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양부모가정과 이혼가정 중학생들의 학교생활 부적응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School Maladjustment and Self-esteem between the Middle School Students of Both Parents and Divorced Parent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18.12
30P 미리보기
양부모가정과 이혼가정 중학생들의 학교생활 부적응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효학회
    · 수록지 정보 : 효학연구 / 28호 / 127 ~ 156페이지
    · 저자명 : 이영숙

    초록

    본 연구는 부모의 지지와 안정적인 가정환경이 필요한 청소년기인 중학생들이 부모들의 이혼으로 겪는 학교생활 부적응과 자아존중감의 문제를 인천소재 남녀 중학교 1,069명을 대상으로 양부모가정 중학생들과 이혼가정 중학생들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방법으로 학교생활 부적응은 박근수(2003)가 제작한 학교생활 부적응 행동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자아존중감은 Coopersmith(1967)가 제작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최보가와 전귀연(1933)이 연구개발한 자아존중감 검사를 사용하여 양부모가정학생들과 이혼가정 학생들을 비교 분석 연구하였다.
    그 결과 이혼가정 중학생들이 양부모가정에 비해 학교생활 부적응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교생활 부적응 하위요소인 학습문제에 대한 부적응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뒤를 이어 학교 규칙 대한 부적응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이혼가정 중학생들의 학습의 문제와 학교 규칙 부적응은 수업시간의 소외감과 무의미한 학교생활을 의미하고 있어서, 학습과 학교생활에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재구조화나 교육방법의 개선이 필요하고, 교육청과 학교 차원에서의 해결 방안이 적극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교우관계에 있어서는 이혼가정 중학생들과 양부모가정 중학생들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아서, 이혼 가정 중학생들을 위해 또래 친구들과 함께 공감할 수 있는 회복 프로그램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자아존중감도 이혼가정 중학생들이 양부모가정 중학생들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가정에서의 행복의 정도를 묻는 가정적 자아존중감이 가장 낮고, 다음으로 사회적 자아존중감이 낮게 나타나서 가장 가까워야 할 부모와, 친구, 교사와의 관계에서의 근원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계성 회복을 돕는 상담 활동이나 정서 지원 프로그램이 학교와 지역 사회가 연계하여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al support and stable home environment on middle school students' maladjustment and self–esteem. This study surveyed 1,069 middle school students in Incheon.
    For the study a measurement of school maladjustment developed by Park, Keun - su (2003), and the Self –esteem measurement developed by Coopersmith (1967) that revised by Choi, Bo-Ga and Jeon Je-yun (1933) were administered in 2017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survey was to compare the middle school students of both parents and divorced parents.
    As a result, middle school students of divorced parents were suffering from school maladjustment compared with those of both parents.
    Especially, maladjustment to the learning problem, which is a sub - element of school maladjustment, was the largest difference, followed by maladjustment of school rules. The problem of learning of these middle school students of divorced parents means the alienation in the class and meaningless school life which means urgent need to restructure curriculum and improvement of education method to induce interest and motivation in learning and school lif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view the solution at the school board and school level.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of both parents and divorced parents in peer relationship, So a recovery program based on peer groups that can empower the middle school students of divorced parents can be helpful.
    Self-esteem was also found to be lower in middle school students of divorced parents than both parents.
    Especially, domestic self-esteem which indicates the degree of happiness at home was lowest, and social self - esteem was also low, As they are experiencing the fundamental difficulties in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closest parents, friends, and teachers, they need professional assistance in terms of social interaction. In order to help these problems, it is considered that counseling activities or emotional support programs that help to restor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hould be supported by schools and commun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