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번역어 ‘인권’과 일본의 근대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09.09
21P 미리보기
번역어 ‘인권’과 일본의 근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아시아인문융복합연구소
    · 수록지 정보 : 日本學硏究 / 28권 / 95 ~ 115페이지
    · 저자명 : 이정은

    초록

    日本は西洋のアジア侵略に対抗するため、明治威信を断行し積極的に西洋の文物を受け入れた。その過程で行われた翻訳の作業は、伝統的な学問と文化の変容にとどまらず、新たな文化の創造を意味した。本稿は、明治初期の翻訳活動の中で、主に翻訳語「人権」の輸入過程とそれに対する認識を探ることを通して、近代日本において人権概念がどのようにして意味を獲得していたのかを検討する。
    翻訳語「人権」は幕府末期オランダ留学から帰ってきて開城所の教授となった津田真道の翻訳した『泰西国法論』で初めて使われた。津田が翻訳する際の意味は、「人間としての自立自主の権」であり、また民衆、庶民が生まれてから平等に持つ権利という義であった。しかし、一方で所有あるいは権限という意味を持つ「人権物権の執行」という意味もあった。
    初めて人権という言葉を使ったのは津田であるが、人権より自然法的な権利の意味を持つ「権利」という言葉がもっと広く使われた。『泰西国法論』と共に、同時のベストセーラだった『西洋事情』を書いた福沢諭吉も「権」に関する凡例を提示する中、翻訳の誤謬に対する警戒を表わした。その数多くの凡例の中で「誠実」,「裁判所の判決」という意味が翻訳過程で脱落されたりしながら、権利の概念は形成した。
    翻訳語「人権」は津田が初めて使ったにもかかわらず、福沢が人権概念の創始者として記憶さらるのは、彼が当時日本においては見慣れない概念だった「権限」とか「利益」という意味ではなく、「正しさ」や「正義」、「追究すべき理致」などの意味を持つ「通義」を使ったからである。
    この研究は、近代国民国家の形成期に東洋社会で人権概念の受容過程を「翻訳」という媒介を通じて具体化し、この過程で新しい概念との葛藤と混乱しながら、日本社会で意味が獲得されていく現実を捉えた。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ways in which early modern Japanese society received the concept of human rights, especially through the translation of a term ‘human rights’ and its application into its own society during the early Meiji period (1868-1880). Unlike a traditional approach to this subject which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individual translators were influenced by particular works of Western Europe, this investigation has been inspired by analysis of early modern Japanese dictionaries(written by Japanese students in the Netherlands) and of contemporary theoretical debates on the meanings of ‘inherent human rights.’
    During the course of my research I have come across that the first translation of the term that appeared in Japanese language, Thuda mamichi(1868), which employed the term ‘human rights’ to mean the natural rights and civil rights endowed by the Creator. Else where the term was translated into ‘human rights,’ ‘right,’ ‘thugi(通義)’ or ‘civil rights.’ However, the term ‘thugi’ was preferred by the Japanese because it was closer to their religious and moral culture.
    I hope that the present study will both encourage and facilitate continued enquiry into the various aspects of, and issues rela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human rights in early modern Japanese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