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문적 특성으로 본 일본어 무드표현 –‘しなくてはならない’, ‘すればよい’, ‘してはいけない’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Modern Japanese Modality in Syntax – Focusing on ‘Sinakutewanaranai’, ‘Surebayoi’, ‘Sitewaikenai’ –)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15.10
26P 미리보기
구문적 특성으로 본 일본어 무드표현 –‘しなくてはならない’, ‘すればよい’, ‘してはいけな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학 / 61호 / 77 ~ 102페이지
    · 저자명 : 최병규

    초록

    동사의 조건·역조건을 나타내는 형태 「∼しても」 「∼すれば」 「∼すると」 「∼しては」 「∼しなければ」 「∼ しなくては」 등과 「よい」 「いけない」 「ならない」 등이 결합하여 義務나 허가 금지 등을 나타내는 다양한 무드문이 만들어진다. 본고는 그중에서 「しなくてはならない」 「すればよい」 「してはいけない」 문을 중점적으로분석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선행연구의 성과를 실제문학작품의 예문을 통해서 확인함과 동시에 각각의 의미결합체의 사용상황과 의미편중에 따른 유사점과 상이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의미 간의 상관성과 변화 양상에초점을 맞추어서 체계적인 시스템화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しなくてはならない」 문은 의무를 나타낸다고 일컬어져 왔지만 분석결과 어떤 목적 실현을 위해 동작을 할 필요가 있다고 하는 <필요조건>이 기본적인 의미로, 의무는 그 목적이 일반화된 경우에 성립되는 하위범주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주체(행위자)의 의지성 측면에서 보면 의지적 선택의 결과로써 발생하는 <필요조건>과 의지적 선택의 결과가 아닌 원인–결과의 관계로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필연>으로 크게 분류할 수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질은 <필요조건>을 나타내고 있으나 그 하위범주로서 제한적인 조건하에서 <필연>이 성립되며 두 의미는 연속적이라고 하겠다.
    2. 「すればよい」 문의 기본적인 의미는 어떤 목적을 실현시키기 위해서 혹은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상태에 접근하기 위해서 취하는 수단으로서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방법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구체적이고확실한 것 뿐 만 아니고 화자 내부에 막연하게 바람직한 상태로 내재되어 있어서 화자자신조차도 확실하게 의식하지 못하는 것도 포함된다.
    특히 「∼すればよい」 문은 「すればよい」를 하나의 술어로 보는 경우와 「よい」만을 술어로 보는 두 가지의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는 형용사적인 성격이 강하게 작용하여 「のに」나 「ものを」 「∼じゃ ありませんか」 「∼じゃないの」 등과 결합하여 파생적인 다양한 의미가 성립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 「すれば」와 「よい」간의 결합력의 강약도 의미간의 뉘앙스의 차이를 발생시키고 있다.
    3. 「してはいけない」 문은 <금지>를 기본 의미로 해서 몇 개의 의미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문맥 등에 따라서 다양한 뉘앙스의 변화를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가 있었지만 의미간의 연관성을 규명하는 단계에는 이르지 못하였다. 다만, 무드성이 강한 <금지>에서 무드성이 약한 <일반 사실>에 이르는 각각의 의미를 결정하는 것은 주체의 인칭이나 화자와 청자 간의 관계나 상황, 주체의 성격, 동사의 의지성 여부 등 다양한 요인이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It makes various modal expressions meaning of obligation, permission or prohibition by combining 「∼sitemo」 「∼sureba」 「∼suruto」 「∼sitewa」 「∼sinakereba」 「∼sinakutewa」, forms of condition and counter condition of verbs, and 「yoi」 「ikenai」 「naranai」. It is concentrated on 「sinakutewanaranai」 「surebayoi」 「sitewaikenai」 among these modalities in this article. To be specific, it checked the result of precedent study through examples from actual literature and analyzed usage situation of respective meaning combination a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y biased meaning. Furthermore, it attempted to systemize methodically focusing on interrelationship and changing between mean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t has been thought that 「sinakutewanaranai」 stands for obligation. However the analysis shows that <necessary condition>, has to be done for the realization of the object, is a basic meaning and the obligation is a subcategory in case the object is generalized.
    In addition, it could be classified <necessary condition>, result from the volitional choices, and <inevitability>, cause and effect not the result of the volitional choices, in terms of will of a subject(actant). In conclusion, it intrinsically indicates <necessary condition>, but it is established <inevitability> as the subcategory in qualified condition and those meaning is continuous.
    2. The basic meaning of 「surebayoi」 sentence is for realization of the object or to emphasize the ways thought to be appropriate as a method for advisable condition. This object is includes concrete and clear things as well as an insensitiveness of speaker himself because it is vaguely embedded in the inside of speaker in advisable condition.
    Especially, 「∼surebayoi」 sentence could be classified as two cases that regards 「surebayoi」 as predicate and 「yoi」 only. Especially, 「∼surebayoi」 sentence could be classified as two cases that regards 「surebayoi」 as predicate and 「yoi」 only. In the latter case, it has strong effect of adjective, it could be confirmed that inflectional various method is established combining with 「noni」, 「mono-o」, 「∼jaarimasenka」 or 「∼janaino」 because of strong effect of adjective. In addition, coherence dynamics of 「sureba」 and 「yoi」 also generates differences of nuance between meanings 3. 「sitewaikenai」 sentence is classified into several meaning group as a basic meaning of <prohibition>and it could be confirmed that it shows various changing of nuance depending on context. However it has not been reached the stage of semantic relevance. However,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re are various factors to determine respective meaning from <prihibition>, low modality, to <general fact>,strong modality, such as person of subject, relationship and situation between speaker and listener, characteristic of subject and whether there is a will or no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