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高句麗語 母音에 ‘’가 없었을까? - 고구려어 표음자의 蟹攝字 분석 (Reconstruction of Vowel /ʌ/ in the Goguryeon Language)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16.06
44P 미리보기
高句麗語 母音에 ‘’가 없었을까? - 고구려어 표음자의 蟹攝字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학회
    · 수록지 정보 : 國語學 / 78호 / 3 ~ 46페이지
    · 저자명 : 이승재

    초록

    이 글은 중세 한국어의 ‘’에 해당하는 모음이 高句麗語에도 있었는지를 논의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고구려어 전체 표음자 713자 중에서 陰聲韻尾 /*-i/를 가지는 60여 蟹攝字를 대상으로 삼아, 이들 중에서 韻腹에서만 음가 차이가 나고 나머지 음운론적 요소는 동일한 音韻對立 쌍을 찾아낸다. 이 음운대립 쌍은 운미 /*-i/의 바로 앞에 어느 모음이 올 수 있는지를 말해 준다.
    그런데 蟹攝에 속하는 泰韻, 祭韻, 廢韻 등은 漢語 中古音의 성조가 항상 거성이다. 이 거성운모는 한어 上古音에서는 자음운미 즉 입성운미를 가졌지만 한어 중고음에서는 음성운미 /*-i/로 변화했다고 한다. 따라서 해섭자를 기술할 때에는 이 거성운모가 첫째로 자음운미를 가질 때와 둘째로 음성운미 /*-i/를 가질 때의 두 가지로 나누어 기술할 필요가 있다. 첫째의 기술에서는 해섭 운모의 운복이 二元對立을 이루므로 /*a/와 /*e/의 두 가지 모음이 설정된다. 그러나 둘째의 기술에서는 三元對立을 이루므로 이밖에도 제3의 모음이 필요하다. 이 제3의 모음은 중세 한국어의 ‘’에 대응하는 /*ʌ/이다.
    고구려어는 주로 전기 중고음의 시기에 기록되었으므로 고구려어 음운체계를 논의할 때에는 둘째의 기술 방법을 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중세 한국어의 ‘’에 해당하는 모음 /*ʌ/가 고구려어에도 있었다고 본다.

    영어초록

    At least sixty xièshè 蟹攝 phonographs containing the coda /*-i/ were used to transcribe proper nouns in the language of Goguryeo 高句麗 (BCE 37~CE 668). Pronunciations of these phonographs have minimal pairs that differ in their main vowel. By comparing these minimal pairs, we can determine how many phonologically opposed vowels can be reconstructed in front of a coda /*-i/. This paper examines these vowels and discusses whether the vowel corresponding to /ʌ/ in Middle Korean should be listed in the phonemic inventory of the Goguryeon language.
    Phonographs in some xièshè rhymes such as tàiyùn 泰韻, jìyùn 祭韻, and fèiyùn 廢韻 are all pronounced with the qù tone 去聲 in Middle Chinese (MC). Many scholars argue that these rhymes must have been pronounced with the rù tone 入聲 in Old Chinese (OC), which is represented by a consonant ending. Therefore, xièshè phonographs in the Goguryeon language can be analyzed in two different ways based on their tones in MC and OC. First, if we classify tàiyùn, jìyùn, and fèiyùn as a rù tone rhyme as in OC, there is no example of minimal pairs differing in the main vowel among hāiyùn 咍韻, tàiyùn 泰韻, jiēyùn 皆韻, jiāyùn 佳韻, jìyùn 祭韻, and fèiyùn 廢韻 in the Goguryeon phonographs. Thus, a main vowel of all six of these rhymes can be reconstructed as an identical /*a/.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everal examples of minimal pairs between these rhymes and qíyùn 齊韻, which leads us to reconstruct another vowel /*e/ as a main vowel of qíyùn. In this binary opposition, only /*a/ and /*e/ can be reconstructed as a main vowel of xièshè rhymes.
    However, if tàiyùn, jìyùn, and fèiyùn are classified as the qù tone rhyme as in MC, the third vowel is required for triple opposition. In this scenario, there are a couple of minimal pairs between these rhymes and hāiyùn that differ in the main vowel. This means that the main vowel of hāiyùn was phonologically distinct from the main vowel of tàiyùn, jiēyùn, and jiāyùn in the Goguryeon phonographs. Thus, another vowel opposing the /*a/ and /*e/ should be allotted to the main vowel of hāiyùn. High vowels or rounded vowels cannot be a main vowel of xièshè rhymes. However, described as [-high, +back, -round, -low], the third vowel /*ʌ/ is qualified as one of the main vowels of xièshè rhymes.
    Because almost every Goguryeon phonograph borrowed MC pronunciation, this paper prefers the triple opposition to the binary one. In conclusion, this paper argues that /*ʌ/, which corresponds to Middle Korean /ʌ/, should be listed in the phonemic inventory of the Goguryeon language along with /*a/ and /*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國語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