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베트남어의 한자어 수용 양상 연구 -한국어 한자어 수용 실태를 참고하여 (A Comparative Study of Aspect of Acceptance of Chinese characters in Vietnam and Korea -focused on Vietnamese Case)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17.09
27P 미리보기
베트남어의 한자어 수용 양상 연구 -한국어 한자어 수용 실태를 참고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54호 / 31 ~ 57페이지
    · 저자명 : Nguyen, Ngoc Tuyen, 이찬규

    초록

    한자 수용은 동아시아에 위치하는 국가들의 역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국어 문자가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전까지 한자는 수 천 년 동안 이 국가들에서 공식 문자로서 사용되었다. 동아시아 국가들에서 한자를 대신해서 자기의 문자를 사용하고자 한 운동은 민족자결주의가 전 세계로 확산된 현대시기에 일어났다. 현대시기에 국어 문자를 공식적으로 정했어도 한자 사용은 계속 이어졌으나, 여러 나라들에서 한자 수용에 대한 태도는 서로 매우 달랐다. 일본은 한자 혼용으로, 북한은 한자 폐지ㆍ한글 전용으로, 베트남은 한자 폐지ㆍ쯔 꾸억 응으 전용으로 언어정책을 세웠다면 한국에서는 한자 사용 정책이 오락가락하면서 찬ㆍ반 논쟁이 계속되었다.
    한자 수용 양상이 어떻게 되든 간에 이 나라들의 어휘체계 속에서 한자어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자기 국어를 발전시키는 데에 한자어 교육, 더 나아가 한자 교육의 필요성을 외면할 수 없다. 한국은 1948년에 ‘한글전용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후부터 한자 혼용과 한글 전용 논쟁이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다. 베트남은 1950년 이후 한자를 완전히 폐지하고 ‘쯔 꾸억 응으’만 사용되었다. 그러나 갈수록 베트남 사회에서 한자 교육을 부활시키고자 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것이 사실이다. 이렇게 볼 때 현재 한자 문화권 국가들에서 한자에 관한 언어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 각국의 언어 상황을 살펴보고 시사점들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1차로 베트남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베트남에서 1000여 년 동안 공식 문자로 사용되었던 한자는 20세기에 와서 ‘쯔 꾸억 응으’에 밀려 폐지되고 말았다. 약 70년 동안 한자 교육 없이 쯔 꾸억 응으만으로 교육을 받아온 베트남인들은 어느 정도 한자어 활용을 할 수는 있지만 한자 인지 정도가 상당히 낮아졌다. 한자 교육의 부재로 인해 한자어 뜻을 잘못 이해하는 현상이 베트남어를 발전시키는 데에 오히려 큰 장애가 되고 있다. 그러나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베트남에서 반드시 기본 한자 교육을 진행해야 하는 것인가? 아니면 한자어의 교육만으로도 충분한 것인가? 등이 한자와 관련하여 베트남 언어학계에서 안고 있는 숙제이다. 이 과정에서 베트남은 다른 한자 문화권의 사례를 참고할 수밖에 없으며, 한국도 마찬가지다. 계속 이어지는 한자 교육 논쟁이 역사적ㆍ정치적 배경의 당위성 논쟁에서 벗어나 보다 언어학적인 접근을 통한 실증적인 검토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베트남의 사례는 한국의 한자어 교육 정책에 큰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본다.

    영어초록

    It can be said that the reception of Chinese character had been getting along with the history of nations in East Asia. Before each nation in East Asia declared its own official script, Chinese character had been used as official scripts in these nations. In modern times, together with the spread of the principle of nation self-determination on over the world, East Asia nations started appealing for the use of its own character instead of Chinese character. However, despite of the declaration of new official scripts, the reception of Chinese character had been still going on with diverse changes in attitude of these nations about the reception. While Japan kept using Hiragana, Katakana mixed with Chinese, North Korea decided to abolish Chinese and exclusively use Choson-geul, and Vietnam abolished Chinese as well as exclusively use chu quoc ngu, South Korea kept remaining in the dispute related to using or not using Chinese mixed with Hangeul.
    Whatever how the reception of Chinese character has been changed, it is true that in the vocabulary structures of these nations, words of Chinese origin occupied with great percentag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ignore the necessity of education on either words of Chinese origin or Chinese character itself in developing the official languages of these countries. From the enactment of the ‘law on exclusive use of Hangeul’ in 1948 until now, the dispute of using Chinese mixed with Hangeul and exclusive use of Hangeul has been being continued in South Korea. For Vietnam case, Chinese character had been repealed after 1950s in order to promote chu quoc ngu in the official education in the whole country. However, the appealing for the resurrection of the education on Chinese character is getting its voice louder day by day in Vietnamese society. It is can be said that in order to establishing a better linguistic policy related to Chinese character, it is extremely important to refer to the reality as well as linguistic matters in the countries in this cultural area of Chinese character.
    This paper, therefore, takes Vietnam’s case as the first step of the study. In Vietnam, Chinese character had been the official script for about 2000 years, and in the mordern times of 20th century, it had lost its power into chu quoc ngu and became abolished at the end. Nowaday, the capacity of recognizing Chinese character of Vietnamese people, who have been educated around 70 years without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s quite low though they still can put words of Chinese origin in practical use. The phenomena of misunderstanding which leads to misusage of words of Chinese origin due to the low ability in recognizing Chinese character is becoming an obstacle in developing Vietnamese language. However,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should Vietnam carry out the education on Chinese character or will it be enough for educating words of Chinese origin only? These are still an agenda that Vietnam needs to refer to the cases of other countries in this cultural area of Chinese character. And the same with South Korea. It can be said that the dispute related to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South Korea should get out of the appropriateness argument on the historic political background and head to a positive examination through a linguistic analy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