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증거성(evidentiality)과 주어제약의 유형론-한국어, 몽골어, 티벳어를 예로 들어- (Typology of Evidentiality and Subject Restriction: based on Korean, Mongolian and Tibetan)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07.03
23P 미리보기
증거성(evidentiality)과 주어제약의 유형론-한국어, 몽골어, 티벳어를 예로 들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형태론
    · 수록지 정보 : 형태론 / 9권 / 1호 / 1 ~ 23페이지
    · 저자명 : 송재목

    초록

    이 글에서는 한국어와 몽골어, 티벳어에 보이는 증거성(evidentiality)과 관련된 문법표지들을 ‘직접지식’, ‘간접지식’, ‘보고’의 표지로 나누어서 살펴보고 이들에 대한 주어제약현상을 관찰하였다. 세 언어에서 주어제약은 주로 1인칭에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간접지식과 보고의 표지는 세 언어에서 모두 1인칭주어와는 함께 사용되지 않는다. 직접지식에 있어서는 몽골어 ‘-laa’는 주어제약이 없지만 한국어 ‘-더-, -네’와 티벳어 ‘-thæ’는 1인칭주어를 일반적으로 허용하지 않는다. 간접지식표지와 보고표지에 대한 주어제약은 1인칭주어문에 함의된 증거성의미와 증거성표지가 나타내는 증거성의미의 대립에 의해 생겨나는 것으로 분석한다. 몽골어와 한국어, 티벳어의 직접지식표지에서 나타나는 주어제약의 차이는 직접지식이 나타내는 정보영역의 차이로 설명한·다. 화자의 직접경험과 직접관찰을 모두 포함하는 몽골어 ‘-laa’는 주어제약이 없지만, 화자의 직접관찰만을 나타내는 한국어 ‘-더-, -네’와 티벳어 ‘-thæ’는 1인칭주어와 함께 사용되지 않는다. 세 언어의 증거성관련표지들의 특성만으로 볼 때 한국어는 유형론적으로 몽골어보다는 티벳어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relations between evidential markers and their subject restriction in Korean, Mongolian and Tibetan, and classifies their typological patterns. The three languages distinguish direct-knowledge (DK), indirect-knowledge (IK) and reported-knowledge (RK) evidentials. Evidential markers are often accompanied by subject restriction. Subject restriction is mainly observed with first person. The three languages do not allow the IK and RK evidentials to be used with a first person subject. The DK evidential can be used with first person in Mongolian but not in Korean or Tibetan. We argue that subject restriction in the IK and RK evidentials results from a semantic conflict between the information demanded on a first person subject and that of the evidentials. The speaker’s own event or situation is supposed to be directly perceived by him and therefore a first person subject implies the meaning of direct and first-hand knowledge. The indirect and second-hand knowledge meaning in the IK and RK evidentials is not compatible with the implied meaning of a first person subject and hence the first person restriction in IK and RK evidentials. While the Mongolian DK past marker –laa does not show subject restriction, the Korean DK markers –te-, -ney and the Tibetan DK marker -thæ cannot have a first person subject. This paper assumes that DK evidentials can be divided into two subtypes: i) Inclusive and ii) Exclusive. The inclusive DK evidential covers not only the speaker’s direct experience but also his direct observation, whereas the exclusive DK evidential only covers situations directly observed by the speaker. The target of observation is the surroundings of the deictic center (the speaker) and the deictic center itself is not normally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observation. Therefore, the exclusive DK evidential is not used to express situations of a first person subject. We argue that the Mongolian -laa belongs to the inclusive DK evidential, whereas the Korean –te-, -ney and the Tibetan -thæ belong to the exclusive DK evidential. Overall, Korean is closer to Tibetan than Mongolian in terms of the charactereistics of evidential markers and their subject restri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형태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