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어 감정표현 ‘놀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Japanese Expressions for the Emotion of Surpris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19.11
15P 미리보기
일본어 감정표현 ‘놀람’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어일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어일문학연구 / 111권 / 101 ~ 115페이지
    · 저자명 : 송연희

    초록

    本稿では、感情表現の中「驚」の感情について、発話類型使用様相と発話パターンを考察した。考察の結果は次の通りである。 「驚」の感情の発話類型は6つに分類することができ、発話類型別の使用様相は[感動詞感情表出]が33.3%で最も多く使用されており、[感情語感情表出]も30.7%使用されている。 [理由説明]は14.7%使用しており、[確認要求]は16%使用した。 そして[禁止要求]が3.3%、[行為改善要求]が2%の順に用いられ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 他の感情に比べて[感情語感情表出]より[感動詞感情表出]がやや多かった。その理由は10種の感情の中でも「驚」の感情は「喜」と「哀」などに比べて長時間持続されていない瞬間的に感じ、消えていく感情の一つといえる。 「驚」の発話パターンの使用の様相を分類した結果をみると、単独発話パターンは全体の71.7%を占め、複数発話パターンの二倍以上使用され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その中で[感動詞感情表出]が29.2%で最も多く使用されており、次に[感情語感情表出]が18.9%、[確認要求]が13.2%、[理由説明]が5.7%、[禁止]が4.7%の順だった。 [感動詞感情表出]は発話類型数も多く用いられており、発話パターンの場合も[感動詞感情表出]が単独で発話して使用される頻度数が最も高いことが分かった。「驚」の感情を表現する時は感動詞で感情を表出することを好むことが分かった。 複数発話パターンの場合は全体発話パターンのうち28.3%が用いられており、全体的に[直接感情表出]の前後で他の発話類型が見られる特徴があることが分かった。

    영어초록

    This study took a look at utterance types and patterns for the emotion of surprise (驚) among other emotions, with results that were as follows.
    The utterance types for the emotion of surprise (驚) can be divided into six categories, with 「exclamatory emotion」 showing the most use, and 「emotional expression」 also showing a similar frequency to 「exclamatory emotion」 at 30.7%. The 「reason explanation」 type showed a 14.7% usage, and 16% for 「confirmation requests」. The 「prohibition」 and 「request for improvement」 types were seen to have a 3.3% and 2% usage, respectively.
    Compared to other emotions, 「exclamatory emotion」 was somewhat greater than 「emotional expression」. The reason underlying this is that among the 10 types of emotions, the emotion of surprise (驚) is one that is felt in the moment, does not last as long as emotions such as happiness (喜) and sadness (哀), and soon fades away.
    Categorizing the utterance patterns for surprise (驚), single utterance patterns occupied 71.7% of the total, a ratio over twice that of multiple utterance patterns. Within this, 【exclamatory emotion】 showed the most usage at 29.2%, followed by 【emotional expression】 at 18.9%, 【confirmation requests】 at 13.2%, 【reason explanation】 at 5.7%, and 【prohibition】 at 4.7%, in that order. The 【exclamative emotion】 type showed the most usage among utterance types, while in utterance patterns as well 【exclamatory emotion】 was most frequently used as a single utterance. A preference can be seen for exclamatory particles when expressing the emotion of surprise (驚).
    Multiple utterance patterns show a 28.3% usage among total utterance patterns, while an overall characteristic of different utterance types appearing before and after 【direct emotional expression】 can be se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어일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