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프랑스어 발화명사의 통사·의미 속성에 관한 연구 - 프랑스어 발화명사의 대상부류 구축 - (Etude des propriétés syntactico-sémantiques des noms de parole en français - construction de leurs classes d'objets - Etude des propriétés syntactico-sémantiques des noms de parole en français - const)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10.02
32P 미리보기
프랑스어 발화명사의 통사·의미 속성에 관한 연구 - 프랑스어 발화명사의 대상부류 구축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프랑스어문교육 / 33호 / 357 ~ 388페이지
    · 저자명 : 이성헌

    초록

    이 글은 프랑스어 발화명사(noms de parole)들의 통사·의미 속성을 기술하기 위하여 이들 명사의 대상부류(classes d'objets)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여기서 발화명사는 annonce, aveu, critique, dialogue, explication, ordre, proposition, question 등과 같이 「말하는 행위와 그 내용」을 함께 지칭하는 명사들을 말하고, 대상부류는 어휘의 결합관계라는 통사적 근거에 의해 설정되는 의미적으로 균질한 어휘들의 부류 체계를 말한다.
    이들 발화명사는 annoncer, avouer, critiquer, dialoguer, expliquer, ordonner, proposer, questionner 등 동일 어근(racine)을 공유하는 동사들과 형태적 상관관계를 가질 뿐만 아니라, 이들 동사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논항을 선택하고 문장 구성 시에는 그 의미의 핵을 이루는 의미적 술어 기능을 담당한다. 그러면서도, 이 술어 기능이 명사라는 문법범주에 실현됨으로 해서 발화동사들과는 구별되는 통사행태를 보인다. 그런 까닭에, 발화명사들은 발화동사들과의 상관관계 속에서 동일한 비중으로 다루어져야 하며, 그러면서도 술어동사와는 구별되는 술어명사로서의 통사·의미 속성이 정확히 잘 드러나도록 기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발화명사들을 그 의미유형에 따라 세분하고 그 유형별로 발화명사들의 통사·의미 속성을 기술하는 것이 필요하다. 발화명사로 간주되는 명사들이라고 해서 모두가 동일한 의미속성과 통사행태를 보이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뒤에서 보게 되겠지만, 발화행위의 유형에 따라 이를 지칭하는 발화명사들도 서로 다른 언어 속성을 보인다. 우리가 발화명사의 대상부류를 구축하고자 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시각에서이다. 여러 선행연구들에서 드러났듯이, 특정 의미영역의 대상부류를 구축하는 과정이 바로 그 의미영역을 공유하는 어휘들을 그 통사·의미 속성에 따라 부류화하고 그 속성들을 체계적으로 기술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입장과 목표 하에, 다음에서는, 먼저 발화명사 연구의 쟁점을 정리하고 이와 관련한 기존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이를 토대로 발화명사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 발화명사의 대상부류 구축이 그에 부합하는 것임을 보일 것이다. 그런 다음, 대상부류 이론에 따라 발화명사 부류를 설정하고, 이에 속하는 명사들의 통사·의미 속성을 근거로 보다 세분된 하위부류들을 구축함으로써 각 부류에 속하는 발화명사들의 보다 고유한 속성들도 아울러 밝힐 것이다.

    영어초록

    Notre étude se propose d'établir les classes d'objets des noms de parole en français pour mettre en évidence les propriétés syntactico-sémantiques de ces noms.
    Nous entendons par noms de parole des noms prédicatifs comme annonce, aveu, critique, dialogue, explication, interview, ordre, proposition, question qui dénote une action de dire et/ou son contenu et qui se caractérisent entre autres par leur apparition dans les construction suivantes : (Ⅰ) Nhum Vsup GNpréd [Ø + à Nhum] [Ø + W], (Ⅱ) Nhum entendre GNpréd et (Ⅲ) Nhum comprendre GNpréd.
    Nous commençons par soulever les problématiques dans la description des noms prédicatifs de parole qui entourent la mise en lumière de la corrélation entre le nom prédicatif et ses supports ainsi que l'hétérogénéité des propriétés syntactico-sémantiques des noms de parole, ce qui nécessite la notion de classes d'objets.
    Ensuite, nous présentons la théorie des classes d'objets et leur application à la description des noms. Les classes d'objets, dont la notion est à l'origine conçue pour mieux délimiter le domaine d'arguments lors de la description des prédicats, renvoient à des ensembles de noms sémantiquement homogènes. Elles se caractérisent avant tout par leur méthode de construction : elles sont établies sur la base de critères syntaxiques appelés opérateurs appropriés, et cela à partir de nouveaux traits, ceux-ci étant préalablement définis selon les mêmes principes, autrement dit selon des critères syntaxiques nommés cette fois-ci opérateurs généraux.
    Pour finir, nous montrons que la construction des classes d'objets des noms de parole confirme tout l'intérêt de cette théorie : cette dernière permet de décrire de façon rigoureuse et systématique les noms de parole et de mettre en lumière leurs propriétés syntactico-sémantiqu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프랑스어문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