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태평양의 발견 : 그 바다를 둘러싼 미·일간 패권 경쟁과 한국 언론의 반응, 1905~1910 (Discovery of the Pacific Ocean : US-Japan Hegemony Competition over the Sea and the Response of Korean Newspapers, 1905~1910)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19.12
52P 미리보기
태평양의 발견 : 그 바다를 둘러싼 미·일간 패권 경쟁과 한국 언론의 반응, 1905~1910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역사연구 / 37호 / 167 ~ 218페이지
    · 저자명 : 고정휴

    초록

    개항기 태평양을 바라보는 조선인/한국인의 시각은 세 단계의 변화를 걸쳤다. 첫 단계는 개항 전후 조선으로 유입된 ‘서구식 세계지도’ 또는 ‘지구전도’를 통하여 지리적·물리적 공간으로써 태평양을 상상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조미수호조약 체결 후 서양의 선진문명을 수용하는 통로로써 인식하는 것이며, 세 번째는 러일전쟁 종결 후 패권 경쟁의 무대로써 태평양을 바라보는 것이다. 그런데 태평양을 무대로 한 미·일간 패권 경쟁이 전쟁으로 귀결된다고 했을 때, 여기에는 지리적·인종적·문명적 담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즉 동양(일본) 대 서양(미국), 황인종 대 백인종, 유교 대 기독교라는 이분법적 대립 구도가 미일충돌론의 배경 내지 요소를 이루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잘 보여주었던 것이 『황성신문』의 ‘동문동종론’이었다. 그 요지인즉, 유교적인 문명과 인종을 같이하는 일본과의 연대-이를 확대하면 중국을 포함한 동양삼국연대론 또는 동아(시아)연대론이 된다-에 의하여 서양 열강의 동양 진출과 지배에 맞서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대한매일신보』는 그러한 태도를 ‘동양주의’로 규정하고 신랄한 비판을 가했다. 그 논지인즉, 국가가 주체이고 동양이 객체가 되어야 마땅한데 동양주의를 주창하는 사람들은 국가의 흥망은 제쳐두고 오직 동양과 동양문명만을 보존하면 되는 것처럼 말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과연 그들은 한국이 영원히 망하고 한민족이 영원히 없어져도 이 국토가 오직 황인종에게만 돌아가면 된다고 보는가”라고 되묻고는, 그들을 ‘나라를 그르치는 사람’ 또는 ‘외세에 아첨하는 사람’들이라고 통박했다. 이러한 동양주의 대 국가주의 간 대립은 당대의 세계정세 인식과 국권보존 방식을 둘러싼 개신유학파와 문명개화파 간의 차별적 인식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징표였다.

    영어초록

    The Koreans’ views on the Pacific Ocean since Open Port of 1876 took three stages of change. The first step is to imagine the Pacific as a geographical and physical space through the “western world map” or “earth map” that flowed into Joseon Dynasty before and after the opening of ports. The second step is to recognize the Pacific as a passage for accepting advanced Western civilizations after Korea-US Treaty of 1882. The third step is to look at the Pacific as the stage of the hegemony competition after the Russo-Japanese War of 1904. When the US-Japan conflict over the Pacific resulted in a war, this included geographical, racial, and civilizational discourse. In other words, the confrontation of the East (Japan) vs. the West (US), the Yellow race vs. the White race, Confucianism vs. Christianity constitutes the background or elements of the US-Japan conflict.
    It was “the Dongmun Dongjong theory(同文同種論)” of Hwangseong Newspaper that showed such a problem recognition. The point is to confront the Western powers’ advance and control of the East by solidarity with Japan, which is the same as Confucian civilization and Yellow race. Meanwhile, Korea Daily News defined such attitudes as “East/Asia Centrism(東洋主義)” and made bitter criticism about it. The argument is that the nation state should be the subject and the East should be the object, and those who advocate the East Centrism are saying that it is only necessary to preserve the East and the Eastern civilizations, aside from the rise and fall of the state. This confrontation between the East Centrism and nationalism was a sign of the distinct perception between Confucian reformists and progressives in pursuit of Western civi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