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자녀 한부모 및 양부모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 차이 및 주택자산효과 비교 (Socioeconomic Disparities and Housing Wealth Effects of Home-Owning Single-Parent and Dual-Parent Households with Children)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17.10
12P 미리보기
유자녀 한부모 및 양부모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 차이 및 주택자산효과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주거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28권 / 5호 / 49 ~ 60페이지
    · 저자명 : 이현정

    초록

    본 연구는 전국의 자녀가 있는 양부모 및 한부모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살펴보고, 이들 가구의 주택자산효과를 비교하였다. 18차년도 노동패널데이타(KLIPS)를 활용하여 횡단면 분석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부모 가구의 1/10을 차지하는 한부모 가구는 대체로 대졸 미만의 사별한 고령의 은퇴 여성 가구주로 3인의 가구원이 아파트 외 주택에 거주한 반면, 양부모 가구는 주로 대졸이상의 기혼 중·장년층 남성 가구주로 4인이 아파트에 거주하는 근로가구였다. 또한, 한부모 가구의 소득, 소비, 자산, 부채 규모 모두 양부모 가구 보다 적어 경제적으로 취약하였으며, 한부모 및 양부모 가구 모두 총 자산에서 주택자산이 차지하는 비중(67%)은 높았고 자산대비부채비율은 낮았다. 양부모 가구와 달리 소득원이 한정된 한부모 가구는 소비지출 충당에 긴요하여 잔여 소득의 자산 전환이 쉽지 않아 자산형성 및 증식의 개연성이 낮다.
    둘째, 가구주 성별에 따른 한부모 가구에서 여성 가구주는 대졸미만의 사별한 고령의 은퇴자인 반면 남성 가구주는 대졸이상의 사별이나 이혼한 중·장년층의 근로자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남성 및 여성 가구주 한부모 가구 간의 경제적 차이(예, 소득, 소비, 자산, 부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여성 가구주의 한부모 가구가 남성가구주의 한부모 가구 보다 경제적으로 취약하였다. 다만, 가구주 성별에 따른 자산규모 차이가 두드러졌는데, 남성 가구주의 한부모 가구가 여성 가구주의 한부모 가구 보다 금융자산과 주택 외 부동산 자산이 2.6-2.7배 더 많은 반면 여성 가구주의 한부모 가구는 남성 가구주 보다 주택자산 규모(1.1배)가 조금 더 컸고 총자산대비주택자산 비율(약 3/4)도 남성 가구주 가구(1/2) 보다 현저히 높았다. 따라서, 여성 가구주의 한부모 가구는 남성 가구주 보다 경제적으로 취약하고 자산구성에서 주택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현저히 높아 외부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여지가 거의 없어 보인다.
    셋째, 한부모 가구의 주택자산이 비내구재 소비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부모 가구 보다 1.6배 더 컸고, 가구주 성별에 따른 한부모 가구에서 주택자산 소비탄력성은 여성 가구주의 한부모 가구가 남성 가구주 가구 보다 1.4배 더 컸다. 또한, 여성 가구주 한부모 가구의 주택자산효과는 연령층, 부채비율, 주택유형, 거주지역 순으로, 남성 가구주의 한부모 가구는 거주지역, 주택유형, 부채비율 순으로 큰 영향을 받았다. 즉, 여성 가구주의 한부모 가구는 비수도권 지역의 아파트에 거주하고 부채비율이 낮은 중·장년층에서 주택자산효과가 가장 높은 반면 남성 가구주의 한부모 가구는 수도권 지역의 아파트에 거주하는 부채비율이 낮을 때 두드러졌다. 따라서, 소득규모와 소득원이 제한되고 부채가 비교적 적은 한부모 가구에게 주택자산의 가치상승은 소비지출에 상당한 수준의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총자산대비주택자산 비율이 절대적인 여성 가구주의 한부모 가구에서 그 효과는 더욱 증대된다.

    영어초록

    The primary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socioeconomic disparities of home-owning single-parent households (SPH) and dual-parent households (DPH) with children and to compare their housing wealth effects. Using the 18th Korean Labou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this research identified 265 SPH and 1,756 DPH, and employ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atistical findings reveal that the socioeconomic disparities between SPH and DPH remained distinct, proving that SPH are socially and economically vulnerable. Further, it’s found that housing wealth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non-durable consumption of both SPH and DPH, and the consumption elasticity was much greater for SPH than for DPH and for female-headed SPH (FHSPH) than for male-headed SPH (MHSPH). Moreover,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housing wealth effects of FMHSPH and MHSPH varied with region, housing structure type, and household debt. In other words, the wealth effect became explicitly stronger for middle-aged FHSPH living in apartment (APT) of the non-Seoul Metropolitan Area (SMA) and holding a low level of household debt, and also larger for MHSPH carrying a low debt load in APT of SMA. Thus, this research addresses that rising value of housing asset boosts household spending of SPH, particularly FHSPH whose housing asset takes up a large portion of household weal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주거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1 오후