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Thomas Wade 『語言自邇集』 「TONE EXERCISES」에 대한 廣部 精 『亞細亞言語集』 「平仄編」과 일본의 중국어사전 안의 표기 양상에 대하여 (About the Ttranslation of Thomas Wade 『語言自邇集』 「TONE EXERCISES」 of 『亞細亞言語集』 「平仄編」 and Its Transcription in Japanese Chinese Dictionarie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23.08
40P 미리보기
Thomas Wade 『語言自邇集』 「TONE EXERCISES」에 대한 廣部 精 『亞細亞言語集』 「平仄編」과 일본의 중국어사전 안의 표기 양상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학보 / 105호 / 3 ~ 42페이지
    · 저자명 : 구현아

    초록

    19세기에서 20세기 초는 서세동점(西勢東漸)으로 인해 중국에 서양인이 유입되어 이들에 의해 편찬된 중국 어학, 문화 저서, 문학작품 번역서가 서양에 소개되고, 이를 기반으로 중국학의 기초가 만들어지는 이른바 ‘문명사적 전환’을 이룬 시기이다. 외교관, 선교사, 세관, 상인, 작가 등 중국인과 정치, 경제, 종교 등의 목적으로 교류할 필요성에 직면한 서양인은 중국어 회화, 독해, 어법 등 교재와 각종 사전 편찬에 몰두하였으며, 이들에 의해 중국 각지 방언, 관화 등 방대한 양의 교재가 탄생되었다. 1860년 북경조약 체결로 인해 외국인의 북경으로의 왕래가 자유로워지면서 서양인들은 북경관화의 중요성에 대해 자각하게 되었으며, 당시 영국의 외교관 토마스 웨이드(Thomas Wade)는 북경관화 교재인 『語言自邇集』(1867)를 편찬하였다. 『語言自邇集』은 19세기 북경관화의 음운 체계, 발음 방법, 표기 방식, 어휘, 어법 특징 등을 총망라한 교재로, 중국어 교재 편찬사에 있어 큰 획을 남겼다. 1871년 日淸修好條規를 조인하는 과정에서 청나라와의 외교 교섭에 ‘북경관화’ 교육의 필요성을 통감한 일본은 동경 외국어학교에 북경인 교사를 초빙하고, 『語言自邇集』을 교재로 채택하여 중국어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1879년 일본의 중국어학자 히로베 세이(廣部精)는 『亞細亞言語集: 支那官話部』라는 이름으로 『語言自邇集』의 번역서를 편찬하였다. 특히 『亞細亞言語集』에 정리된 북경음 음절표인 「평측편」은 당시 북경관화의 음운 체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부분으로, 이 체제를 모방한 『自邇集平仄編四聲聯珠』(1886), 『華語跬步』(1886), 『日漢英語言合壁』(1888) 등과 같은 저서가 잇달아 나왔다. 본 연구는 일본의 중국어교재 역사상 가장 중요한 전환점이 된 『語言自邇集』의 「TONE EXERCISES」의 번역인 『亞細亞言語集』의 「平仄編」에 나타난 발음 표기를 분석하고, 후대 일본인이 편찬한 중국어사전인 『北京正音 支那新字典』(1905), 『標準支那語字典』(1926), 『井上支那語辞典』 (1932) 안의 가타카나 표기 양상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북경관화의 음운의 변천사를 밝히고자 하였다. 『亞細亞言語集』에서는 유기음과 무기음 성모 표기가 구별되지 않고, ŋ운미 표기에 통일성이 없는 등 표기에 한계가 존재했다. 그러나, 20세기 초 편찬된 중국어사전에서는 일본어에 없는 유기음과 무기음 성모의 대립을 나타내는 추가적인 부호를 쓰고, 가타카나 상단에 점 두 개를 첨가하여 y음을 나타내는 등 새로운 표기법을 시도했고, x와 ɛ가 결합할 때 ヘ, ŋ운미를 ‘ン+グ’로 썼으며, ə운모를 나타내기 위해 ォ̂, ェ̂와 같은 첨자를 부가하는 등 북경관화음에 더 가깝게 표기하기 위해 『亞細亞』에 사용되지 않는 가타카나나 새롭게 만들어내 가타카나를 사용하였다. 또한, 표기 분석을 통해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 북경관화에서 영성모와 o운모가 결합할 때 ɤ로 변화하며 iai, io, yo운모가 소실되는 과정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Westerners flowed into China and Chinese language, cultural books, and translations of literary works compiled by them were introduced to the West, and based on this, the foundation of Chinese studies was created. It is a period of so-called ‘civilizational transition'. Westerners, who faced the need to interact with Chinese people such as diplomats, missionaries, customs officers, merchants, and writers for political, economic, and religious purposes, immersed themselves in teaching materials such as Chinese conversation, reading comprehension, and grammar and compiling various dictionaries. A vast amount of textbooks, such as dialect and Mandarin, were created. With the signing of the Peking Treaty in 1860, foreigners became free to come and go to Beijing, and Westerners became aware of the importance of Peking Mandarin. 『語言自邇集』(1867) is a textbook covering the phonological system, pronunciation method, writing method, vocabulary, and grammar characteristics of 19th-century Peking Mandarin, leaving a big mark in the history of Chinese textbook compilation. In 1871, in the process of signing Sino-Japanese Treaty, Japan, keenly aware of the need for ‘Peking Dialect' education in diplomatic negotiations with the Qing Dynasty, invited Pekingese teachers to Tokyo foreign language schools and adopted 『語言自邇集』 as a textbook. In 1879, Japanese Chinese scholar Hirobe Sei (廣部精) compiled a translation of 『語言自邇集』 under the name 『亞細亞言語集:支那官話部』. In particular, 「平仄編」, a table of Beijing phonetic syllables organized in 『亞細亞言語集』, is an important part showing the phonological system of Beijing Guanhua at the time. A series of books such as 『華語跬步』(1886) and 『日漢英語言合壁』(1888) came out one after another. This study analyzes the phonetic notation shown in 「平仄編」of 『亞細亞言語集』 which is a translation of 『TONE EXERCISES』 of 『語言自邇集』, which is the most important turning point in the history of Japanese Chinese textbooks, and Examined the katakana transcription patterns in Chinese dictionaries 『北京正音 支那新字典』(1905), 『標準支那語字典』(1926), 『井上支那語辞典』(1932), and through this, revealed the history of phonological changes in Beijing Phonological system. 『亞細亞言語集』, there were limitations in notation, such as the indistinguishment of aspirated and inorganic consonants, and the lack of uniformity in the ŋ rhyme notation. However, in the Chinese dictionary compiled in the early 20th century, new notation methods were attempted, such as writing an additional sign representing the opposition between aspirated and aspirated initial that were not found in Japanese, adding two dots at the top of katakana to indicate y, and x and ɛ When combined, ヘ and ŋ rhymes were written as ‘ン + グ', and suffixes such as ォ̂ and ェ̂ were added to indicate ə, so that they were not used in 『亞細亞言語集』 to be closer to the Pekingese sound system Unknown katakana was newly created and used katakana. In addition, through notational analysis, it is possible to know the process in which iai, io, and yo are lost, changing to ɤ when zero initial and o are combined in Peking Dialect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