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리듬과 의미 — 프랑스어 리듬의 전제 조건에 비추어본 한국어 리듬의 문제들 (Rythme et sens — Questions du rythme du coréen approchés par l’angle des propositions conceptuelles du rythme du français)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13.04
46P 미리보기
리듬과 의미 — 프랑스어 리듬의 전제 조건에 비추어본 한국어 리듬의 문제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학연구 / 36호 / 97 ~ 142페이지
    · 저자명 : 조재룡

    초록

    본고의 목적은 프랑스어 리듬을 결정짓는 요소들을 기준으로 한국어 리듬에 관한 문제를 촉발시키는 데 놓여 있다. 한국어의 리듬은 한편으로는 운율과 율격 등의 개념들과 동일시되어왔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음악적 요소로 인식되어 왔었다. 이러한 인식은 형식적이고 수사학 관점을 견지한, 시작법의 한 요소로 리듬 개념을 국한시키는 것이기도 하다. 현대시학에서 강조해온 것은 리듬이 의미와 불가분의 관계에 놓인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리듬은 시작법의 요소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텍스트에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프랑스어에서 리듬을 헤아리는 지표와 그 전제들을 통해 한국시에서 리듬이 논의될 관점들과 그 가능성에 대해 살펴본다. 본고에서 한국현대시의 예를 통해 적용을 시도하면서 가설로 제기한 물음은 다음과 같다. 프랑스어의 음절분절동등법칙을 한국어에 적용할 수 있는가? 프랑스어의 리듬이 통사 그룹의 마지막 음절에 발생하는 강세에 토대를 둔다고 할 때, 한국어에서 강세는 어떻게 추출할 수 있는가? 자음의 중복에 기반하여 강세를 산출하는 프랑스어의 프로조디에 비해, 한국어에서 운위되는 프로조디는 어떻게 강세를 산출하는가? 이러한 물음에 대답하기 위해서는 리듬에 관한 근본적인 관점을 전환해야할 필요성이 있으며, (프랑스) 현대시학이 일구어낸 독창성도 바로 여기에 있다. 특히 앙리 메쇼닉이 정초한 리듬의 시학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듬은 말의 지형도이며, 이 지형도에서 그 거점은 강세이다. 둘째, 리듬에서 강세는 통사의 조직과 연관되며, 통사 구조를 헤아리는 작업이 바로 리듬 연구의 초석이다. 셋째, 리듬은 프로조디의 조직이며, 프로조디의 조직이 리듬의 지표가 된다. 넷째, 통사의 조직과 프로조디의 조직이 텍스트의 의미를 관장한다. 다섯째, 의미가 발생하는 순간이 바로 리듬이 개입하는 순간이며, 의미생성과 불가분의 상태에서 논의되는 리듬은 존재하지 않는다. 리듬의 물음에 접근한 이와 같은 논지는 한국어와 한국시의 리듬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관점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La question est de savoir comment déterminer le rythme du coréen. Le rythme du coréen est, aujourd’hui, devant l’inconnu : l’inconnu du langage et l’inconnu du discours. Car, le rythme du(en) coréen a été traditionnellement et consubstantiellement défini par l’angle de la métrique. Autrement dit, ce concept du rythme du coréen ne se construit que dans et par la cadence, la périodicité, la régularité numérique selon le comptage syllabique. L’alternance du temps fort et du tempt faible en est emblématique : d’ailleurs, c’est le lieu d’avoir l’alibis du dualisme, bien hérité par la sémiotique, entre son et sens, par exemple et du processus de la conceptualisation hérérogène. L’objectif de cette recherche est de declencher la problématique sur le rythme du coréen s’appuyant sur le propos théorique sur notion du rythme du français. Ainsi, le rythme français repose, d’après l’analyse d’Henri Meschonnic, sur la manière d’organiser l’accent dans le discours. En ce sens, non seulement l’accentuation n’a rien à voir avec la distribution numérique des syllabes ou des mots, mais elle articule aussi la syntaxe du franàais en unités rythmiques qui varient selon les discours. Mais est-ce donc vrai s’agissant du rythme du coréen? D’ailleur, le rythme du français ne consiste pas à soulever l’accentuation sur le mot, mais sur le groupe, c’est-à-dire, le groupe syntaxique. Comme l’accent se produit à la dernière syllabe de chaque groupe syntaxique en français(du sujet, du verbe, de l’adjectif, de l’adverbe, etc.), la question du rythme du coréen va naturellemnt vers la question de comment déterminier chaque cas de ce groupe syntaxique.
    Soit en coréen, soit en français, le rythme ne peux pas ê̂tre dissocié de la signification des discours. Car, le mode de signifier dépend de ce qui organise le langage par la mise en relation de toutes ses composantes, et de ce qui est en effet la réalisation de tous les éléments du langage. Le rythme est, comme el disait H. Meschonnic, l’organisation du mouvement de la parole dans l’écriture. En ce sens, le point de vue du rythme est en mesure de renouveler l’approche et la conception même du langage. Il est non seulement la configuration du discours, mais est le moteur de revendication de la subjectivation du discours, c’est-à-dire, l’indice de la poursuivre la subjectivité de l’écriture. Il y a donc l’inséparabilité entre le rythme et le sens. Car, le rythme est l’événement du sens, le rythme est celui qui organise le sens dans le discou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