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90년대 한국미술의 새로운 좌표 모색 - 《태평양을 건너서》전과 《’98 도시와 영상》전을 중심으로 (Paradigm Shift in Korean Art Scene in 1990s: Focusing on Two Exhibition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13.12
35P 미리보기
’90년대 한국미술의 새로운 좌표 모색 - 《태평양을 건너서》전과 《’98 도시와 영상》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보 / 41호 / 43 ~ 77페이지
    · 저자명 : 기혜경

    초록

    본 논문은 90년대 우리 미술의 상황을 제시한 《태평양을 건너서》와 《’98 도시와 영상》전을 통해 90년대 이루어진 우리 미술의 좌표변동을 살피고, 그를 통해 우리미술의 위치를 점검하고자 하였다. 이는 전시라는 관행이 근대 이후 시각문화를 형성해 온 주요한 방식이자, 전시의 틀을 한정하는 것 조차도 미술계와 시대를 반영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태평양을 건너서》전이 개최된 90년대 전반기의 화단은 80년대를 관통하여왔던 거대 담론이 힘을 잃어가고 있는 상황 속에서도 여전히 화단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영철은 전시를 큐레이팅함에 있어 실제의 전시보다는 담론를 우위에 둠으로써 다문화주의를 문화제국주의의 논리로 해석하였으며, 이는 후기 식민주의 상황에서 중심과 주변의 문화적 위계와 실천이 얼마나 다를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해주었다. 이러한 상황을 통해, 당시는 새롭게 받아들인 이론과 기존의 거대담론이 충돌하고 있었으며, 새롭게 받아들인 이론이 적용되는 과정에서 이론과 실제 사이에 괴리현상이 노정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태평양을 건너서》가 준비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여러 담론과 그것의 해석, 그리고 그에 따른 전시의 실행과정은 패러다임의 전환기에 나타나는 현상을 그대로 드러내는 것이자 중심과 주변의 문화적 위계와 실천의 차이를 노정하는 것으로써, 90년대 초반 우리 미술계의 상황을 살필 수 있게 한다.
    한편, ‘98년 《도시와 영상》전은 다문화주의나 문화제국주의, 민족, 역사, 정체성과 같은 거대서사에 좌우되지 않고 개인성과 일상, 개별적인 삶의 경험에 집중하여 도시에서의 삶을 멀티미디어적 속성을 통해 풀어나가고자 한 전시였다. 지방자치제도의 결실이라 할 수 있는 《광주비엔날레》 개최 이후 신설된 다양한 비엔날레 전시방식을 따르고 있는 《도시와 영상》전은 비엔날레급 전시로서는 처음으로 기획자에게 전권을 부여하였던 전시였다. 전시장 공간의 구성 및 디스플레이 방식을 통해 다원화된 사회를 반영하고, 작품에 대한 열린 해석을 가능하게 하며, 관객으로 하여금 스스로 생각하게 한다는 측면에서, 이 전시는 작품과 작품, 작품과 작가, 작품과 큐레이터, 큐레이터와 작가 및 작품과 관객 사이에 형성되는 많은 관계의 구조를 변화시킨 전시라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미술계의 담론을 평론가나 비평가가 주도하던 시대에서 전시를 통해 새로운 담론을 제시하는 시대로 접어들었음을 알리는 시금석이 된 전시였다. 《도시와 영상》이 보여주는 이러한 특징들은 우리 미술계가 동시대 미술계와 같은 맥락 속에 위치하고 있는 전시임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처럼 90년대 전반기의 《태평양을 건너서》와 90년대 후반 개최된 《도시와 영상》전을 통해 살펴본 90년대 전·후반의 우리 화단은 거대담론의 시대에서 소서사와 일상이 중시되는 시대로, 그리고 미술계의 담론이 작품에 대한 비평이나 평론을 통해서보다는 전시와 그것이 드러내는 시학을 통해 제시되기 시작하는 시기로 이행하고 있음을 살필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패러다임의 전환과 더불어 90년대 우리 미술은 동시대 미술로 좌표를 이행하여 갔으며, 2000년대 이후 동시대 미술과 같은 자장 속에 위치한 시기였음을 살필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following dissertation intends to locate the current stance of Korean contemporary art by examining the two exhibitions Across the Pacific and ’98 Seoul in Media Exhibition: Food, Clothing, Shelter. Both held in the 90s, the exhibitions embody the shift that took place in Korean art at the time. Since the postmodernist era, exhibition as practice has formed visual culture, whereby the confines of an exhibition itself provide a reflection of the art scene and the time period.
    When Across the Pacific was held in the early 90s, the Korean art scene was still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the then-waning theoretical discourse of the 80s. Putting theory above practice, Lee Young-chul’s curatorial direction for Across the Pacific posited multi-culturalism within the logical frame of cultural imperialism, thereby reaffirming the difference of cultural hierarchy and practice that exist between the post-colonial center and its periphery. From this, one can observe the clash between the existing grand narrative and the newly absorbed theories along with the emerging gap between reality and the new discourse. The new set of discourses and interpretations that the exhibition has stirred reflect the shift of paradigm and expose the hierarchical and practical discrepancy between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ultimately offering a façade of the early 90s Korean art scene.
    On the other hand, ’98 Seoul in Media Exhibition attempted to decode the urban life through multimedia by focusing on individualism, the ordinary, and individual experience while keeping its distance from the elements of the grand narrative, such as multi-culturalism, cultural imperialism, ethnicity, history, and identity. ’98 Seoul in Media Exhibition was a biennale-type of exhibition that became widely popular since the opening of Gwangju Biennale, a triumphant result of municipal politics. The exhibition was first of its type to grant full authority to the curator in charge. The spatial organization and display method of the exhibition reflected the multi-cultural society, opened up a critical dialogue on the artworks, and emphasized the viewer’s individual interpretation, consequently shif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an artwork vs. artwork, artwork vs. artist, artwork vs. curator, curator vs. artist, and artwork vs. its audience. Furthermore, the exhibition served as a touchstone that marked the change from a period of critic-infested discourse to a new era of exhibition as the discourse-generator. Such visions of ’98 Seoul in Media Exhibition indicate that the Korean art scene by then had situated itself with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art practice.
    As marked by the two exhibitions, Across the Pacific from the early 90s and ’98 Seoul in Media Exhibition from the late 90s, the Korean art scene of the 90s saw a shift from the grand narrative to the small (localized) narrative and the everyday, and from critiques and reviews based on artworks to a larger discourse generated by exhibitions. Through this paradigm shift, Korean art proceeded towards contemporary art, solidly positioning itself in the niche after the 200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0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