘be’ and ‘exist’. ‘Exist’ and ‘itta’ are different in the sense that the former is a categorical concept and the latter represents a non-categorical concept of existence. But since the difference is very subtle, Korean readers often misunderstand claims about existence for claims about ‘itta’, and vice versa. Likewise, if ‘einai’ represents a non-categorical concept of existence like ‘itta’, as I argue it does, Western readers may have misunderstood the true meaning of ‘einai’, because modern Western languages lack any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non-categorical concept of existence.
    In locative sentences, you use ‘itta’ in Korean while you cannot use ‘exist’ in English. Since ‘itta’ represents a non-categorical existence, you can assert ‘itta’ with regard only to specific places. But you cannot do that with ‘exist’. You use the locative copula ‘is’ in such cases, and a copula has only grammatical functions and lacks any concrete meaning. Although you can use the locution ‘there is’ in asserting existence of a certain thing in a certain place, in several important respects the locution does not represent a non-categorical concept of existence.
    A ‘there is’ sentence and a corresponding sentence with the locative copula ‘is’ are translated into the same Korean sentence using ‘itta’ and the same Greek sentence using ‘einai’. Also, in possessive sentences ‘itta’ and ‘einai’ are used in Korean and Greek. In the case of nominal sentences, if Korean ‘ida’ and ‘~ro itta’ express the idea of identification, a kind of non-categorical existence is meant here as in locative and possessive sentences in Korean. And several facts about ‘einai’ in nominal sentences suggest that it also plays the role of identification.
    In all those cases ‘einai’ seems to mean almost the same as ‘itta’. But in adjectival sentences, ‘einai’ is used in Greek but there is no corresponding expression in Korean. Adjectives in Korean are like verbs: they can be predicates by themselves. The fact that Greek adjectives are like nouns and Korean ones are like verbs presents a serious obstacle to a clear understanding of some parts of Greek philosophy for Korean readers. With the exception of this aspect, however, taking ‘einai’ as a non-categorical concept of existence as ‘itta’ is will help explain away a lot of interpretative difficulties concerning the ambiguity of ‘eina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