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기도 일부 노인의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요양서비스의 영양상태 평가 및 영양관리 현황 (Nutritional Assessment and Management in Long-term Care Insurance's Home Visit Care Service)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13.04
12P 미리보기
경기도 일부 노인의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요양서비스의 영양상태 평가 및 영양관리 현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18권 / 2호 / 142 ~ 153페이지
    · 저자명 : 윤미옥, 문현경, 김복희, 김서연

    초록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재가급여 중 방문요양서비스의 영양관리 현황을 살펴보았다. 경기도에 소재하는 재가시설의 노인 281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설문조사 기간은 2011년 1월 5일 부터 2011년 1월 21일로 약 2주간 진행되었고, 설문 응답내용이 불완전한 노인은 제외한 후 최종분석은 20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재가시설의 요양보호사에게 설문지 작성을 부탁하여 재가시설을 이용하는 대상자노인의 일반사항, 대상자들의 질병 및 식사요법 여부, 장기요양 판정등급에 따른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대상자들의 영양 상태를 파악하고자 MNA(Mini Nutritional Assessment)를 통해 간이영양판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MAN 결과가 어떤 인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기 위해 영양불량위험인자(Risk factor of malnutrition)와 동거인 및 질환 보유 정도와 MNA score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대상자 203명 중 장기요양 판정등급에 따른 대상자 구성을 살펴보면, 1등급 4.4%, 2등급 13.8%, 3등급 81.8%였으며, 세집단 간 대상자 수 차이로 인해 1+2등급 군과 3등급 군의 2 개 군으로 재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 203명 중 남자 21.7%, 여자 78.3%로 모든 등급에서 여자가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p < 0.05).
    연령은 80~89세가 가장 많았으며, 1+2등급 군은 90~99 세가 가장 많은 반면, 3등급 군에서는 80~89세가 가장 많았다(p < 0.05). BMI의 결과를 보면 정상인 경우 42.9%로가장 많았으나, 비만인 경우도 23.7%로 나타났다. 장기요양보험 등급에서는 3등급이 81.8%로 가장 많았다.
    2. 대상자들의 질병 및 식사요법 여부를 보면, 뇌졸중(중풍)을 앓고 있는 대상자는 66명(32.5%)으로 이 중에 3명(4.6%)이 식사요법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장질환의 경우는 33명(16.3%) 중에 2명(6.1%)이 식사요법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혈압의 경우 115명(56.7%) 중에 10명(8.7%), 당뇨병의 경우는 40명(19.7%) 중에 12 명(30.0%)으로 나타났다. 위장장애를 앓고 있는 경우는 37 명(18.2%) 중에 3명(8.1%)이 식사요법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전체적으로 동거인 형태를 보면 대체로 자녀와 같이 살거나 독거형태가 높게 나타났다. 재가 급여서비스 형태에서보면 재가서비스를 신청해서 이용하는 순위는 방문요양 > 주야간보호 > 방문목욕 순으로 나타났다. 식생활 관리 서비스중 더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조사한 결과, 모든 등급에서 식단관리가 가장 필요로 하는 식생활 관리 서비스로 나타났다.
    무료급식 종류를 살펴보면 무료급식을 받지 않는 경우가 전체적으로 가장 많았으며, 도시락배달 > 밑반찬배달 > 경로식당 급식 의 순으로 나타났다. 식단 계획에 관해 살펴보면전체적으로 별도의 식단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게나타났으며, 가족이 식단을 작성 > 방문요양기관의 식단 제공 순으로 나타났다.
    4. 장기요양 판정 등급에 따른 MNA 항목별 점수를 보면, 신체 이동 능력, 체질량지수, 혼자 사는지에 대한 여부, 욕창/피부궤양, 식사상태에서 유의적인 차이(p < 0.05)가 있었다. MNA 결과에 따라 영양불량 판정에 사용되는 항목과의상관관계는 장기요양 판정 등급에 상관없이 체질량지수, 상완둘레, 장딴지둘레, 최근 식욕감소/치아문제/소화 장애 등의 문제점, 3개월 동안 1~3 kg 정도의 체중감소정도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p < 0.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거인은 1+2등급 군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반면, 3등급 군에서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 < 0.05). 전체적인 영양판정 결과, 영양불량 위험상태 46.1%, 영양불량45.3%, 영양상태 양호 7.9%로 나타났다. 장기요양 판정 등급에 따른 영양판정 결과를 보면 1+2등급 군에서는 영양불량이 56.8%로 가장 많은 반면, 3등급에서는 영양불량 위험상태가 48.2%로 가장 많았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현재 재가서비스 중 방문요양서비스를 받고 있는 노인 중 질환을 앓고 있어도 그에 맞는 식이요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노인에게 제공되는식단들도 가족이나 요양보호사 등에 의한 급식 관리가 이루어짐에 따라 위생문제나 영양 문제, 영양 전문가로부터의 영양상담 및 교육, 전문적인 영양 서비스의 부재로 인해 체계적인 영양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노인의 삶의 질을위해서는 질병의 치료보다는 예방이 바람직하며, 예방적인측면에선 영양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빠른 시일 내에 영양전문가를 통한 개인별 식단제공이나 영양상담 및 영양교육프로그램 등과 같은 체계적인 영양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nutritional management and nutritional care demands of home-visit care service and the nutritional status of serviced elderly. Th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5th to 21st of January, 2011 among 37 InHome Service institutions. The number of elderly surveyed by 143 care helpers was 281. Analysis was performed for 203 subjects (male: 44, female: 159). The age distribution was from 50 to 99 years. The grading by long-term care insuranceshowed 18,2% on level 1 and 2, and 81.8% on level 3. For the disease treatment, the proportion of implementing diet treatment turned out to be very low. The proportion of subjects living with their children was 45.3%, and living alone was 29.1%. The proportion of home-visit care among types of In-Home Service was 70%. Subjects who needed additional necessary diet management service turned out to be 40.9%. Diet management was the most necessary services from all levels. MNA (specifiy MNA) scores were significantly (p < 0.001) associated with BMI, mid-arm circumference (MAC), calf circumference (CC), intake problems, and weight loss during the last 3 months. For studied elderly, 45.3% were malnourished, and 46.8% were at the risk of malnutrition by MNA scor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urvey, the nutritional care was not systematic on the In-Home Servic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the disease was much better than the treatmen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We conclude that nutrition management is necessary for the elderly. To improve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in home care services, systematic nutrition management should be implemented. (Korean J Community Nutr 18(2) : 142~153, 2013)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