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참된 교회의 감춰져 있음―루터 교회론의 한 측면 (The Hiddenness of True Church―A Study of One Aspect of Luther’s Ecclesiology)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17.08
42P 미리보기
참된 교회의 감춰져 있음―루터 교회론의 한 측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개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개혁신학 / 55권 / 69 ~ 110페이지
    · 저자명 : 우병훈

    초록

    루터는 그의 신학의 시작이라 볼 수 있는 “제 1차 시편 강의”부터 그의 말년에 이르는 “창세기 강의”까지 “교회의 감춰져 있음”이라는 개념을 줄곧 사용했다. 하지만 그는 그 개념을 자신이 처한 시대적 상황에 따라 강조점의 차이를 가지고 다르게 사용했다.
    첫째로, 루터는 1519년에서 1525년 사이에 “교회의 감춰져 있음”의 개념을 교회 비판적 기능을 위해 사용했다. 그는 교회의 영적인 측면을 강조하기 위해서 이 개념을 사용했다. 교회는 영적인 측면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교황이 세상에서 사탄적인, 보이는 방식으로 자신의 보호를 추구하는 것은 옳지 않다. 교회 안에 있다고 해서 모두 다 참된 크리스천인 것은 아니며, 영적인 삶을 살아가는 자들이야말로 진정한 크리스천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사람들은 세상의 관점에서는 드러나지 않고 다만 하나님의 관점에서만 드러나기 때문이다. 루터는 “교회의 감춰져 있음”을 가지고 교회의 영적 특성과 순결성을 강조하고, 그것으로 로마교회를 비판했다.
    둘째로, 루터는 1532년에서 1535년 사이에 “교회의 감춰져 있음”의 개념을 변증적 기능으로 사용했다. 1526년 이후로 개신교회가 외형적으로 형성되었다. 루터는 이런 상황에서 개신교회를 옹호하고 변증하는 차원에서 “교회의 감춰져 있음”을 얘기한다. 교회의 거룩성은 그리스도의 은밀한 죄 씻음의 사역을 통해서 확보된다. 교회의 참된 열매들과 표지들이 감추어져 있다. 따라서 개신교회의 외적인 부족함을 보면서 쉽게 그것을 부정하거나 비판해서는 안 된다. 이 땅에서 교회의 거룩성은 완전한 거룩성을 이룰 수는 없고 오류와 결점이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셋째로, 루터는 1535년에서 1543년 사이에 “교회의 감춰져 있음”의 개념을 목회적 기능을 위해 사용했다. 그는 이 개념을 가지고 성도들이 고난과 역경 속에서도 견디도록 독려했다. 현실에서 참된 교회는 감춰져 있고 참된 교회로 여겨지지 않지만, 십자가의 판결을 붙들어야 한다. 참된 교회는 위기를 겪는다. 하지만 엘리야와 그리스도에게 승리를 주신 하나님을 교회는 붙들어야 한다. 교회는 비록 감춰져 있고 핍박을 받고 있으나 약속의 하나님을 신실하게 믿고 나아가야 한다. 하나님이 감춰져 계시듯이 교회도 감춰져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감춰져 있는 하나님은 말씀과 성례를 통해서 드러나신다. 그렇기에 참된 교회는 고난 가운데 감춰져 있지만 하나님의 말씀을 붙잡음으로써 고난의 시기를 이겨야 한다.
    정리하자면, 루터는 “교회의 감춰져 있음”을 시대에 따라, 교회 비판적으로, 개신교회의 옹호와 변증을 위해, 위로와 권면을 위해서 사용하였다.

    영어초록

    Luther used the concept of the “hiddenness of the church” from his First Lectures on the Psalms to his mature work, Lectures on Genesis. He, however, applied the concept according to his day and focus of interest.
    First, Luther used the concept of the “hiddenness of the church” to criticize the contemporary medieval church between 1519 and 1525. He emphasized with it the spiritual aspect of the church. He argued that it is wrong for popes to be concerned about being defended in the public place of the world's tabernacle and in visible things. Although the true church has been hidden so long beneath sacred vestments, ritual, works, and similar outward pretensions, maintained Luther, the believer is saved not through the contribution of money but through faith. Luther stressed the purity of the church and criticized the contemporary medieval churches through the concept of the “hiddenness of the church.”
    Second, Luther used the concept for an apologetic purpose between 1532 and 1535. With this concept he defended the Protestant church in Germany which had an external-focused form since 1526. When some critics reproached the Protestant church because of its faults, Luther claimed that the true fruit and certain marks of the church were hidden from the eyes of those who were good at judging small offenses but could not see the great miracles the church did. Luther contended that one should not indiscreetly blame the church because the church in this world cannot be perfect.
    Third, Luther used the concept of the “hiddenness of the church” for a pastoral purpose. He encouraged believers to stand firm in adverse situations and sufferings. Although the true church is hidden and even will be regarded as heretical, believers must gain the conviction that the cross and its verdicts are true and infallible signs of the true church. God will give victory to the true church as he did to Elijah and Christ. At this point, Luther also pointed out that the true church has true marks such as the word of God and the sacraments. Thus, the concept of the “hiddenness of the church” cannot be applied to a heretical church.
    In sum, Luther used the concept of the “hiddenness of the church” to criticize the medieval Roman church, to defend the Protestant church, and to comfort true believers according to their current situ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개혁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